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0 0

A Review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Studies on Child Art - Focused on Analyzing Children's Drawings -

Title
A Review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Studies on Child Art - Focused on Analyzing Children's Drawings -
Author
김미남
Keywords
Child Art;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Qualitative Data Analysis; Analysis of Children's Drawing
Issue Date
2011-04
Publisher
한국조형교육학회. / Society for Art Education of Korea.
Citation
조형교육 39 (2011): 71-98.
Abstract
20세기에 이루어진 많은 아동 미술에 관한 연구들은 발달론적 관점을 바탕으로 하여 아동의 그림 표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발달 특징을 밝혀내는 데 집중해 왔다. 아동의 그림표현 발달이 일반적인 경향을 보이며, 단선적으로 발달하는 양상을 보인다고 믿어왔기 때문에, 아동의 그림은 그것이 그려진 상황, 그린 아동의 개인적인 경험들과 같은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정보들은 고려되지 않은 채 연구되어 왔다. 20세기 후반부터, 많은 연구자들은 다양한 아동 미술 발달 양상을 발견하고, 이런 발달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아동의 그림을 실제 상황과 관련하여 연구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의 미술을 이해하고 탐구하기 위한 이런 관점의 변화가 아동 미술을 연구하는 방법의 변화도 필연적으로 요구하고 있음에 집중한다. 본 연구는 아동화를 질적으로 접근하여 연구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이런 질적 접근방법 사용에 문제점과 개선점은 없는지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 간(2000-2009) 미국에서 발행된 3종류의 학술지에 발표된 아동미술 관련 논문들 중에서 질적 연구 방법이 사용된 논문들을 찾아, 질적 연구방법이 각 논문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 지 살펴본다. 특히, 아동의 그림들이 과거 양적 연구에서와 달리 질적 연구에서는 어떻게 수집되고, 분석이 시도되고 있는 지에 더 중점을 두었다. 32편의 연구들 중 19편이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한 연구들로 분류되었고, 이 19편의 연구들에서 사용된 질적 연구 방법의 특징들은 다섯 가지 범주로 정리되었다. (1) 누가, 누구의 그림이 연구되었나? (2) 그림들은 어떻게 수집되었나? (3) 아동의 그림 외에 어떤 자료가 더 수집되었나? (4) 아동의 그림을 분석, 해석하기 위해 체계적인 계획이 혹은 계획 방법이 준비되어 있었는가? (5) 실제 아동의 그림은 어떻게||||분석되었나? 연구 결과, 19편의 질적연구법을 사용한 아동미술에 관한 연구들 중 다수의 연구들이 한 명 또는 소수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고, 그림 과제를 주어 다수의 아동들이 같은 주제로 그림을 그리게 하기보다는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그려진 그림들을 수집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다수의 아동(학급, 학교, 문화 집단 단위의 아동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은 질적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양적접근법처럼 아동의 그림에 사용된 주제, 패턴, 형식 등의 유사함을 찾아 일반화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19편의 논문 중 12편의 논문이 아동의 그림과 함께 아동의 그림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부가적인 정보를 관찰, 인터뷰, 자신의 그림에 대한 아동의 설명글을 통해 수집하고 있었다. 이는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연구자들이 그림자료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수집하여 아동의 미술발달을 다각적으로 해석을 시도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해주었다. 질적 연구에서는 어떤 행동이 일어나는 실제 상황의 이해가 중요하게 강조되기 때문에 다양한 정보들이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집된다. 하지만, 아동의 그림 수집의 경우 아동이 그림을 그리는 과정을 자세히 관찰하여 함께 수집한 경우는 19편의 연구들 중 3편에 그쳤다. 그림 분석의 경우, 2편의 연구만이 어떤 그림을 수집했고, 어떤 방법으로 그림을 분석했는지, 구체적인 분석 과정을 설명하고 있었다. 그림 분석에 가장 자주 사용된 방법은 그림에서 무엇이 보이는 지(무엇이 그려졌는지) 묘사하는||||것이었다. 하지만 이런 그림에 대한 설명도 소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만 이루어졌고, 다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묘사를 포함한 3가지의 분석으로 얻어진 정보는 주로 ‘무엇에 대해 그렸는가(주제와 이야기)’와 ‘특정 이미지(발달적 특성 혹은 문화적 영향 등을 보여주는 표현 전략)를 어떻게 그렸는지에 관한 것이었다. 최근 아동미술에 관한 연구들이 발달론적 관점에서 사회문화적 관점으로 옮겨가고 있는데, 아동의 그림분석에서 얻는 정보는 발달론적 정보에 여전히 치중되어 있었다. 이는 사회문화적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그림 분석 방법이 더 체계적으로 고민되고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최근 아동미술에 관심을 갖고 있는 많은 연구자들이 질적 연구법으로 연구를 시도하고 있으나,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여겨지는 아동그림의 수집과 분석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과 한계를 보여준다. 즉, 질적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아동의 그림을 질적 자료(qualitative data)로 이해하고 분석과 해석을 시도하는 대신, 여전히 양적 연구에서 수집된 그림을 다루던 방식을 많은 부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URI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3222907
ISSN
1225-417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APPLIED ART EDUCATION(응용미술교육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