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5 0

지구온난화 문제에 대한 공중의 상황인식과 환경 불안, 환경 죄책감이 온라인 액티비즘에 미치는 영향

Title
지구온난화 문제에 대한 공중의 상황인식과 환경 불안, 환경 죄책감이 온라인 액티비즘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situational variables, eco-anxiety, and eco-guilt on the public's online activism on global warming issues
Author
박보형
Advisor(s)
한미정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날로 심화되는 지구온난화 문제상황에서, 환경에 대한 공중의 심각성 인식이 높아진 가운데 공중의 문제해결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면밀히 살펴보고 어떤 요인이 공중의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 행동을 이끄는지 규명하여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제해결 상황이론(Situational Theory of Problem Solving)의 상황인식과 문제해결 행동을 촉발하는 동기로서 정서적 요인에 해당하는 환경 불안, 환경 죄책감이 적극적 문제해결 커뮤니케이션인 온라인 액티비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온라인 액티비즘이 탄소저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커뮤니케이션 행동의 결과가 실제 친환경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행 기관을 통해 비례할당추출법으로 표집된 대한민국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총 367 개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해 상황인식과 환경 불안, 환경 죄책감이 온라인 액티비즘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해 95% 신뢰구간에서 환경 불안 및 환경 죄책감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였고, 마지막으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온라인 액티비즘이 탄소저감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구온난화에 대한 문제인식은 환경 불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제약인식은 환경 불안 및 환경 죄책감 모두에게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지구온난화 문제해결에 있어 개인적 노력의 한계를 지각할수록 관련 주제 및 책임에서 회피하게 되어 불안 및죄책감의 감정이 덜 유발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관여도의 경우 환경 불안과 환경 죄책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인식과 관여도는 온라인 액티비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제약인식은 온라인 액티비즘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중이 지구온난화 문제에서 지각하는 개인적 노력의 한계성에 따라 적극적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참여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셋째, 환경 불안은 온라인 액티비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환경 죄책감은 온라인 액티비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액티비즘은 탄소저감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연결 행동보다 적극적인 차원인 홍보 행동이 탄소저감 행동에 더 높은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공중의 지구온난화에 대한 인식 및 감정을 살펴보고, 지구온난화 대응으로서 공중의 적극적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또한 온라인 액티비즘이 탄소저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면서 보다 효과적으로 탄소저감 행동을 이끌 수 있는 요인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구온난화 관련 환경 캠페인 및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효과적으로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This thesis explores the communication process for solving problems in the public amid the heightened public awareness about the seriousness of the environment in the midst of this ever-intensifying global warming problem, and it also contributes to laying the foundation for strategic communication by identifying which factors lead to active public communication behavior. To this end, based on the Situational Theory of Problem-Solving,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eco-anxiety and eco-guilt, which are emotional factors as motives to trigger situational awareness and problem-solving behavior, on online activism, an active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In addition, it looks into whether the results of communication behavior affect actual eco-friendly behavior by examining the effect of online activism on carbon reduction behavior.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Korean adult males and females sampled by the quota sampling method through a survey agency, and a total of 367 subjects’ responses were used for this analysis. The effects of situational variables, ecoanxiety, and eco-guilt on online activism were verifi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n the mediating effects of eco-anxiety and eco-guilt were explored at the 95% confidence interval using bootstrapping. Finally, the influence of online activism on carbon reduction behavior was verifi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first, it is found that problem recognition of global warming is a key factor that has a positive impact on eco-anxiety. The constraint recognition shows a negative effect both on eco-anxiety and on eco-guilt, which infers that the more you perceive the limits of your personal efforts in solving the global warming problem, the less you feel anxiety and guilt as you avoid relevant topics and responsibilities. As for level of involvement, both eco-anxiety and eco-guilt show a positive effect. Second, problem recognition and level of involvement do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online activism, whereas constraint recognition shows a negative effect on it, which indicates that the public participates in active communica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perceived limitations of individual efforts in the issue of global warming. Third, eco-anxiety does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online activism, while eco-guilt shows a positive effect on it. Finally, online activism shows a positive effect on carbon reduction behavior, particularly when active public relations behavior has a higher impact on it than the connection behavior. This research examines the public's perceptions and emotions about global warming and explores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their active communication behavior as a response to it. Meanwhile, more effective factors leading to carbon reduction behavior are suggested, confirming the effect of online activism on carbon reduction behavior.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proposed to effectively organize environmental campaigns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regarding global warming.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521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44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광고홍보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