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9 0

탐진강-강진만의 댐하류 열린하구 시스템에서 유기탄소의 조성 및 기원 변화 연구

Title
탐진강-강진만의 댐하류 열린하구 시스템에서 유기탄소의 조성 및 기원 변화 연구
Other Titles
Tracing Source and Concentration of Riverine Organic Carbon Transporting from Tamjin River to Gangjin Bay, Korea
Author
신경훈
Keywords
carbon transport; dam impact; estuary; ecosystem linkage; POC
Issue Date
2017-12
Publisher
한국하천호수학회
Citation
생태와 환경, v. 50, NO. 4, Page. 422-431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상류댐과 열린하구를 가진 소유역에서 하천을 통해 기수역에 유출되는 육상기원 유기탄소의 농 도와 발생기원의 시공간적인 분포를 파악하였다. 탐진강 과 강진만의 연구결과, 탐진강 상류에 건설된 댐저수지와 강진만 해양에서는 여름 강우 이전에는 일차생산에 의해 저수지 기원, 그리고 해양기원 식물플랑크톤이 유기탄소 의 성상과 조성에 영향을 미쳤다. 댐하류 하천에서는 상류 댐에서 유래한 물질이, 그리고 금강천이 합류되면서 지류 의 영향이 나타났다. 탐진강 하구역은 조석간만에 따라 탐 진강에서 공급되는 물질과 바다에서 유입되는 물질, 그리 고 국지적인 갈대습지의 영향이 복잡하게 작용하여 DOC 와 POC의 농도변화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특히, 탐진강에 서는 대부분의 유기탄소가 DOC 형태로 강하구로 유출되 는 반면, 강진만에서는 해양으로부터 들어오는 식물플랑크 톤의 영향으로 POC 형태의 공급이 우세하게 나타나는 등 유기탄소의 성상별, 발생기원별 전이가 뚜렷하게 발생하 였다. 이와 같은 강과 해양으로 연결하는 하천 유기탄소의 시공간적인 변화연구는 유역의 환경변화에 따른 생태계 물질이동 변화를 평가하고 예측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 이다.;The biogeochemical information of riverine organic matter gives a detailed and integrated recording of natural and anthropogenic activity within a watersh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quality and quantity of organic carbon transporting from mountain to ocean via river channels, we estimated the concentrations of dissolved (DOC) and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and then traced the source origin of POC using stable carbon isotopes ratio before and after summer rainfalls in the Tamjin River and Ganjin Bay, Korea. Along the small watershed, a total of 13 sites including headwaters, dam reservoir, river and estuary were established for the study. We found some interesting findings in the aspect of distribution of DOC/POC concentration changing their origin sources dynamically flowing downstream. In particular, the river channel transport downstream mainly DOC to river mouth, although upper dam reservoir increased POC concentration by phytoplankton production in summer. Whereas, in the river mouth and estuary, POC was dominated not only by local supply from nearby reed saltmarsh, but also by marine phytoplankton production, respectively. The findings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riverine organic carbon transport in upper large dam and lower open estuary system.
URI
http://db.koreascholar.com/Article?code=34109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1813
ISSN
2288-1115;2288-1123
DOI
10.11614/KSL.2017.50.4.422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E](과학기술융합대학) > MARINE SCIENCE AND CONVERGENCE ENGINEERING(해양융합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