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5 0

가상 PP 반사파 영상 작성을 위한 비반사파 신호 및 공중점 범위에 관한 고찰

Title
가상 PP 반사파 영상 작성을 위한 비반사파 신호 및 공중점 범위에 관한 고찰
Other Titles
Non-reflection events and common-midpoint range for virtual PP reflection images
Author
변중무
Keywords
가상 PP 반사파; 합성지진파; 불변위상; 공중점 범위; virtual PP reflection image; synthetic data; stationary phase; CMP range
Issue Date
2020-06
Publisher
대한지질학회
Citation
지질학회지, v. 56, no. 3, page. 355-364
Abstract
지표면 1차 다중반사파를 이용한 가상 PP 반사파 영상법이 널리 사용되지 못하는 원인을 밝히고 해결 방안을 제시코자, 지진파 자료를 합성하고 가상반사파 자료를 작성한 후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합성지진파 자료는수직 단층대가 존재하는 수평 2층 구조 모델을 대상으로 5개 파원에서 독립적으로 발생시킨 파형이 99개 수신기 위치에 도달한 것을 모의하여 유한차분법으로 구하였다. 이 자료는 반사파 신호의 최대진폭이 직접파로 전파된 레일리파의 평균 2% 이내로 매우 미약함을 보였다. 이는 트레이스 상호상관 이전에 비반사파 신호들이 최대한 억제되어야 좋은 가상반사파 영상을 얻을 수 있음을 지시한다. 가상반사파의 불변위상 특성을 고려할 때, 수평중합할 공중점 범위는 파원으로부터 상호상관 트레이스 쌍의 가까운 수신기까지 거리에 수신기 간격의 절반을 더한 거리를 넘지 않아야 한다. 또한 가상반사영상의 신호대-잡음비를 높이기 위해서는 반사파 진폭이 큰공중점 범위도 고려 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 To find major obstacles to the broad implementation of and to suggest effective processing methods for virtual    reflection images using the first surface multiples, seismic data were synthesiz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rtual reflection data were analyzed. For the synthetic data for the two-layer horizontal model with a vertical boundary, seismic energy was assumed to be generated at five independent sources and their waveforms were computed at 99 receiver locations. Maximum amplitudes of reflection signals are less than 2% of those of the direct Rayleigh waves on an average. This indicates that the non-reflection seismic events should be suppressed before correlating traces for virtual seismic data with good signal-to-noise ratios. The stationary phase of virtual reflections should be considered in determination of the optimum common-midpoint (CMP) ranges for horizontal stacking. Additionally, the CMP ranges with large reflection amplitudes should be also considered for good signal-to-noise ratios of virtual stack images.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353566&language=ko_KR&hasTopBanner=true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914
ISSN
0435-4036; 2288-7377
DOI
10.14770/jgsk.2020.56.3.355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EARTH RESOURCES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자원환경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