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2 0

여성주의 서사 드라마의 중국 내 수용에 관한 연구: 드라마 <멜로가 체질>과 <겨우, 서른>의 사례를 중심으로

Title
여성주의 서사 드라마의 중국 내 수용에 관한 연구: 드라마 <멜로가 체질>과 <겨우, 서른>의 사례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Feminist Narrative Drama Series in China: Focused on Drama and
Author
하효범
Alternative Author(s)
HE XIAOFAN
Advisor(s)
류웅재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With the rise of women's social status, today's female consumers have become the main consumers of the cultural content market, and a growing number of women have participated in the cultural industry. After noticing this phenomenon, capitalists have begun to produce cultural products that cater to the tastes of female viewers. In recent years, the images of modern women in teleplays have broken away from the past feudal consciousness. They pursue love and dreams according to their own values, and accomplish the two things well, rather than choose between career and family. In view of the narrative connotations of these teleplays, scholars have defined them as feminist narratives. With narrative strategies that cater to the psychological needs of female viewers, feminist narrative drama series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hinese cultural content market, which is actively embracing Hallyu culture. With a certain level of popularity in China, feminist narrative drama series have enlivened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selects TV series Melo Is My Nature and Nothing But Thirty as the objects of study to analyze various factors in the inner workings of texts. On this basis, it also uses in-depth interviews to analyze how they are accepted and understood by the Chinese audience. Furthermore, it explores the future direction of feminist narrative drama series, and examines the reception of Korean teleplays, especially feminist narrative drama series, from the perspective of global communication. The textual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both Chinese and South Korean feminist teleplays have embraced the cultures of other regions, and shown contradictions in social structure while attempting to break the stereotypes of gender roles. In addition, female characters in these teleplays have shown resistance to the paternalistic order. As such, feminist narrative texts provide room for female viewers to realize their self-awareness, thereby becoming a public forum for discussing women's issues. As both South Korea and China are part of the East Asian cultural circle, the narratives depicted in these teleplays share similar customs and ideas. However, when comparing the content of the two countries, we could find that South Korean feminist narrative drama series have more diverse characters. Chinese feminist narrative drama series feature more conflicts to create a dramatic story, and emphasize the necessity for female characters to fulfill their roles in a family, which suggests that such texts are not completely immune to the traditional stereotypes of women. The in-depth interviews led to a series of conclusions. First, feminist narrative drama series reflect the audience's preference for female images not found in traditional teleplays. Second, unlike male-centered teleplays, TV series which are dominated by women and depict social inequality from a female perspective resonate particularly with female viewers. Third, feminist narrative drama series that present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between women are favorably received by female viewers. However, male viewers have a different opinion, and consider the solidarity between women in teleplays as a glorified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is paper aims to suggest implication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production of feminist narrative drama series in the future. First of all, a story should be centered on the realistic portrayal of the real society. In other words, considering the social context in which women's status is increasingly rising, female characters should begin to enter society as self-conscious subjects, or appear in teleplays as independent women.