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 슈베르트 《겨울 나그네 D.911》의 피아노 반주부에 관한 연구. | 인채연 |
2019 | 피터 에벤의《북스테후데를 기리며》의 분석 연구 | 박지혜 |
2019 | Program Annotation : 졸업연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 A. Vivaldi, J. Brahms, F. Liszt, R. Quilter, J.Massenet의 성악작품 해설 | 박은우 |
2019 | Program Annotation: 졸업연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 G. F. Händel, G. Fauré, F. Mendelssohn-Bartholdy, L. Ronald, 김효근, G. Verdi의 성악작품 해설 | 국두현 |
2019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음악 양식의 일관성 : | 박미화 |
2019 | 모차르트 클라리넷 협주곡 A장조 , K. 622 에 대한 토픽분석 | 김가은 |
2019-02 | 중소형 리사이틀홀의 무대음향 개선에 대한 연구 | 송선혁 |
2019-02 | 양정의 「관현악곡 유삼저의 전설」의 작곡 및 작품 분석 | 양정 |
2019-02 | 브람스 ˂하이든 주제에 의한 변주곡 Op. 56a, b˃ 비교분석 | 김성민 |
2019-02 | 모차르트의 마지막 오페라 세리아 <티토 황제의 자비>의 연구 | 김민재 |
2019-02 | 벨라 바르토크의 《무반주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에 나타난 다성성과 연주 기법 연구 | 이지수 |
2019-02 | 슈베르트 바이올린 작품에 드러나는 평가와 연주 장소의 연관성 | 정가은 |
2019-02 | 슈만의 <환상곡 C장조, Op. 17>에 대한 연구 | 김경희 |
2019-02 | 알렉산더 스크리아빈의 <환상곡 b단조, 작품번호 28>의 작품 연구 | 이지성 |
2019-02 | 드보르작의 <집시의 노래 Op. 55>의 반주 기법 연구 | 김다은 |
2019-02 | 라흐마니노프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g단조 Op. 19> 반주 분석연구 | 이희정 |
2019-02 | J. S. 바흐의<파르티타 제 1번 B♭ 장조, BWV 825>에 관한 분석연구 | 강산 |
2019-02 | 라흐마니노프와 그의 <첼로 소나타 Op.19 g단조>에 대한 재고 | 김소은 |
2018-08 | 브람스 <바이올린 소나타 제3번 d 단조, Op. 108> 반주 기법 분석 연구 | 정혜민 |
2018-08 | R. Schumann의 <이야기 그림책>(Op. 113)을 통해 살펴본 음악과 문학의 연관성 | 김경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