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8 0

The Relationship of Central Obesity to the Risk of Complicated Diverticulitis

Title
The Relationship of Central Obesity to the Risk of Complicated Diverticulitis
Other Titles
복부비만과 복합 게실염의 관계
Author
유성훈
Keywords
Diverticulitis; Complication; Visceral obesity; BMI; 게실염; 합병증; 내장 비만; 체질량지수
Issue Date
2012-12
Publisher
대한비만학회
Citation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2012, 21(4), P.245-251, 7P.
Abstract
Background: Predictive factors of severe diverticulitis are known to be sex, obesity, immunodeficiency and old age. However,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complicateddiverticulitis is yet to be defined. We conducted the present study to clarify the association of central obesity with the risk of complicated diverticulitis.Methods: A total of 117 patients were selected, who were diagnosed with colonic diverticulitis by abdominal CT from January 2005 to May 2007 at the authors’ institution. For measuring obesity, body mass index (BMI) was calculated and the visceral fat area (VFA), subcutaneous fatarea (SFA), total fat area (TFA) and abdominal circumference (AC) were determined from CT images. All parameters were analyzed using univariate statistics and multivariatelogistic regression models.Results: Out of the 117 patients with colonic diverticulitis, 111 (94.9%) cases involved the proximal colon. In 30 patients with complicated diverticulitis, 21 cases involvedabscess formations and 9 cases showed perforated diverticulitis. Univariate analysis identified age, male sex, VFA, VFA/TFA and AC as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omplicateddiverticulitis (P < 0.05). However, after adjusting for age and sex, none of the parameters showed increased risk forcomplicated diverticulitis. Conclusions: Central obesity may not be a risk factor for increasing the risk of complicated colon diverticulitis in theKorean population.연구배경: 합병증을 동반한 게실염의 예후인자로 성별, 비만, 면역 결핍증, 연령 등이 알려져 있지만 한국인에서의 비만도와 합병증을 동반한 게실염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본 연구는 드물고 특히 중심성 비만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심성 비만과 합병증을 동반한게실염과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방법: 2005년 1월 1일부터 2007년 5월 31일까지 한림대 성심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에서 대장 게실염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추출하여 병원기록을 조사하였고, 농양, 천공, 장폐색 등 게실염의 합병증이 있는 환자와 없는 환자로 나누어 등록하였다. 조영 증강 전산화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5 mm 두께의 이미지를 만들고 영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지방의 측정은 배꼽 부위를 기준으로 단층 촬영 영상을 얻어-175~-25 housefield unit의 영상을 지방층으로 정의하였고,피하지방은 피부와 근육사이의 지방으로, 내장지방은 같은housefileld unit의 복강안쪽의 영역으로 정의하였다. 내장지방,피하지방, 전체 지방으로 나누고 복부둘레는 배꼽을 기준으로측정하였다.결과: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으로 진단한 117명의 대장 게실염 환자가 모집되었고, 그 중 87명(74%)는 단순 게실염, 30명(26%)는 합병증을 동반한 게실염으로 진단되었다. 단변량 분석에서 나이, 남성, 내장지방면적, 내장지방면적/복부지방면적,허리둘레가 합병증을 동반한 게실염의 위험인자로 확인되었지만(P < 0.05), 나이와 성별을 보정한 후 분석에서는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결론: 한국인에서 중심성 비만과 합병증을 동반한 게실염과관련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게실염의 발생 및 합병증으로의진행과 중심성 비만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한 전향적인 코호트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URI
http://www.kosso.or.kr/journal/view.html?book=&amp;start=0&amp;scale=10&amp;key=&amp;key_word=&amp;Vol=&amp;Num=&amp;year1=2012&amp;year2=2012&amp;sort=Publisher_date&amp;aut_box=&amp;sub_box=&amp;sos_box=&amp;key_box=&amp;pub_box=&amp;abs_box=&amp;mod=vol&amp;uid=531http://hdl.handle.net/20.500.11754/50791
ISSN
1226-4407; 2234-7631
DOI
10.7570/kjo.2012.21.4.245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INE[S](의과대학) > MEDICINE(의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