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9 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earners’ Beliefs about Chinese Learning and Their Chinese Language Anxiety in Korea

Titl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earners’ Beliefs about Chinese Learning and Their Chinese Language Anxiety in Korea
Author
기설군
Alternative Author(s)
Ji, Xue Jun
Advisor(s)
조한익
Issue Date
201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ABSTRACT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earners’ Beliefs about Chinese Learning and Their Chinese Language Anxiety in Korea Xue Jun JI Dept. of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Individual difference was generally acknowledged as an important role in one’s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As two expressions of individual difference, learners’ beliefs and anxiety has been gradually draw language researchers’ attention since 1970s.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Korean CFL learners’ beliefs about Chinese learning and their Chinese language anxiety. Horwitz’s Beliefs about Language Learning Inventory (BALLI) and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Scale (FLCAS), and learners’ HSK level were administrated to a total of 104 Korean adult learners who are learning Chinese selected from Sisa Chinese Academy in Korea. After finishing the collection of the questionnaires, the data was processed by SPSS 23.0. Descriptive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successively performed for the purposes of an investigation to the beliefs about Chinese learning and Chinese language anxiety that Korean CFL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learners generally hold as well as an effort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among their beliefs about Chinese learning, Chinese language anxiety and Chinese level. Four findings were found and summarized as bellows. First, regarding the general beliefs that Korean CFL learners hold, they took Chinese as a very difficult language and time-consuming language to learn, nevertheless, they denied the existence of a gift for language and held the view that everyone could be a master of Chinese in the end through efforts. Besides, they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Chinese culture and vocabulary for Chinese learning, whereas undervalued the role of grammar and showed no appreciation of relying too much on their mother tongue to learn Chinese. In addition, they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practice, repeating, guessing and pronunciation in Chinese learning and much tolerant of error in Chinese learning for caring too much about these mistakes is detrimental to learners’ fluent expression of a complete sentence. Finally, they were highly motivated learners who acquire impetus to learn Chinese from extrinsic factors, especially concerning their career for that they conceived a good command of Chinese as a superiority over their present or future career. Second, as to the Korean CFL learners’ perceptions of Chinese language anxiety, they are suffering from a relatively high level of anxiety in Chinese classroom on the whole. Particularly, they were extremely worried about getting left behind due to the quick pace of proceeding Chinese class, which made the learners anxious best. Furthermore, a variety of tests could contribute to learners’ anxiety considerably, however, there would be a decrease in the level of Chinese language anxiety when the learners are well prepared for Chinese speaking, tests, etc., despite impossibility of all the learners to have preparation fully made, in a Chinese class. Not only that, they showed high tolerance for teachers’ error correction, in other word, they are less anxious about teachers’ error correction. Third,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CFL learners’ beliefs about Chinese learning and their Chinese language anxiety, F1 (foreign language aptitude), F2 (the difficulty of language learning) and F5 (motivations and expectations), as three dimensions of beliefs about Chinese learning, could exert significantly impact on Chinese