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1 0

하근찬 단편소설 연구

Title
하근찬 단편소설 연구
Other Titles
Ha Geun-chan's Short Stories : With Emphasis on Motifs of Physical Disability
Author
박시현
Alternative Author(s)
Park, Si Hyeon
Advisor(s)
서경석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organizes Ha Geun-chan's short stories, including the Suffering of Two Generations, Story of a Ferryboat, White Paper Beard, Red Hill, and Craftsman Shim's House, in line with major symbols and time periods, and analyzes the scenes with physical disability motifs. Moreover, this study presents anxiety and overcoming as two intensified levels of aspect regarding the physical disability motif. Post-war literature, in general, has main characters who cannot escape from anxiety and futility, or who rebel against ethics while wallowing in despair. In terms of the narrative, the process of mental damage is naturally shown. However, even though Ha Geun-chan's works are classified as post-war literature, the distinctiveness is high. Ha Geun-chan dissolves his war experiences in the works but does not always depict those experiences as painful realities. It can be said that the characters in his works are not frustrated by physical disabilities, but rather show attitudes of overcoming misfortunes and living a calm life through the intensified levels of aspect: anxiety and overcoming. In sum, Ha Geun-chan's literature is evaluated as humorous and optimistic, although it draws the unfortunate times. The life revealed in Ha Geun-chan's novels is based on the author's memory, and it is embodied by the physical disability motif.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works with emphasis on the physical disability motif and define what the motif is. Research on Ha Geun-chan’s works has been conducted on various aspects. First, there are many studies deali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in terms of time. In particular, they are carried out in ways such as analyzing war narratives by each period, describing the writer's personal experiences, or discussing democracy. Second, there are studies that analyze the works with their motifs. However, since several motifs are usually organized by each period of the work, those studies can also be seen as similar to the first research type mentioned abo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at it is possible to weave the flow of all works with the physical disability motif as the main theme. Moreover, it is intended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Ha Geun-chan's literary history by clarifying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motifs of disability are only partially mentioned in the research so far. Physical disability motifs vary from damage to the body to disability and death. This study, sharing the context of previous studies, classifies and analyzes Ha Geun-chan's short stories by each time period. However, it is different from other studies in that it deliberately selects and analyzes the works which demonstrate the aspects of physical disability. In addition to the generally known characteristics of Ha Geun-chan's literature sorted by time periods, the emphasis is placed on organizing the works according to the physical disability motif.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asserts the strong possibility of verifying what the physical disability motif means and how it affects the narrative flow of Ha Geun-chan's short stories. In this study, the main symbols in Ha Geun-chan's short stories are summarized with close scrutiny. Ha Geun-chan's war experiences are embodied in his early works. Therefore, it is notable that events which can be directly experienced through wars such as conscription and injury are typically drawn. In the early short stories, war is depicted as the present background. From mid-to-late works, by contrast, war is described as a memory of the past. They express the suffering of war from memory. In the late works, the images of body damage are transformed into disability, not only drawing war-related appearances, but also showing the path for life. It particularly reflects the writer's idea of protecting the original tradition. To summarize, this study assorts the various symbols in Ha Geun-chan's short stories into the following three types: war, memory, and tradition. It is contended that the motif of physical disability is at the core of the symbols. The meaning of physical disability motif in Ha Geun-chan's works becomes vivid by arranging the scenes that