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teleplays featuring women should lay particular stress on gender inequality issues. On the contrary, they should address realistic issues resonating with women from a female point of view, thereby arousing natural empathy. In addition, feminist narrative drama series ar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exchange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and thus can provide a new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on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is study, women’s daily lives in feminist narrative drama series can resonate with East Asian women who have accepted the same Western culture. Therefore, the audience in each country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TV series more easily, which will definitely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opularity and box office of teleplay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research on the direction of feminist narrative drama series in consideration of the blending of the Confucian culture and the Western culture.| 여성의 사회적 지위의 상승으로 인해 오늘날 여성 소비자는 문화 콘텐츠 시장에서 소비 주체가 되었고 문화 콘텐츠 산업 분야에서의 여성의 참여는 점차 늘어나고 있다. 자본은 이러한 현상에 주목하여 여성 시청자의 취향에 맞는 문화 콘텐츠를 제작하기 시작하였다. 최근 몇 년간 드라마 내에서 보여주는 현대 여성의 이미지는 과거의 봉건적인 의식에서 벗어나 본인의 가치관에 의해 사랑을 추구하거나, 꿈을 좇는, 혹은 커리어와 가정 중 양자택일을 하기보다는 두 가지 모두를 잘 수행해 내는 모습이었다. 이러한 서사를 내포하는 것을 보고, 학자들은 이를 여성주의 서사로 정의하였다. 이렇듯 여성 시청자의 심리적 요구를 만족시키는 서사 전략을 지니는 여성주의 서사 드라마는 한류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중국의 문화 콘텐츠 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여성주의 서사 드라마는 중국 내에서 어느 정도 인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나아가 한중 양국 간의 문화 교류를 활발하게 만들어 내기도 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드라마 <멜로가 체질>과 <겨우, 서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텍스트 내부에서 작동하는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심층 인터뷰를 혼용하여, 중국 내 수용자들이 이를 어떻게 수용해 냈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여성주의 서사 드라마가 앞으로 나아갈 방향성을 모색하고,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의 시각에서 한국 드라마, 그중에서도 여성주의 서사 드라마의 수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텍스트 분석 결과, 한중 양국의 여성주의 드라마는 다른 지역의 문화를 수용하고 있었고, 나아가 기존의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고자 하는 시도와 함께 사회의 구조적인 모순을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드라마 내 여성 캐릭터들은 가부장적인 질서에 대해 저항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렇듯 여성주의 서사 텍스트는 이를 시청하는 여성들로 하여금 본인의 자아의식을 깨우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었고 여성 문제를 함께 논의할 수 있도록 하는 공론장이 되었다. 한중 양국은 모두 동아시아 문화권에 속하기 때문에 드라마에서 그려내는 서사들을 살피면 유사한 관습과 사상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양국의 콘텐츠를 비교해보니, 한국 여성주의 서사 드라마 속 캐릭터가 상대적으로 더 다양하게 묘사되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중국 여성주의 서사 드라마에서는 극적인 이야기를 만들기 위해 더 많은 갈등을 다루고 있었다. 또한, 여성 캐릭터에게 가정 내에서의 역할을 잘 수행해 내야 할 것을 강조함으로써 여전히 여성에게 작용되는 전통의 고정관념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차례로 이와 같은 결론을 낼 수 있었다. 첫째, 여성주의 서사 드라마는 기존의 드라마에서 볼 수 없었던 여성 이미지에 대한 수용자의 선호를 반영하였다. 둘째, 남성 중심으로 전개되는 드라마와 달리, 여성이 주체가 되어 여성의 시각에서 사회의 불평등을 재현한 드라마는 특히 여성 시청자의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셋째, 여성주의 서사 드라마가 여성 간 연대의 가능성에 대한 부분을 제시했다는 점은 여성 시청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은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남성 시청자는 이에 대해 상반된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드라마 속에서 재현된 여성들의 연대는 미화된 관계라고 보았다. 본 논문은 분석의 결과를 통해 앞으로 여성주의 서사 드라마가 제작될 때 활용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현실 사회에 대한 사실적인 묘사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여성의 지위가 갈수록 올라가는 사회적인 맥락을 고려해, 여성 캐릭터는 자아의식을 가진 주체로서 사회에 진출하기 시작하거나, 나아가서는 독립적인 여성 이미지로 드라마에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여성을 소재로 한 드라마라는 이유만으로 성 불평등 문제에 치중되는 것은 안 된다. 오히려 여성들의 시각에서 그들이 공감할 만한 현실적인 문제들을 다룸으로써 그들로 하여금 자연스러운 공감을 불러일으켜야 한다. 또한, 여성주의 서사 드라마는 한중 양국의 교류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됨으로, 앞으로의 한중 문화 교류와 관련한 연구에 대해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성주의 서사 드라마에서 재현하는 여성들의 일상은 동일한 서구 문화를 수용한 동아시아 여성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각국의 수용자들은 드라마의 내용을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되고, 이는 곧 드라마의 인기와 흥행에도 분명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유가 문화와 서구 문화가 혼합되었다는 지점을 고려하여 여성주의 서사 드라마와 관련한 연구가 더욱 진행될 필요성이 제기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437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697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A COMMUNICATION(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