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0 0

거문고 솔로와 실시간 전자음향을 위한《Essential Sound II》 작품분석

Title
거문고 솔로와 실시간 전자음향을 위한《Essential Sound II》 작품분석
Author
유현진
Advisor(s)
Richard Dudas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thisis is an analytical study of <>, a composition for geomungo and live-electronics by Hyunjin Yoo. The composer was attracted to the tone color geomungo, a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 and the various nuances of its playing technique. The electronic sounds were created with the soft program Max 8, in order to expand the sounds that the instrument can make using real-time control. Through these techniques, not only traditional 'notes' but also 'structured sounds' can be discovered. To do this, a patch the name for a program in Max was designed to implement effects, and playback sound based on the physical and acoustic foundations of the geomungo, according to the fundamental musical concept of the work. In other words, an attempt was made to create new sound possibilities by combining the artistic and technical aspects of the music. Specifically, althrough the geomungo's acoustic sounds have been expanded through new playing techniques, the sound of the geomungo is further expanded through timbre changes resulting from temporal reconstruction, spatial reconstruction 4-channel panning, and electronic sounds created by modulating the geomungo sound itself. This study aims to show the structure and sound materials through analysis, and the highlight the role of the patch and electronic sound, and their musical meaning. |본 연구는 유현진 작곡 거문고와 실시간 전자음향을 위한 《Essential sound II》 작품의 분석 연구이다. 작곡가는 전통악기인 거문고가 가지고 있는 소리의 음색, 주법에 따른 다양한 뉘앙스에 매력을 느끼고 이를 소프트 프로그램 Max 8을 이용하여 전자음향을 만들었고 실시간 제어를 통하여 거문고가 낼 수 있는 소리 들을 더욱 넓혀갔다. 이를 통해 전통적인 ‘음’뿐만 아니라 ‘조직 된 소리’들을 찾아가고자 했다. 이를 위해 작품구상에 있어서 음악적 토대와 더불어 거문고의 물리적, 음향적 토대를 바탕으로 악기를 접근하고 이를 구현하고자 프로그램을 설계 및 제작하였다. 즉 음악의 예술적인 측면과 기술적인 측면을 결합하여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시도를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거문고의 여러 종류의 지시부호에 따른 음색변화와 변조기법을 통한 시간적 재구성, 공간적 재구성을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해 설계 하였고 거문고 소리를 녹음하여 만든 전자음향을 통해서 거문고가 이미 가지고 있는 소리를 더욱 확장하여 새로운 소리 들을 찾아가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작품분석을 통해 소리 재료를 구조화하는 방법과 전자 음향 분석 및 역할 그리고 그 의미에 대해 연구 하고자 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729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63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USIC(음악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