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5 0

현대 여성 니트패션에 나타난 과장성

Title
현대 여성 니트패션에 나타난 과장성
Other Titles
Exaggeration Shown in Contemporary Knit Fashion
Author
이연희
Keywords
현대패션; 과장성니트웨어; 가정학의류
Issue Date
2012-10
Publisher
한양대학교 2012
Citation
복식 제64권 제8호, 2014.12, 67-82 (16 pages)
Abstract
과장형 복식이란 신체를 강조 또는 왜곡하여 시각적으로 지나침이 확연히 구분되는 공간감과 입체감을 표현한 복식의 형태를 말한다. 본 연구는 아름다움을 향한 인간의 욕구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아름다움을 강조하고 싶어하는 시각적 표현의 과장에 대한 미의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과장성 니트웨어의 시각적 분석을 통해 현대니트패션 디자인의 다양성을 찾아보고, 현대니트패션에 표현되고 있는 과장의 의미와 특성을 분석하여 새로운 니트웨어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첫째, 패션에 나타난 과장의 개념과 변화가 2000년 전후와 현대에 어떠한 흐름으로 표현되어 왔는지 살펴본다. 둘째, 최근 10여 년 간 세계 4대 컬렉션에 발표된 사진을 수집하여 니트패션에 나타난 과장의 유형을 살펴본다. 셋째,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현대니트패션에 나타난 과장성을 분류, 정리하여 과장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한다. 연구 방법으로 문헌고찰은 관련서적과 잡지, 선행논문과 학위논문 등을 참고로 하였다. 니트패션에 나타난 과장에 대해서는 2000년 S/S부터 2011년 S/S까지 12년간 23시즌의 세계 4대 컬렉션에 발표된 45명의 디자이너들의 작품 787점을 수집하였다. 전문가 집단 9인에게 분류 기준을 제시하여 작품을 선별하였고 설문 결과, 520점의 선별된 작품을 과장형 니트웨어에 적합한 조형적 특성의 분류 기준에 따라 분석, 정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대니트패션에 나타난 과장성의 유형은 확대 과장, 축소 과장, 변형 과장으로 분류되었다. 하위 분류로는, 확대 과장은 면적·부피의 확대, 길이의 확대, 소재·게이지·조직의 응용에 의한 확대로 구분하였다. 축소 과장은 미니형 축소, 스키니형 축소로 나타났으며, 변형 과장은 형태 변형과 패턴 변형으로 각각 분류하였다. 각 유형별 빈도를 분석한 결과, 확대 과장이 44%, 축소 과장이 16%, 변형 과장이 40%의 비율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이 보여지는 과장 유형으로는 변형 과장의 형태변형이 29%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연도/시즌 별로는 니트의 특성상 대체로 S/S시즌에 비해 F/W시즌에 비중이 높아 전체적으로 상승·하향을 반복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2002년에 과장성 니트웨어가 다수 나타났다가 점차적으로 줄어들었으나, 2007년부터 최근 2010년까지 과장성 니트의 비중이 점차적으로 높아지면서 패션에서 차지하는 부분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각 연도별 트랜드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여진다. 색채의 분포는 전반적으로 다양한 색상이 사용되어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색조의 경우는, 확대 과장에서는 밝은 색조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축소 과장에서는 어두운 색조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변형 과장은 색상과 색조를 다양하게 사용하였음이 보여진다. 과장형 니트웨어를 발표한 디자이너 중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낸 디자이너는 소니아 리키엘로 전체의 12%를 보여주었고 준코 시마다와 겐조가 그 다음으로 많이 발표하였다. 현대니트패션의 과장성에 나타난 특징은, 직물에서 표현되기 어려운 다양한 소재·게이지·조직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조형감각과 볼륨감, 표면감이 잘 나타나 있었으며, 실의 굵기와 종류를 다양하게 활용하여 밀착 되면서 인체가 비치는 효과를 주어 섹시함을 과장되게 표현하고 있었다. 신축성이 강한 특성을 활용하여 단순화시킨 디자인은, 여성의 아름다움을 잘 나타내고 있었으며, 니트의 특성인 가변성과 무경계성을 잘 살려 기존의 사고를 벗어난 기발한 발상과 형태의 왜곡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다양한 색채와 패턴을 자유자재로 연결하여, 새로운 형상으로 인식되는 패턴의 변형으로 자유로움과 유희성, 다양성 등이 잘 표현되고 있었다. 절대적인 미적 가치가 사라지고 개성이 중시되는 현대사회에서, 형태의 변화가 용이하고 소재나 조직에 따라 다른 느낌을 주는 니트는 차별화 된 패션을 표현하기에 적합한 소재이다. 또, 니트웨어에 나타난 과장성 패션은 많은 디자이너들이 애용하는 디자인 아이템 중 하나로, 대중의 패션 선택의 폭을 넓혀주고 만족감을 높여줄 것으로 예상한다. 최근에 발표된 컬렉션에서 니트패션의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앞으로 니트패션의 디자인·소재와 조직의 개발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그에 따른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676107http://hdl.handle.net/20.500.11754/39669
ISSN
1229-6800; 2287-7827
DOI
10.7233/jksc2014.64.8.06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 ECOLOGY[S](생활과학대학) > CLOTHING & TEXTILES(의류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