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 0

공동생활가정 거주 만성정신질환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itle
공동생활가정 거주 만성정신질환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chronically mentally ill people living in shared living families
Author
이은정
Alternative Author(s)
Eun Jeong Lee
Advisor(s)
김미영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공동생활가정 거주 만성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질병인식,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정신재활 공동생활가정 중 26곳에 거주하는 성인 만성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2023년 4월 13일부터 2023년 5월 3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최종 121부가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질병인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Amador 외(1991)가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Scale to Assessment Unawareness of Mental Disorder (SUMD)를 송지영 등(2006)이 번역하고 타당도를 검증한 한국판 병식 평가 척도(SUMD-K) 단축형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기효능감은 Gilad Chen (2001)이 새롭게 개발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New General SelfEfficacy, NGSE)를 오인수(2002)가 타당도를 검증한 한국어판 자기효능감 척도(New General Self-Efficacy, NGSE)를 사용하였다. 사회적지지를 측정하기 위해서 Gregory 외(1988)가 개발한 사회적지지 척도(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를 한금선, 양보겸(2006)이 만성정신질환자에 맞게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건강증진행위는 Walker (1996)가 기존의 HPLP를 수정, 보완하여 개발한 HPLP-II를 윤순녕, 김정희(1999)가 타당도를 검증한 한국어판 건강증진행위 척도(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HPLP-II)를 사용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SPSS/WIN 27.0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사후분석은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동생활가정 거주 만성정신질환자의 질병인식은 총점 17.49±3.83점(범위9~27점)이었다. 만성정신질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질병인식의 차이는 모든 일반적 특성 변수에서 질병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공동생활가정 거주 만성정신질환자의 자기효능감은 총점 28.01±6.63점(범위 8~40점)이었다. 만성정신질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모든 일반적 특성 변수에서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공동생활가정 거주 만성정신질환자의 사회적지지는 총점 62.39±13.37점(범위 12~84점)이었다. 만성정신질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지지의 차이는 성별(t=2.220, p=.028)에서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4. 공동생활가정 거주 만성정신질환자의 건강증진행위는 평균 135.09±27.40점(범위 52~208점)이었다. 만성정신질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의 차이는 건강교육유무(t=2.179, p=.031)에서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5. 공동생활가정 거주 만성정신질환자의 질병인식,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건강증진행위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질병인식은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건강증진행위와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건강증진행위는 자기효능감(r=.535, p<.001)과 사회적지지(r=.562, p<.001)와 양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6. 공동생활가정 거주 만성정신질환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분석 결과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지지(β=0.374, p<.001), 자기효능감(β=0.326, p<.001)이 유의한 영향요인이였으며,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설명력은 39.2%로 나타났다(F=26.759, p<.001). 이상의 연구 결과로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공동생활가정 거주 만성정신질환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공동생활가정에서는 만성정신질환자 스스로 자신의 강점과 역량을 인지하고 지역사회에서 독립적으로 살 수 있다는 인식을 갖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과 자조 모임을 활성화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대상자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겠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626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31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