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2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준영-
dc.date.accessioned2021-12-23T02:11:40Z-
dc.date.available2021-12-23T02:11:40Z-
dc.date.issued2021-04-
dc.identifier.citation대한교통학회지, v. 39, No. 2, Page. 115-126en_US
dc.identifier.issn1229-1366-
dc.identifier.issn2234-4217-
dc.identifier.uri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552777-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6849-
dc.description.abstract차선폭원은 운전자에게 연속적인 주행 흐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도로 선형 정보 및 적정 차선 위치 등에 대해 사전에 파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국외에서는 급격한 커브구간 또는 사고다발구간 등 교통안전을 고려하거나 고령운전자의 명확하고 편리한 차선 인식을 위해 차선폭원을 넓혀 적용하고 있다. 국내 고속도로에서는 차선폭원을 10-15cm로 규정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일부 해외 국가에서는 교통안전을 고려하여 위험구간에 대해 기존 차선폭원을 넓혀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차선폭원 두께는 적용 구간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적절히 사용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기본구간인 본선구간(직선/곡선) 및 진출램프에 대하여 차선폭원 넓힘 대책의 심층 분석을 통해 국내 고속도로 도입 방안을 검토하였다. 차선폭원 변화에 따른 안전성 평가를 위해 주행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운전자 주행행태를 분석하였으며 고령운전자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50세를 기준으로 준고령/비고령 운전자를 구분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50세 미만의 비고령운전자는 주간 직선구간에서 종방향 안전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50세 이상 준고령운전자는 주간 램프구간에서 횡방향 및 종방향 주행 안전성이 향상된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결과는 향후 도로 설계 시 도로 이용자를 만족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대한교통학회en_US
dc.subjectdriving behaviouren_US
dc.subjectdriving simulatoren_US
dc.subjectexpresswayen_US
dc.subjecttraffic safetyen_US
dc.subjectwider lane line widthen_US
dc.subject운전자 주행행태en_US
dc.subject주행 시뮬레이터en_US
dc.subject고속도로en_US
dc.subject교통안전en_US
dc.subject차선폭원 두께변화en_US
dc.title주행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차선폭원 변화에 따른 운전자 주행행태 분석en_US
dc.title.alternativeDriving Behaviour Evaluation for Widening Lane Line Width on Expressways Using a Driving Simulator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2-
dc.relation.volume39-
dc.identifier.doi10.7470/jkst.2021.39.2.115-
dc.relation.page115-126-
dc.relation.journal대한교통학회지-
dc.contributor.googleauthor권경주-
dc.contributor.googleauthor이현석-
dc.contributor.googleauthor곽현준-
dc.contributor.googleauthor박준영-
dc.relation.code2021012100-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E]-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ENGINEERING-
dc.identifier.pidjuneyoung-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E](공학대학) >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ENGINEERING(교통·물류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