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 0

Exploring the Feasibility of Measuring Energy Poverty Through Energy Equity Gap: A Case Study of Korean Panel Data Yoon-Gon Noh

Title
Exploring the Feasibility of Measuring Energy Poverty Through Energy Equity Gap: A Case Study of Korean Panel Data Yoon-Gon Noh
Other Titles
에너지 형평성 격차를 통한 에너지 빈곤 측정의 타당성 탐색: 한국 패널 데이터 사례 연구
Author
노윤곤
Alternative Author(s)
Yoon-Gon Noh
Advisor(s)
Jinsoo Kim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배경: 한국은 에너지 바우처 제도, 에너지효율개선사업 등 다양한 에너지 복지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현 제도 하에서는 지원 대상을 선정할 시 에너지 빈곤 지표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와 같이 적절한 선정 방식의 부재는 정책의 영향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복지 재원의 최적 할당을 보장하지 못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목적: 본 연구는 타 국가의 에너지 빈곤 문제 대응 방법을 참고하여 한국이 에너지 빈곤 지표 수립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 에너지 빈곤 지표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행동경제학에 기반을 둔 새로운 지표 사용을 제안하고 해당 지표의 국내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자료 및 방법론: 한국에너지통계정보시스템이 수집한 가구에너지 패널조사 데이터에서 총 877가구를 조사대상으로 모집하였다. 모집된 각 가구의 월간 전력 소비량 데이터에 대해 다항 회귀 분석을 수행하여 외기 온도에 대한 온도 변곡점(inflection temperature)과 에너지 형평성 격차(energy equity gap)를 계산하였다. 도출된 온도 변곡점은 주거 및 사회경제적 변수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에너지 형평성 격차를 이용해 에너지 빈곤 가구를 분류하고, 이들의 특성을 저위험 가구와 비교하였다. 결과: 소득수준을 3개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했을 시 저소득층 온도 변곡점의 중앙값은 고소득층에 비해 1.06도 높게 나왔다. 저위도 지역에 거주하는 가구는 고위도 지역 거주 가구에 비해 온도 변곡점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단독 주택에 거주하는 가구는 다른 주거 형태를 지닌 가구에 비해 온도 변곡점이 1.2~1.3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형평성 격차 기반으로 에너지 빈곤을 측정한 결과, 에너지 빈곤 가구는 저위험 가구에 비해 저소득층 가구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에너지 부담률(energy burden) 또한 평균 8.8%로 더 높게 측정되었다. 결론: 한국의 에너지 빈곤 지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영국, 유럽과 같이 전체 인구를 대표할 수 있는 가구 수준의 에너지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제안한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의 가구 패널 데이터에서 에너지 형평성 격차 기반의 에너지 빈곤 지표가 에너지 빈곤 문제를 다차원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Background: South Korea is implementing a number of energy welfare initiatives, including the Energy Voucher program and building energy efficiency projects. However, these initiatives do not take into account energy poverty indicators when selecting targets for assistance. This omission hinders the ability to accurately measure the policy's impact and ensure the optimal allocation of welfare resources. Purpose: I examine the issues that South Korea should consider while establishing energy poverty indicators by examining how other nations have addressed energy poverty concerns. In addition, I propose the inclusion of a novel indicator rooted in behavioral economics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current energy poverty measures and explore its potential for domestic implementation.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877 household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from the Household Energy Panel Survey, which was obtained from the Korea Energy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 Monthly electricity consumption data for each recruited family was subjected to multinomial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inflection temperature and energy equity gap (EEG). The derived inflection temperature was compared and examined after categorization based on residential and socioeconomic variables. Furthermore, the EEG was applied to identify the energy- insecure group, whose characteristics were then compared with those of the low-risk group. Results: When comparing income level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median inflection temperature of the low-income group was 1.06 degrees higher than that of the high-income group. Households living in lower latitude regions tended to have higher inflection temperatures than households living in higher latitude regions. Households living in bungalows showed an increase in temperature of about 1.2 to 1.3 degrees compared to other houses. The EEG-based energy poverty metric revealed that the energy-insecure group had a higher proportion of low-income households compared to the low-risk group. In addition, the energy burden of the energy-insecure group was higher, averaging at 8.8%. Conclusion: To identify energy-poor families in South Korea, I propose the creation of a comprehensive household-level energy database, similar to those found in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or European Union, which covers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population. Furthermore, my research has demonstrated that the EEG-based energy poverty indicator, derived from Korean household panel data, can serve as a novel dimension for understanding the issue of energy poverty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313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24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ARTH RESOURCES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자원환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