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6 208

백내장 수술에서 수정체낭원형절개와 인공수정체의 중심이탈 및 경사가 임상 결과에 미치는 영향

Title
백내장 수술에서 수정체낭원형절개와 인공수정체의 중심이탈 및 경사가 임상 결과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Continuous Curvilinear Capsulorhexis, Intraocular Lens Decentration and Tilt on Clinical Outcomes
Author
임한웅
Keywords
Continuous curvilinear capsulorhexis; Decentration; Higher-order aberrations; Intraocular lens; Tilt
Issue Date
2016-04
Publisher
대한안과학회
Citation
대한안과학회지, v. 57, NO 4, Page. 575-581
Abstract
목적: 백내장 수술 후 수정체낭원형절개와 인공수정체의 중심이탈 및 경사도가 술 후 임상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백내장 수술을 받은 환자 52명 62안을 대상으로 술 전과 술 후 3개월의 나안 및 교정시력, 현성굴절검사를 시행하였다. 술 후 3개월에 전안부 사진을 촬영하여 인공수정체의 중심이탈 정도를 분석하고, 전안부단층촬영을 하여 인공수정체의 경사도를 분석하여, 술 후 나안시력, 교정시력 및 고위수차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술 중 수정체낭원형절개의 크기 및 중심이탈을 측정하여 술 후 인공수정체의 위치 변화와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술 중 평균 수정체낭원형절개의 크기는 5.40 ± 0.51 mm (4.12-6.24 mm), 중심이탈은 0.30 ± 0.19 mm (0.09-1.21 mm)였으며, 술 후 평균 인공수정체의 중심이탈은 0.23 ± 0.15 mm (0.00-0.71 mm), 경사도는 1.43 ± 0.73o (0.00-4.22o)로 측정되었다. 술 중 수정체낭원형절개의 크기 및 중심이탈 정도는 술 후 인공수정체의 중심이탈과는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나(p=0.01, p<0.001), 술 후 인공수정체의 경사도와는 관련이 없었다(p=0.69, p=0.52). 술 후 인공수정체의 중심이탈 및 경사도는 술 후 시력, 난시 및 고위수차와는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 술 중 수정체낭원형절개의 크기 및 중심이탈은 술 후 인공수정체의 중심이탈에 영향을 미치지만, 인공수정체의 중심이탈과 경사도는 술 후 임상 결과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ntinuous curvilinear capsulorhexis, intraocular lens (IOL) decentration and tilt on postoperative clinical outcomes after cataract surgery. Methods: We reviewed 62 eyes of 52 patients who underwent cataract surgery and measured the uncorrected visual acuity,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and manifest refraction preoperatively and 3 months postoperatively. IOL decentration on anterior segment photography and IOL tilt on anterior optical coherent tomography were analyzed and correlations of postoperative uncorrected visual acuity,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and higher order aberrations were evaluated. In addition, we inspected the relationship of size and decentration of continuous curvilinear capsulorhexis (CCC) intraoperatively with the change in IOL position postoperatively. Results: The average size of CCC was 5.40 ± 0.51 mm (4.12-6.24 mm) and the average decentration of CCC was 0.30 ± 0.19 mm (0.09-1.21 mm) intraoperatively. The average decentration of IOL was 0.23 ± 0.15 mm (0.00-0.71 mm) and the average IOL tilt was 1.43 ± 0.73° (0.00-4.22°) postoperatively. Intraoperative CCC size and decentration were associated with postoperative IOL decentration (p = 0.01, p < 0.001), but not with IOL tilt (p = 0.69, p = 0.52).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IOL decentration and tilt with postoperative visual outcomes and higher order aberrations. Conclusions: The CCC size and decentration can affect the IOL decentration, but IOL decentration and tilt do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linical outcomes after cataract surgery.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4):575-581
URI
https://synapse.koreamed.org/DOIx.php?id=10.3341/jkos.2016.57.4.575http://hdl.handle.net/20.500.11754/35626
ISSN
0378-6471; 2092-9374
DOI
http://dx.doi.org/10.3341/jkos.2016.57.4.575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INE[S](의과대학) > MEDICINE(의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백내장 수술에서 수정체낭원형절개와 인공수정체의 중심이탈 및 경사가 임상 결과에 미치는 영향.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