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1 0

대인관계 외상 경험 대학생의 부모 감정 불인정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Title
대인관계 외상 경험 대학생의 부모 감정 불인정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Parental Invalidation of Emotion on Posttraumatic Growth among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Mentaliz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Author
정두리
Advisor(s)
조한익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 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감정 불인정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과 정신화 및 의도적 반추를 통한 간접적 영향력을 함께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대학생 중 대인관계 외상 경험을 1회 또는 1회 이상 경험했다고 응답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663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6.0을 통해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2.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정신화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팬텀변인을 설정하였으며, 부트스트랩 방식을 통해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 감정 불인정은 정신화와 의도적 반추, 외상 후 성장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한편, 정신화는 의도적 반추, 외상 후 성장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또한 정적 상관의 관계를 보였다. 둘째, 부모의 감정 불인정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아버지와 어머니 모형에서 모두 부모로부터 감정을 인정받지 못했다고 느낄수록 외상 후 성장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 어머니의 감정 불인정은 정신화를 저해할 수 있지만, 정신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직접경로는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나고 있어 부모의 감정 불인정이 정신화를 통해 외상 후 성장에 가는 간접경로 또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감정 불인정이 의도적 반추를 통해 외상 후 성장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아버지와 어머니의 연구모형에서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다섯째, 부의 감정 불인정 모형에서는 부의 감정 불인정이 정신화와 의도적 반추를 순차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반면, 모의 감정 불인정 모형에서는 모의 감정 불인정이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신화와 의도적 반추가 순차매개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대인관계 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이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주는 내·외부적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트라우마 내담자들의 치료에 다각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세부적인 경로를 살펴보았다는 데에 시사점을 갖는다. 다시 말해, 본 연구는 대인관계 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을 심도있게 이해하고,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회환경적 요인, 정서와 인지적 요인 등을 종합하여 상담에 적용할 수 있는 통합경로 모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 부모 상담·교육 등의 장면에서 부모가 자녀를 어떻게 이해하고, 어떻게 개입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rect influence of parental invalidation of emotion on post-traumatic growth and indirect influence through mentaliz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among university students living all over the country who responded that they had experienced one or more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s, and a total of 663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rough SPSS 26.0,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using AMOS 22.0. In addition, a phantom variable was set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s of mentaliz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and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was verified through the bootstrap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parental invalidation of emo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entalizat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while mentaliza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als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ffects of parental invalidation of emotion on post-traumatic growth, it was found that in both the father and mother models, the more they felt that their emotions were not acknowledged by their parents, the lower the level of post-traumatic growth. Third, the emotional invalidation of fathers and mothers can inhibit mentalization, but the direct path of mentalization on post-traumatic growth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Accordingly, The indirect path of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on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mentalization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parental invalidation of emotion indirectly affects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deliberate rumination, significant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in common in the study model of father and mother. Fifth, the influence of father's emotional invalidation on post-traumatic growth by sequentially mediated mentaliz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mentaliz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do not sequentially mediate in the process that mother's emotional invalidation affects post-traumatic growth.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affect post-traumatic growth in university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These results provided a detailed pathway to approach the treatment of trauma clients from various methods. In other words, this study enables a deeper understanding of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Also,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an integrated pathways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counseling by synthesizing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emotional and cognitive factors that can affect post-traumatic growth.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provide practical help on how parents can understand their children and help their children in the parental counseling and education.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619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88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