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 0

글로벌 브랜드숍의 상업적 공간에 대한 소비자의 체험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 슈미트(Schmitt, 1999)의 체험 마케팅적 관점을 중심으로

Title
글로벌 브랜드숍의 상업적 공간에 대한 소비자의 체험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 슈미트(Schmitt, 1999)의 체험 마케팅적 관점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Effects of Consumers' Experience of Brand Shop on Brand Equity
Author
이경렬
Keywords
Experience; Holistic experience; Brand equity; Brand shop; 체험; 체험마케팅; 총체적 체험; 슈미트; 브랜드자산; 브랜드숍; 상업적 공간
Issue Date
2010-05
Publisher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Citation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v. 18, NO. 2, Page. 83-103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브랜드숍에 대한 방문객들의 체험이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슈미트(Schmitt, 1999, 2003)의총체적 체험이론을 바탕으로 브랜드숍에대한 체험을 6개의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체험적 요소들이 브랜드자산에 어떤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슈미트(Schmitt, 1999, 2003)의 체험 마케팅적 관점이 글로벌 환경에서도 적용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인종으로 구성된싱가포르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현장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정준상관분석을 통하여 브랜드숍에대한 브랜드자산 간의 정준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브랜드숍에 대한 총체적 체험과브랜드자산 간에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브랜드숍에 대한 6개의 체험적 요소들가운데 감성적 체험이 브랜드 자산에 가장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각적 체험과 인지적 체험은 브랜드자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브랜드숍을 통한 브랜드자산 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감성적 체험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하여 브랜드숍에 대한 체험이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서, 슈미트(Schmitt, 1999, 2003)의 체험 마케팅적 관점이 글로벌 환경에서도 통용될 수 있다는가능성을 확인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impact of global consumers` experience of global brand shop on brand equity.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global consumers` experiences of global brand shop had a positive impact on brand equity composing of brand awareness,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A survey of a total of 255 consumers in Singapore was conduct to gather data to test research questions. The independent variable(or predictors) of this study is holistic experience composed of five experiential factors including FEEL, SENSE, THINK, ACT, and RELATION while the dependent variable is brand equity including brand awareness, brand image, and brand royalty. 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experience of brand shop and brand equity.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first canonical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576, which meant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experience of brand shop and brand equ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FEEL among six experiential factors was the best predictor of brand equity while SENSE and THINK had no relationship with brand equ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theoretical foundation of building brand equity by using consumers` experience of brand shop.
URI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284313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6008
ISSN
1598-4494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PUTING[E](소프트웨어융합대학) > MEDIA, CULTURE, AND DESIGN TECHNOLOGY(ICT융합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