language anxiety. Further, F1 (foreign language aptitude) could be a negative predictor of Chinese language anxiety while F2 (the difficulty of language learning) and F5 (motivations and expectations) could be positive predictors of Chinese language anxiety. In this respect, it is safe to draw a conclusion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nfluence of beliefs about Chinese language on Chinese language anxiety to a certain degree among the Korean CFL learners investigated in this study. Four, as far a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CFL learners’ beliefs about Chinese learning, Chinese language anxiety and their Chinese level, three categories of beliefs about Chinese learning, respectively F1 (foreign language aptitude), F2 (the difficulty of language learning) and F5 (motivations and expectations), could exert significant influence on Chinese language anxiety. Chinese language anxiety could be predictor of Chinese level in a negative direction. F5 (motivations and expectations), standing out from the other belief factors, was examined having influence on Chinese level. In all likelihood, Chinese language anxiety acts as the mediate effect in the relations of beliefs about Chinese language and Chinese achievement in the present study. In the end, some suggestions were put forward to Chinese educators and relevant researchers in order to create a more effective Chinese class and make a contribution to further study on this topic.; 국문요지 개인차이가 보통 외국어 습득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학습자의 신념과 초조는 개인차이의 두 가지 표현으로 1970년대보터 점점 언어 연구자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한국 CFL 학습자들이 중국어 학습 신념과 그들이 중국어 언어 초조를 조사하는 것을 의도한다. Horwitz의 언어학습신념도표(HALLI)와 외국어교실초조도표(FLCAS) 그리고 학습자의 HSK 수준은 본 연구의 측정표로 선정되었다. 주체가 한국 Sisa 중국어학원에서 중국어를 배우고 있는 학생들중 뽑은 104명의 한국 성인 중국어 학습자이다. 설문지를 모은 후 SPSS23.0로 데이터를 처리하기 시작하였다. 기술적 분석, Pearson 상관분석, 다원 회귀분석, 그리고 경로 분석을 채용해서 주체가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중국어 학습 신념과 중국어 언어 초조를 조사하고 주체의 중국어 학습 신념, 중국어 언어 초조와 중국어 수준 삼자 간의 관계를 탐구했다. 네 가지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한국 CFL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신념에 대해 말하자면 본 연구의 주체가 중국어를 배우는 것이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타고난 자질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 노력하기만 하면 사람마다 다 중국어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것으로 여긴다. 그 밖에 그들이 중국어 문화와 어휘의 습득을 중시하며 문법을 깊게 연구하지 않고 모국어를 의지하지 않는다. 연습, 중복, 추측과 발음의 중요성을 의식하고 실수에 너무 신경을 쓰이면 유창하게 완전한 표현에 해로워서 오류 용인도가 드높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의 주체가 능동성이 강한 학습자로서 그들이 중국어를 배우는 동기는 주로 외부에서 유래하고 특히 직업과 관련된 외부적 동기가 많다. 중국어를 능통하는 것은 그들 현재나 미래 직업에 대해 우세가 된다고 여긴다. 둘째, 한국 CFL 학습자들의 언어 초조에 대해 말하자면, 총체적으로 보면 본 연구의 주체가 중국어교실에서 비교적 높은 중국어 언어 초조를 겪고 있다. 특히 빠른 수업 진도로 다른 사람들에게 뒤지는 것을 지극히 초조한다. 따로는 각종 수업 테스트도 학습자의 초조를 크게 높인다. 그런데 그들은 잘 준비하고 나서 중국어 수업에서 중국어 강연, 시험 등을 하면 중국어 언어 초조가 줄어든다. 그러나 중국어 수업에서 모든 학습자들이 잘 준비된 경우가 너무 적다. 또, 그들은 선생님에게 오류를 정정하는 것에 대해 비교적 높은 용인도를 보여준다. 다시 말하자면, 그들은 오류정정에 대해 초조를 그다지 느끼지 않는다. 셋째, 한국CFL 학습자들의 중국어 학습 신념과 중국어 언어 초조의 관계에 대해 말하자면, 본 연구 결과가 중국어 학습 신념의 세 측면인 F1, F2와 F5는 중국어 언어 초조에 의미있는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발견된 것을 나타냈다. 진일보하면 F1는 중국어 언어 초조를 소극적으로 예측할 수 있고 F2 와 F5는 중국어 언어 초조를 적극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에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본 연구중에 한국 CFL 학습자의 중국어 학습 신념이 그들의 중국어 언어 초조에 대해 어느 정도로 의미있는 영향을 준다. 넷째, 한국 CFL 학습자들의 중국어 학습 신념, 중국어 언어 초조 그리고 중국어 수준 삼자의 관계에 대해 말하자면 중국어 학습 신념의 세 측면인 F1, F2와 F5는 중국어 언어 초조에 대한 영향은 의미가 있다는 것을 발견되었다. 중국어 언어 초조가 중국어 수준을 소극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F5는 중국어 수준에 대한 영향이 통계할 의의가 있는 유일한 중국어 학습 신념 요소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중에 중국어 학습 신념이 중국어 수준에 대해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중국어 언어 초조가 매개 역할을 하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 마지막으로, 더욱 효율적인 중국어 수업을 만들고 장래 상관 주제의 연구에 대해 방향을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뒤에서 중국어 교육자들과 상관한 연구자들에게 약간의 건의를 제기했다.
URI
http://hdl.handle.net/20.500.11754/3320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087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