34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민하-
dc.date.accessioned2018-03-25T06:52:01Z-
dc.date.available2018-03-25T06:52:01Z-
dc.date.issued2013-02-
dc.identifier.citation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2013, 46(2), P.111-122en_US
dc.identifier.issn1738-9488-
dc.identifier.urihttp://koreascience.or.kr/article/ArticleFullRecord.jsp?cn=SJOHCI_2013_v46n2_111-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20.500.11754/51946-
dc.description.abstract최근 들어 기후변화로 인해 물과 에너지 순환에 관한 정확한 이해가 요구되고 있다. 현재 미기상학적 플럭스 타워 네트워크는 수문학적, 생태학적 분석에 있어서 주춧돌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플럭스 타워의 에디공분산 방법을 활용한 잠열 플럭스 측정은 여러 가정사항에 따른 시스템적 오류를 내포하고 있고 이에 따라 과소평가된 잠열 플럭스 원시자료의 보정이 필요하다. 몇몇의 보정방법 중 보엔비를 활용한 방법이 가장 유용한 방법 중 하나로서 여기에는 플럭스타워에서 측정한 순 복사에너지 및 기타 플럭스(현열, 지열) 등이 요구되며 이러한 자료에 대한 정확한 측정 및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설마천, 청미천 유역의 플럭스타워에서 측정된 순 복사에너지를 검증하기 위해 두 가지 형태의 이론적으로 계산된 순 복사에너지와의 비교검증을 실시하였다-(1) FAO 56 기반의 일평균 순 복사에너지 (2) Bastiaansen(1995)가 제안한 순간 순 복사에너지. 본 연구의 결과는 플럭스타워에서 측정된 순 복사에너지는 이론적으로 계산된 순 복사에너지와 상당히 비슷한 경향성을 보인다는 것을 제시했다. 또한, 측정된 순 복사에너지를 이용하여 관측된 잠열플럭스를 보엔비 보정방법에 적용시킨 결과 에너지수지에 더욱 부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유량조사사업단의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한 증발산 및 토양수분의 공간적 mapping 작성 기반 구축 및 증발산량 산정 품질관리” 과제와 2012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사업 지원을 받아 수행된 것임(0002516).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수자원학회en_US
dc.subject플럭스타워en_US
dc.subject보엔비 방법en_US
dc.subject보엔비 방법en_US
dc.subjecteddy covariance methoden_US
dc.subjectflux toweren_US
dc.subjecteddy covariance methoden_US
dc.subjectBowen ratio methoden_US
dc.title에디공분산 방법 기반의 플럭스 타워 순 복사에너지 검증:설마천, 청미천 유역en_US
dc.title.alternativeEstimation of Delivery Rate for the TMDL Management of Cheongmi Stream Basin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2-
dc.relation.volume46-
dc.identifier.doi10.3741/JKWRA.2013.46.2.111-
dc.relation.page111-122-
dc.relation.journal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dc.contributor.googleauthor변규현-
dc.contributor.googleauthor신지예-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연길-
dc.contributor.googleauthor최민하-
dc.contributor.googleauthorByun, Kyuhyun-
dc.contributor.googleauthorShin, Jiyae-
dc.contributor.googleauthorLee, Yeon-Kil-
dc.contributor.googleauthorChoi, Minha-
dc.relation.code2012210992-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ENGINEERING[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dc.identifier.pidmchoi-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건설환경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