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 0

한국 케이팝스케이프(K- Popscape)를 통해 본 한국 청년세대의 대중문화 뉴트로 유행 현상: 여자 아이돌 뮤직비디오 속 감정구조를 중심으로

Title
한국 케이팝스케이프(K- Popscape)를 통해 본 한국 청년세대의 대중문화 뉴트로 유행 현상: 여자 아이돌 뮤직비디오 속 감정구조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ewtro Trend among The Young Generation in Korean Popular Culture seen through K-popscape: Focused on the Structure of Feeling in the Girl Group's Music Video
Author
소서
Advisor(s)
류웅재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포스트코로나는 사회 구성원들로 하여금 힐링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문화실천을 모색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때, 대중문화계의 눈길을 사로잡는 것이 Y2K를 비롯한 뉴트로 문화이다. Y2K를 뉴트로 열풍으로 호명한 이들은 1995년 이후부터 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세대이다. 문화의 흥행은 사회 구성원들의 욕망을 반영한 일종의 공통된 감정의 산물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Y2K 기호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케이팝 영역에 주목해 문화콘텐츠 속 감정을 중심으로 포스트코로나 시대 청년세대의 감정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현재의 복고 문화, 즉 한국 청년세대의 뉴트로 유행 현상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다양한 문화와 접목한 케이팝만의 풍경을 보여주는 뮤직비디오, 특히 여자 아이돌의 뮤직비디오를 기호학적 관점에서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대중문화에서 재현된 Y2K 기호의 모습, 그리고 뮤직비디오 속 감정을 통해 현재 청년세대가 무엇을 욕망하는지 읽어내고자 하였다. 둘째, Y2K 뉴트로의 일상의 실천과 관련된 언론보도를 뮤직비디오 텍스트 외부에 있는 상호텍스트로 간주하였다. 비판적 담론분석을 통해 Y2K 열풍을 둘러싼 현상을 성찰적으로 논의하고 Y2K 기호가 두 텍스트 내에 상호 균열하는 양상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셋째, 이 두 단계를 경유해 현재 청년세대의 감정구조를 파악하고, Y2K를 비롯한 뉴트로 유행 현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기호학 분석 결과, 여자 아이돌의 뮤직비디오는 Y2K라는 뉴트로 기호의 상징성을 통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더욱 명확하게 부각시키고 있었다. 이를테면, Y2K 문화를 아름다운 추억의 대상으로서 노스탤지어를 이끌어내거나 하위문화 특성에 주목해 독특하고 강한 여성상이나 저항적인 메시지를 표출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이상적인 세계’에 대한 상상과 지배적 문화에 대한 대립이라는 욕망을 발견하였다. 비판적 담론분석 결과, Y2K에 관한 담론은 복고문화, 소비문화, 리스크 기억 3가지로 구분된다. 그러나 리스크 기억 담론은 2021년부터 Y2K가 뉴트로 문화로 인식되면서 심미주의와 소비문화 속에서 이 문화가 지닌 본래의 리스크 속성이 약화되어 대부분 사라진 상황이었다. 1990년대 역시 다양한 사회적 모순들, 그리고 현재와는 또 다른 양상의 시대적 문제가 존재하고 있었다. 우리에게 소환되고 있는 1990년대는 현대와 대조된, 낭만과 행복으로 미화되고 있었다. 즉, Y2K 기호는 하나의 상품으로서 청년세대의 모순적인 태도를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청년세대가 투영하는 감정구조는 ‘무력감과 희망의 모순적인 공존’, ‘불완전한 저항’으로 도출되었다. 뉴트로 문화는 소비 사회에 의해 지배적 신화와 결합된다. 따라서 뮤직비디오 속 상호텍스트의 영향으로 인해 신화로 전환된 비판적 메시지는 그 해독도 분열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모순된 감정은 역으로 우리가 뉴트로 문화에 매료되는 장치로 기능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074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07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A COMMUNICATION(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