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 0

스마트 소셜 콘텐츠의 효과적인 정보 디자인을 위한 TUI 내비게이션 연구 - 소셜 콘텐츠의 유형별 App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Title
스마트 소셜 콘텐츠의 효과적인 정보 디자인을 위한 TUI 내비게이션 연구 - 소셜 콘텐츠의 유형별 App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Other Titles
A Study on Effective Information Design of Smart Social Contents for TUI Navigation -Focused on Social Network Service App-
Author
김성훈
Keywords
스마트 콘텐츠; 기부문화; 사용자 상호작용; Smart Contents; Donation Culture; User Interaction
Issue Date
2015-03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21, NO. 1, Page. 65-75
Abstract
최근의 미디어 환경은 스마트 기술과 디바이스를이용한 스마트 미디어 환경으로 진화하여, 사람들의정보 공유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사용자들의 집단지성을 이용한 다양한 스마트 미디어의콘텐츠 형태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App이 활성화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 환경인 TUI가 보편적인 시스템 제어 방법이 되어 사용자의 Gesture를 이용하여 정보의 사용과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App의 효과적인 정보 디자인을 위한 TUI 내비게이션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한다. 분석 방법으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App의 대표적인 사례를 선정하고스마트 인터랙션에서의 사용성 요소인 맥락적 이해성,활용적 용이성, 시각적 심미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체계적인 분석을 위하여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자문회의와 포커스 인터뷰를 통해 사례별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5점 척도의 선호도 분석과 그에 따른 의견을 종합하였다. 분석결과 맥락적 이해성에서는 이미지 슬라이드의 활용, 시각적 단서제공, 일괄적인Gesture 사용이 도출되었고, 활용적 용이성에서는 퀵메뉴와 같은 서브 내비게이션 활용, 스크린의 확장성확보가 도출되었다. 시각적 심미성에서는 메타포와 텍스트의 활용과 컬러를 이용한 사용자 위치 정보 제공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정보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제작에 있어 기초 자료로 사용되길기대한다.;As the recent media environment has evolved intosmart media environment of using smart technologyand devices, people’s information is shared in real time. As a result, social network service Apps which are thecontents forms of diverse smart media using thecollective intelligence of users are invigorated. Also, asTUI (Touch User Interface), the interface environmentof smart device, has become a universal system controlmethod, use of information and movement is achievedusing the gestures of users. Accordingly, in this study,we intend to carry out a study on TUI navigation foreffective information design of social network serviceApp. As to the analysis method, the representativeexamples of social network service Apps were selectedand analyzed on the basis of contextual understanding,utilization easiness, visual aesthetics, which are theusability factors of smart interaction. For systematicanalysis, an analysis of each example was carried outby organizing an expert group and through advisorymeetings and focus interviews, and the result of apreference analysis carried out using five-point scaleand the opinions on it were put together. As a resultof the analysis, utilization of image slides, provision ofvisual clues, and use of unified gestures were derivedfrom contextual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sub-navigation such as Quick Menu and securementof the expandability of the screen were derived fromutilization easiness. From visual aesthetics, utilizationof metaphor and text, and provision of the user’spositional information in full color were derived. Theresult of this study has presented the direction of theinformation design of social network service, and is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c data when producingsocial network services in the future.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54319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4936
ISSN
1598-649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