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8 0

이성복 초기시의 기독교적 세계관과 구원의 양상 연구

Title
이성복 초기시의 기독교적 세계관과 구원의 양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ristian Worldview and the Aspects of Salvation in Lee Seong-bok’s Early Works
Author
최세웅
Alternative Author(s)
Choi Se-woong
Advisor(s)
유성호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hristian worldview that appears in Lee Seong-bok's early poetry, and to analyze how the recognition of the following forms the basis of the poetic narrator's pain.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examine the changing aspects of perception of reality and search for salvation. In the meantime, Christian-related analysis of Lee Seong-bok has been made, but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have approached Christianity as a central theme, so it is considered an area that needs further research. This study sets the scope of research by Lee Seong-bok's unpublished poems before his debut, his first collection of poems 『When Does a rolling stone Awaken?』, and his second collection 『South Sea, Silk Mountain』 as his early poems, and reveals the Christian worldview of his early poems. Christianity in South Korea grew rapidly through the industrialization era after the Korean War, and in this process, Christianity went beyond religion and had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influences. In particular, in the 1970s and 1980s, when Lee Seong-bok began his career, it had a great influence on South Korea. Paul Tillich proposed a maxim that “religion is the substance of culture, and culture is the form of religion,” essentially reconn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literature that has been estranged since the age of Enlightenment. Even in the early poems of Lee Seong-bok, a representative modernist poet, Christian motives such as covenant, wandering, messiah, and salvation appear repeatedly in many places, through which Lee Seong-bok's Christian worldview is confirmed. In Chapter 2, this study examines the Christian worldview and its poetic imagery common in his early poems, and furthermore, deals with the pain and anxiety caused by the Christian worldview. It depicts the pain caused by the absence of God or the absence of a covenant, highlights the absurdity of reality by projecting the main characters of The Holy Bible as a family, depicts the incompetence of the absolute, and the human agony of Jesus. Chapter 3 examines the pain and search for salvation that stand out in each of the two collections of poetry. In 『When Does a rolling stone Awaken?』, the poet tries to overcome the pain from the fall and collapse of the ‘father’ world through Nietzsche’s ‘Dionysian affirmation’. In 『South Sea, Silk Mountain』, he faces the powerful pain of ‘Disgrace’, and at this time, he longs for ‘mother’ as a religious meaning through the imagery of the sacrament. In the case of Lee Seong-bok's early poems, the process of intense awareness of reality and search for salvation appears within the Christian worldview, and the journey to find salvation is confirmed in the pain and suffering of reality. Keywords: Lee Seong-bok, Early poetry of Lee Seong-bok, Christian worldview, Christianity, Covenant, Abraham, Paul Tillich, Nietzsche, Salvation, The Holy Bible, Communion, The Virgin Mary, 1970s literature, 1980s literature| 본고에서는 이성복 초기시에 나타나는 기독교적 세계관을 살펴보고, 기독교적 세계관에 따른 인식이 시적 화자의 아픔의 근저를 이루는 모습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또한, 현실인식과 구원 모색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동안 이성복에 대한 기독교 관련 분석이 이루어지긴 하였으나, 기독교를 중심 주제로 접근한 연구는 많지 않아 아직 더 연구되어야 할 부분으로 생각된다. 본고는 이성복의 등단 이전 미발표시부터 첫시집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를 거쳐, 두 번째 시집 『남해금산』까지를 초기시로 설정하여 연구범위를 정하고, 초기시의 기독교적 세계관을 밝힌다. 한국에서 기독교는 한국전쟁 이후 산업화 시대를 거치며 빠르게 성장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기독교는 종교를 넘어 사회·문화적, 정치적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이성복 시인이 초기 활동을 하던 1970-80년대에 문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폴 틸리히(P. Tillich)는 ‘종교는 문화의 실체이며, 문화는 종교의 형식’이라라는 명제를 던지며, 계몽주의 이후 멀어져가던 종교와 문학의 관계를 본질적으로 다시 연결 짓는다. 모더니즘 계열의 대표적 시인인 이성복의 초기시에서도 언약, 유랑, 메시아, 구원 등의 기독교적 모티브가 여러 곳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이를 통해 이성복의 기독교적 세계관이 확인된다. II장에서 본고는 그의 초기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기독교적 세계관과 그 시적 형상화를 살펴보고, 나아가 기독교적 세계관으로 인한 아픔, 불안 등을 다뤄본다. 시인은 신의 부재 혹은 언약의 부재로 인한 아픔을 그리거나, 성경의 주요 인물들을 가족으로 투영시켜 현실의 부조리를 부각시키거나, 절대자의 무능력함, 혹은 예수의 인간적 고뇌 등을 그려낸다. III장에서는 두 개의 시집별로 두드러지는 아픔과 구원 모색을 검토한다.『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에서 시인은 ‘아버지’ 세계의 몰락에서 오는 아픔을 니체의 ‘디오니소스적 긍정’의 시쓰기를 통해 극복하려 한다. 『남해금산』에서는 ‘치욕’이라는 강력한 고통과 마주하게 되는데, 이때는 성찬의 형상화를 통해 ‘어머니’를 종교적 의미로서 갈망하게 된다. 이성복 초기시의 경우 기독교적 세계관 내에서 치열한 현실인식과 구원의 모색 과정이 나타나는데, 현실의 아픔과 고통 속에서 결국 구원을 찾아가는 여정이 확인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750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49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