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5 0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을 위한 온라인 미술관 연계 감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

Title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을 위한 온라인 미술관 연계 감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of an Online Museum-Linked Apprecia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Cultivation of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 With a focus on online exhibition planning of middle school art curriculums
Author
박정현
Alternative Author(s)
Jeonghyeon Park
Advisor(s)
현은령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2000년대 이후 탄생한 세대들은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라고 불릴 만큼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 익숙하다. 때문에 최근 디지털 환경에서 자연스럽게 무분별한 정보를 이성적 사고 없이 받아들이는 청소년들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매체를 올바르게 활용할 수 있는 역량,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상황으로 인해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 되었고, 2022 개정 교육과정도 모든 교과에 디지털 소양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미술교육에서도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과 교과과정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학교 미술 수업 현장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실재하는 수업의 방법론적 접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변화하는 정보기술발전에 기반하여 청소년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이에 국내외 미술관들이 구축한 온라인 미술관을 활용한 미술교육의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온라인 미술관을 활용한 미술교육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일환으로 온라인 미술관을 활용하 여 학습자들의 디지털 기술과 매체의 이해 및 활용과 올바른 감상 및 표현 태도 신장하도록 기여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온라인 미술관을 활용한 미술수업이 미비한 실정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는 관련 수업 프로그램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전문적인 디지털 매체인 온라인 미술관의 교육적 활용성에 대한 의의와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을 위해 온라인 미술관 연계된 효과적인 미술교육에 대한 탐색의 일환이라는 목표 의식을 가지고 출발하였으며, 이에 대한 방안으로 온라인 미술관 연계 전시기획 교육을 선정하여 교육적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I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구성 역량을 도출하고, 이를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핵심 역량과 성취기준을 비교·분석하여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에 전시기획 활동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을 위한 전시기획 프로그램에서 활용할 온라인 미술관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온라인 미술관의 활용이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와 온라인 미술관 전시콘텐츠 유형을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을 위한 온라인 미술관 연계 교육프로그램에 어떤 매체를 활용할 것인지에 중점을 두었다. 4장에서는 위의 연구 절차를 바탕으로 중학교 미술 수업에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을 위한 온라인 미술관 연계 전시 기획 프로그램을 개발해 제시하였다. 또한,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역량을 기초로 프로젝트 학습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해 ‘내가 만들어보는 온라인 미술관’이라는 주제로 8차시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온라인 미술관 매체로 구글 아트앤 컬처와 ZEP을 선정하였고, ‘중학교 미술과 성취기준을 연계한 평가 기준표’,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역량을 기준으로 한 채점 기준’ 및 ‘자기 평가 및 동료평가 방법’을 주요 평가 도구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연구 과정 및 내용을 종합해 봄으로써 연구의 의미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을 위한 전시기획 교육의 활용 매체로서 온라인 미술관을 설정하고, 온라인 미술관의 개념과 이를 활용한 교육적 특징을 살펴보고,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의 연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디지털 전환 시대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필요성과 디지털 전환이 미술 분야(미술관)에는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이해하며 평생 교육으로도 의미가 있는 온라인 미술관에 접속하여 다양한 온라인 미술관 콘텐츠 유형을 이해하고 감상하며 디지털상의 미술 작품 콘텐츠를 향유하고 윤리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태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중학생들에게 메타버스라는 새로운 개념의 디지털 공간을 활용한 전시를 기획하며, 디지털 상의 감상자와 제작자로서 실제적인 참여 경험을 제공하고 실제 삶에 있어 서도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을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디지털 소양을 강조하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의미 있는 미술교육 프로그램으로써 학교 현장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기를 희망한다. 또한 이러한 디지털 기반의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해서는 교사가 변화하는 디지털 기술과 매체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인 연구할 필요가 있다.|Younger generations born in the new millenium are so familiar with a digital media environment that they are called digital natives.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adolescents who accept indiscriminate information naturally in the digital environment without any rational thinking is increasing. The solution to this issue places importance on education to cultivate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to make appropriate uses of digital media. The importance of cultivating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has been further highlighted amid the recent COVID-19 pandemic. The Revised Curriculum of 2022 clearly stipulates that all subjects should be organized to reinforce digital literacy. As there is a growing importance placed on the cultivation of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art education also emphasizes a need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curriculums based on digital media. There is, however, a lack of research on methodological approaches to cultivate digital literacy in real art classes in school. This study examines the importance of adolescents cultivating their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based on the recent changes to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makes a judgment about the need for art education utilizing an online museum set up by museums home and abroad. As par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online museum-based art education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digital technologies and media of students, appropriate appreciation, and improved expressive attitudes based on an online museum. There is only an incomplete pool of art lessons using an online museum, so this study set the goal of developing a program for related lessons. This study was conceived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effective art education linked to an online museum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in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online museums as professional digital media and cultivate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A plan was made for education using an online museum-linked exhibition to secure educational validity. To build a theoretical background, Chapter 2 identified the component capabilities of digital literacy in previous studies, compared and analyzed them with the core competencies and achievement criteria of the Revised Art Curriculum of 2015, and confirmed that exhibition planning activities were appropriate for the cultivation of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Chapter 3 analyzed online museums to be used in an exhibition planning program for the cultivation of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Process connections were also analyzed between the utilization of online museums and the cultivation of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along with the types of exhibition content in online museums to focus on which media should be used in an online museum-linked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ultivation of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Chapter 4 developed and presented an online museum-linked exhibition planning program for the cultivation of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applicable to middle school art less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cedure discussed earlier. A project learning model was proposed based on the component capabilities of digital literacy and applied to lessons. An eight-lesson instructional plan was provided under the topic of an online museum I create. Google Arts & Culture and ZEP were selected as online museum media tools. Three main evaluation tools were used including a table of evaluation criteria linked to the achievement criteria of art in middle schools, scoring criteria based on the component capabilities of digital literacy, and methods of self-evaluation and peer evaluation. Finally, Chapter 5 examined its meanings by putting together its research processes and content. The study selected online museums as media to be used in exhibition planning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examined the concept of online museums and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ir utilization, and demonstrated connectivity between online museums and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In an era of digital conversion, students need to recognize the need for digital literacy and understand the effects of digital conversion in the field of art (museums). By logging into online museums that hold significance for lifelong education, the study understands and appreciates the diverse content types of online museums, enjoys the content of art work in digital forms, and develops an attitude of sharing them ethically. Middle school students are offered an opportunity to plan an exhibition based on the digital space of the new Metaverse, participate in real experiences as appreciators and producers in digital space, and cultivate their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in real life. The program developed in the study holds its significance as an art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 Revised Curriculum of 2022 that emphasizes digital literacy. It will be hopefully actively utilized in the field of school. These types of digital-based art education programs can be developed further by teachers who take a profound interest in the changing digital technologies and media and conduct ongoing research on them.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3045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73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