have the motifs. In this study, it is argued that the physical disability motif has three meanings: reminding the memories of war, connecting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showing a well-directed life. Subsequently, anxiety and overcoming are presented as the two intensified levels of aspect regarding the physical disability motif. Much attention is paid, in particular, to the phases of anxiety and overcoming. The anxiety aspect is believed to appear in the early process of overcoming a physical disability. While undergoing many sufferings, the characters’ anxiety expands with various emotions like compassion and wrath. Such anxiety aspect then intensifies into the next level of aspect, overcoming. This study reads the overcoming aspect as the willingness to overcome the situation, rather than the complete recovery from a physical disability. As such, the characters in Ha Geun-chan's works pass through the stage of anxiety and reach the stage of overcoming, after experiencing a physical disability. In the end, this study concludes by suggesting that the entire work of Ha Geun-chan can be encompassed within the physical disability motif, and that the motif’s intensified levels of aspect are anxiety and overcoming.| 본 연구는 하근찬의 단편소설 「수난이대」, 「나룻배 이야기」, 「흰 종이수염」, 「붉은 언덕」, 「공예가 심씨의 집」을 시대별로 주요 상징과 함께 정리하고, 작품에 드러나는 신체적 장애 모티프 장면을 분석한다. 그리고 신체적 장애 모티프의 심화 양상으로서 불안과 극복을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전후 문학을 살펴보면, 불안과 허무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인물이나 좌절감에 사로잡혀 윤리의식에 반항하는 인물이 주를 이루고 있다. 서사적인 측면에서 정신적인 훼손까지 겪는 과정이 자연스럽게 등장하는 것이다. 하지만 하근찬의 작품은 전후 문학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분명한 차이점이 있다. 하근찬은 전쟁의 경험을 작품 속에 녹여내면서 그저 괴로운 현실로만 그리지 않는다는 특징을 보여준다. 그의 작품 속 인물은 신체적 장애에 좌절하는 것이 아니라, 불안과 극복이라는 심화 양상을 통해 불행을 이겨내고 덤덤히 자리를 지키며 살아가는 태도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하근찬의 문학은 불행한 시대상을 보여줌에도 해학적이며 낙관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근찬 소설에 드러나는 삶은 작가의 기억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데, 그 기억은 신체적 장애 모티프를 통해서 형상화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장애 모티프를 중심으로 작품을 분석하고 신체적 장애 모티프가 과연 무엇인지 정의해보고자 한다. 하근찬 연구는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첫 번째로, 작품의 특징을 시대적인 측면에서 다루는 연구가 다수 있다. 특히, 시기별로 전쟁의 서사를 분석하거나, 작가의 경험을 주로 이야기하거나, 민주주의를 논하는 등의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두 번째로, 모티프를 통해 작품을 분석하는 연구도 존재한다. 하지만 여러 모티프를 작품의 시기별로 정리하고 있기 때문에 이 또한 앞서 말한 시기별 구분 방법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신체적 장애 모티프를 중심으로 모든 작품의 흐름을 엮어낼 수 있다는 점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의 모티프 연구에서는 장애 모티프가 부분적으로만 언급된다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밝히며 하근찬의 문학사를 통찰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신체적 장애 모티프는 신체의 훼손부터 장애, 죽음 등으로 변주된다. 본 연구에서도 기존 선행연구의 맥락과 같이하여, 하근찬의 단편소설을 시기적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그러나, 모두 신체적 장애 양상이 드러나는 작품만 선택하여 분석했다는 점에서 타 연구와의 차별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근찬 문학의 시기별 특징과 더불어, 신체적 장애 모티프를 중심으로 작품을 정리하는 데에 주안점을 둔다. 이런 과정을 통해 하근찬의 단편소설에서 신체적 장애 모티프가 어떤 의미가 있고 서사의 흐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면밀한 작품 분석을 통해 하근찬의 단편소설에서 볼 수 있는 주요 상징을 정리한다. 초기 단편소설에서는 하근찬의 전쟁 경험이 형상화된다. 그러므로 징용이나 상이 등 전쟁을 통해 직접적으로 겪을 수 있는 사건이 주를 이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초기 단편소설에서 전쟁이 현재의 배경으로 그려지는 것과 달리, 중기 단편소설부터는 전쟁이 과거의 기억으로 묘사된다. 기억을 통해서 전쟁의 수난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후기 단편소설에서는 훼손된 신체가 장애로 변주되어 나타난다. 그리고 전쟁과 관련된 모습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살아가야 할 삶의 방향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전통의 중요성을 통해 원래의 것을 지키고자 하는 작가의 생각을 반영한다. 정리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하근찬의 단편소설에 드러나는 상징을 전쟁, 기억, 전통으로 구분한다. 해당 상징들의 중심에 있는 것이 바로 신체적 장애 모티프라고 할 수 있다. 신체적 장애 모티프가 나타난 장면을 정리해보면, 하근찬 작품에서 가지는 의미를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장애 모티프가 전쟁의 기억을 상기시키고, 과거와 현재를 잇고, 지향하는 삶을 보여주는 등 세 가지 의미를 가진다고 주장한다. 이어서 신체적 장애 모티프의 심화 양상으로서의 불안과 극복을 제시한다. 특히, 불안과 극복이라는 양상의 단계성에 주목한다. 불안 양상은 신체적 장애 모티프가 극복되기 전에 거치는 과정에서 나타난다고 본다. 작중 인물들이 겪는 수난 속에서 불안은 연민, 분노 등 다양한 감정과 함께 확장된다. 그러한 불안 양상은 극복 양상으로 심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극복 양상을 신체적 장애의 완벽한 회복이라고 정의하기보다는 상황을 이겨내고자 하는 의지라고 읽어낸다. 이처럼, 작품 속 인물은 신체적 장애를 겪은 후 불안 단계를 지나 극복 단계에 도달한다. 결국 본 연구는 신체적 장애 모티프를 통해 하근찬 작품 전체를 아우를 수 있다는 것과 그 모티프의 심화 양상은 불안과 극복이라는 것을 제시하며 글을 맺는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190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60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