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 0

빅데이터 연관어 검색과 퍼소나를 통한 사용자 경험 정보 추출에 관한 연구

Title
빅데이터 연관어 검색과 퍼소나를 통한 사용자 경험 정보 추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Deducting UX Facts by Processing Associated Words from Big Data through Persona
Author
이재환
Keywords
Social Networks Insight; SOCIAL metrics; User Experience information; 소셜네트워크 인사이트; 소셜메트릭스; 사용자 경험 정보
Issue Date
2016-03
Publisher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Citation
산업디자인학연구, v. 10, NO. 1, Page. 145-154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후기 및 선호도, 사용자 감성, 라이프스타일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디자이너가 제품을 디자인하는 데에 필요한 사용자 경험 요소를 추출하고결과를 통해 제품디자인 콘셉트를 도출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및 사례분석을 통해 빅데이터와 사용자 경험디자인 요소 추출에 대한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본 연구의 기초가 되는 개념을기술하였다. 본론에서는 오픈형 빅데이터 분석 툴의 정제를통하여 제품의 연관어와 사용자 경험디자인 요소 활용에 대한실험 설계를 설정하고, 키워드 수집 및 분류와 퍼소나에 나타난 행동 씬들을 분류하여 사용자 경험을 추출한 후에 요인분석 과정을 통해 제품 디자인 콘셉트를 도출하였다. 연구를 위한 실험 범위는 일상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생활가전제품으로정하였고, 그 중에서도 제품을 사용하는 사람의 생활패턴과주거 환경에 따라 행동이 표현될 수 있는 대상으로 청소기를선정하였다. 청소기의 콘셉트로 힘들이지 않고 청소나 이동이가능한 듀얼시스템으로 빗자루를 사용하는 것처럼 간단하게청소를 하게 되는 곳은 본체에서 쉽게 분리형으로 사용할 수있도록 하고 소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청소기 헤드는 본체에서 분리되는 형태에서 사용이 간단하게 된 구조로용도에 맞게 본체에서 원터치 형식으로 교체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일반적인 데이터 마이닝은 주관적인 해석이있을 수 있으나 디자이너가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빅데이터의 정성적 데이터를 퍼소나를 통해 사용자의 경험과 요인들을 추출하여 사용자의 요구가 적용된 디자인 콘셉트를 추출할 수 있었다. 빅데이터 분석 툴을 통해 추출되는 사용자 경험관련어에 대해 주관적인 디자이너의 해석이 아니라 사용자의요구를 구체화하고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The research aimed to elicit the design concept through extracting factors of user experience for product designer. In order to conduct the research, user feedback, preference, user emotion and big data of lifestyle were utilized. As a theorical background, the basic concepts of big data were described as well as the pilot study and the case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extraction of factors of user experience design. In the main body, the experiment about factors of user experience was designed via the opened analytic tool of big data. The product design concept was selected from factors of user experience through the collection of keywords and scenario classification of user behavior by persona. As object model of experiment, the vacuum was selected as one of household electric appliances for analysis. The reason is that it is useful to observe user’s daily life pattern. The design concept of vacuum is a dual system and small size. Also, It has useful movement in order to clean up simply. The head of the vacuum is separable type from main body, which is able to replace the part in the form of one touch. The research is able to elicit the design concept reflected on user needs via the extraction of user experience and factors through personas in place of qualitative data of big data. Hence, the result offers the method to definitive the user requirement about user experience keywords extracted by the big data analysis tool in place of subjective interpretation from designers.
URI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69385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4817
ISSN
1976-8745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