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2 0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유형 연구

Title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유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ypes of Short-form Video Contents
Author
이진
Keywords
숏폼 동영상 콘텐츠; 모바일 플랫폼; 웹드라마; 스낵컬쳐; Short Form Video Content; Mobile Platform; Web Drama; Snack Culture
Issue Date
2020-09
Publisher
인문콘텐츠학회
Citation
인문콘텐츠, v. 58, Page. 121-139
Abstract
본 연구는 모바일 플랫폼을 중심으로 숏폼(short-form) 형식의 다양한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유형화를 시도하고, 이를 통해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개념 정립과 지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BR>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자의 이동성은 다층적 맥락을 가진다. 이동 중에 콘텐츠의 향유가 가능한 물리적 이동성과 미디어 플랫폼들을 넘나들며 콘텐츠를 향유하는 트랜스미디어적 이동성이 그것이다. 숏폼 형식의 콘텐츠는 다층적 이동성에 최적화된 형태이다. 숏폼 동영상 콘텐츠는 유통플랫폼이나 장르를 중심으로 각기 다른 개념으로 지칭되기 때문에 플랫폼과 서비스 제공자를 중심으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지형을 거시적이고 통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특정 플랫폼이나 장르에 한정되지 않은 분류 기준이 필요하다.<BR> 이를 위해 숏폼을 동영상의 형식적 특성에 한정하지 않고 모바일 미디어와 창작자, 사용자를 매개하는 콘텍스트로 전제하고, 커뮤니케이션 형식과 콘텐츠 생성 방식을 중심으로 분류의 기준을 설정하였다. 창작자와 사용자를 매개하는 커뮤니케이션 형식을 중심으로 담론형(discourse)과 대화형(dialogue)을 나누었다. 담론형은 정보를 보존하고 분배하는 방식이며, 대화형은 정보를 교환하고 합성하는 방식이다. 콘텐츠 생성 방식을 중심으로는 햐향식(top-down)과 상향식(bottom-up)으로 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분류 기준을 적용하면 ①담론형-하향식 ②담론형-상향식 ③대화형-하향식 ④대화형-상향식이라는 4가지 유형을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형별로 다양한 콘텐츠와 플랫폼 사례를 수집해 그 특성을 도출하였다.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47760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591
ISSN
1975-4469; 2671-8707
DOI
10.18658/humancon.2020.09.121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E](국제문화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