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1 0

펑크 패션의 특성을 활용한 3D 디지털 패션디자인

Title
펑크 패션의 특성을 활용한 3D 디지털 패션디자인
Other Titles
Development of 3D Digital Fashion Design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Punk Fashion
Author
이연남
Alternative Author(s)
LI YANNAN
Advisor(s)
이연희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펑크는 청년 문화의 가장 대표적인 스타일로 펑크 패션은 불합리한 기존 질서를 무너뜨리고 싶은 자유정신, 새로움에 대한 도전정신을 표현한다. 비비안 웨스트우드(Vivienne Westwood)는 찢어진 티셔츠, 과격한 문구의 표현 등 1970년대 현대 문명을 거부하면서, 저항하던 펑크족을 열광시키고 펑크의 여왕이라 불리며 '펑크 룩(punk look)'의 새로운 장르를 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펑크의 특성을 이해하고, 비비안 웨스트우드의 패션작품에 나타난 펑크 패션의 표현 특성, 내적 의미를 분석하여 현 시점에 적용할 수 있는 펑크 패션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또한 비비안 웨스트우드의 펑크스타일을 분석 한 후, CLO 3D 가상착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디지털 패션 디자인으로 전개하고 펑크 패션의 전개 방향을 넓혀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 선행연구와 문헌 연구 조사를 통하여 펑크 개념과 표현특성을 살펴보고, 펑크 등장 배경과 패션에서 나타난 펑크의 표현 특성을 비비안 웨스트우드의 컬렉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범위는 비비안 웨스트우드의 2018년 S/S부터 2022년 F/W까지 최근 5년간 10개 시즌 컬렉션을 범위로 하였고, 총 581장의 컬렉션 사진 자료를 수집하였다. 의류학 전공 전문가 집단의 검증을 통하여 펑크 패션의 특성이 나타나는 410장의 사진 자료를 대상으로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비비안 웨스트우드의 컬렉션 사진 자료를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비비안 웨스트우드의 펑크 표현 특성은 전통성, 친환경성, 유희성, 저항성, 해체성 등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성은 비비안 웨스트우드의 고전과 영국의 전통을 탐구하여 클래식한 영국식 컷팅과 시그니처한 전통스타일을 조화롭게 재설계하여 새로운 원형과 고전작품을 균형있게 구현하였다. 둘째, 친환경성은 비비안 웨스트우드의 독특한 생태계 보존에 대한 견해와 표현으로, 색상이 눈에 띄는 표지판이나 슬로건과 옷에 꽃을 새겨넣는 뜨개질 공법과 친환경 원단의 사용을 통해 드러난다. 셋째, '유희성'은 주로 게임의 형태로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넷째, '저항성'은 펑크 정신의 연장선으로 과거 파괴적이고 과격했던 표현 방식이 변모하여 사회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메시지 전달 형태로 나타났다. 시스루 소재로 몸매를 표현하거나 페티코트, 뷔스티에, 신축성 소재 등을 활용해 보디라인을 강조하며 해체적인 특성도 함께 나타냈다. 다섯째, 펑크의 ‘해체성’은 비비안 웨스트우드 디자인의 주된 특성인 펑크스타일을 바탕으로, 도발적인 태도를 통해 패션의 구조를 과감히 파괴함으로써 사회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비비안 웨스트우드 패션에 나타난 펑크 특성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3D 가상 착장의 디지털 패션 디자인의 8가지 디자인을 전개하여 제안하였다. 디자인 전개에 활용되는 CLO 3D 프로그램은 시간 절약 및 경제적 절약, 제작 시간의 단축 등의 디자인 전개 시 유용한 특성을 가지며, 이러한 특성은 펑크와 친환경의 특성을 살린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본 연구의 3D 디지털 패션디자인 전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비안 웨스트우드의 패션은 친환경의 환경 보호 키워드로 자주 언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3D CLO 기술로 펑크 특성의 다양한 디자인과 스타일의 전개 가능성을 보여준다. 둘째, CLO 3D 기술은 제작비 절감, 의류 제작 가속화, 친환경 콘셉트에 맞는 새롭고 편리한 디자인 방법으로 디자인 분야의 다양성과 다변화를 보여준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펑크 디자인의 다양한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향후 펑크 디자인에도 다양한 디자인 스타일을 적용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CLO 3D 프로그램은 앞으로도 패션산업에서 활용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본 연구가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향후 패션에 활용될 펑크 특성의 디자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3D 가상착장 프로그램과 결합된 디자인 연구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867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65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LOTHING & TEXTILES(의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