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 0

TV광고에서의 브랜드캐릭터 유형 분석 : 내러티브와 의인화를 중심으로

Title
TV광고에서의 브랜드캐릭터 유형 분석 : 내러티브와 의인화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A Categorization of Brand Character in TV Commercials-focus on Narrative and Personification
Author
심성욱
Keywords
Brand character; narrative; personification; product types; 브랜드캐릭터; 내러티브; 의인화; 제품 유형
Issue Date
2009-08
Publisher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Citation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v. 17, NO. 3, Page. 5-31
Abstract
본 연구는 문학에서의 ‘내러티브’와 ‘의인화’ 관점에서 브랜드캐릭터를 유형화하고, 이러한 유형이 현실의 캐릭터 광고에서 제품 유형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품 유형과 내러티브 유형의 빈도수를 살펴본 결과 쾌락재 광고에는 드라마 간접화법이 1인칭 직접화법보다 더 많았으며 실용재 광고에는 1인칭 직접화법이 드라마 간접화법보다 더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인화 유형과 관련하여 전체적으로 저의인화 캐릭터에 비해 고의인화 캐릭터가 약 2배 정도 많았으나, 제품 유형과 의인화유형의 빈도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셋째, 관여도와 내러티브 유형 간의 빈도 차이를 조사한 결과, 고관여 제품 광고의 경우 1인칭 직접화법 비율이 드라마 간접화법비율보다 더 높았으며, 저관여 제품 광고에는 드라마 간접화법의 비율이 1인칭 직접화법 비율보다 더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문학의 내러티브 및 의인화 유형이 현실에서 표현된 브랜드캐릭터를 분류하는 데 유용하며, 브랜드캐릭터의 표현 전략에 유의미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줄 것으로 판단되었다.;This study categorized brand character in perspective of narrative and personification in literature and analyzed how these categories were represented in advertisements related with product typ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more dramatic indirect discourse was found in the advertisements of hedonic products than first-person direct discourse, while more first-person direct discourse was found in the advertisements of utilitarian products than dramatic indirect discourse. Second, the personification types were not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tween product types. Third, with respect to involvement, in the advertisements of low involvement products were represented more dramatic indirect discourse than first-person direct discourse; in the advertisements of high involvement products more first-person direct discours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narrative and personification construct in literature can be applied to explain and give effective guidelines to the practical strategies of brand character, as well as available to categorize brand character in advertisements.
URI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282492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6336
ISSN
1598-4494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E](언론정보대학) >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광고홍보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