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 0

공공갈등 이슈에 대한 정부의 갈등관리전략이 공중의 커뮤니케이션 행동과 정책수용에 미치는 영향

Title
공공갈등 이슈에 대한 정부의 갈등관리전략이 공중의 커뮤니케이션 행동과 정책수용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Government’s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on Public Communication Behaviors and Policy Acceptance
Author
한미정
Keywords
public conflict;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public-organization relationship; public communication; policy acceptance; 공공갈등; 갈등관리전략; 공중관계성; 공공커뮤니케이션; 정책수용
Issue Date
2014-01
Publisher
한국광고학회
Citation
광고학연구, v. 25, NO. 1, Page. 91-125
Abstract
본 연구는 공공갈등 이슈가 발생했을 때 정부의 갈등관리전략에 따라 공중의 커뮤니케이션 행동과 정책수용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지식경제부의 전기료 누진세 이슈를 중심으로 세 가지 갈등관리 전략(통합 / 분배 / 제 3자 중재)에 따른 공중의 커뮤니케이션 행동(긍정적 / 부정적 / 침묵적)과 정책수용(순응 / 불응)의 차이를 검증하였고, 이러한 차이가 공중의 정부와의 관계성(신뢰성 / 상호통제성 / 만족성 / 헌신성 / 친숙성) 인식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 지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정부의 갈등관리전략에 따라 공중의 긍정적 커뮤니케이션 행동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통합-제 3자 중재-분배전략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부정적 커뮤니케이션 행동 역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분배-제 3자-통합 전략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중이 갈등 사안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형성을 하고, 커뮤니케이션하도록 하는데 통합전략이 가장 효과적인 반면, 분배전략을 사용할 경우 부정적 커뮤니케이션 행동을 이끄는 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겠다. 둘째, 정부의 갈등관리전략에 따른 공중의 정책수용의 차이에 대해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정책순응의 경우 통합-제 3자 중재-분배전략의 순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불응의 경우 분배-통합-제 3자 중재전략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갈등 시 정부의 통합전략이 공중의 정책 순응에 가장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정부의 갈등관리전략에 따른 공중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이 공중의 관계성 요인 인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공중관계성 요인이 공중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정책수용에 있어서도 정부에 대한 공중관계성 인식이 중요한 영향력으로 작용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The current study examined how the public demonstrates communication and policy acceptance behaviors depending on different government’s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It also examined the role of government-public relationship factors in adjusting public’s behaviors. Results indicated that integrative strategies worked the best for public’s positive communication behaviors and policy acceptance. A third-party mediation worked well across public’s negative and positive communication behaivors and policy acceptance. For the Ministry of Knoweldge and Economics, the familiarity component of relationship management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inducing positive communication behaviors and policy acceptance. Thus the government agency should consider the familiarity factor as an important theme when they communicate with important publics.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21042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6286
ISSN
1225-0554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E](언론정보대학) >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광고홍보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