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7 0

한국의 디자인조기교육 현황과 과제

Title
한국의 디자인조기교육 현황과 과제
Other Titles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Subject of Early Education of Design in Korea
Author
현은령
Keywords
Early Education of Design; STEAM; Creative Education
Issue Date
2014-04
Publisher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Citation
디지털디자인학연구, 2014, 14(2), P.89-97
Abstract
본 연구는 융·복합을 기반으로 하는 한국의 창의적인 디자인조기교육이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 기존의 교육과는 완전히 다른 하나의 혁명적인 개혁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창의교육의 생명은 진보이다. 즉 창의교육이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디자인조기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과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현황분석 결과 디자인조기교육은 21세기 한국사회의 융복합창의인재교육 양성에 효과적이라는 인식확산으로 과거에 비해 사회적 관심과 실행이 시작되는 단계에 놓여 있었다. 그러나 디자인교육의 개념과 인식부족, 미술교과안에서의 종속된 단원으로서의 한계, 디자인조기교육관련 콘텐츠 부재, 디자인교육관련 행정 및 연구종사자의 부족 등으로 사회적 확산에 제약이 있었다. 특히 디자인조기교육에 있어 평가체제의 모호함은 학교교육 현장으로의 투입을 방해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사회적 지원을 모색할 필요가 있었다. 이는 디자인의 가치와 이념을 사회적으로 확산시켜 창의인재 양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research was stared with the point; it is necessary to reform the creative early education of design in Korea, based on fusion education with diverse field of subjects. The key point of creative education is advancement. In other word, creative education will cultivate the ability to predict their future. Therefore, this research looked at the present condition in Korean and explored problems and possibilities.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as convergence education is emphasized in Korean educational field because of acknowledging its effectiveness, social interests and investment are gradually increased for the early education of design in Korea, compared with the past. However, the spread of the early education of design was limited because of the notion and lack of awareness about design education, the lack of contents, related with design education in art textbooks and the lack of administration and researchers. Especially, the obscurity of assessment system in early education of design interrupts the commitment of design education into school education field.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aim to cultivate creative people by seeking diverse researches and social support, which might expand the value and philosophy of design.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2396373
ISSN
1598-231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APPLIED ART EDUCATION(응용미술교육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