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3 0

퍼스널 브랜딩을 활용한 시각문화미술교육 지도 방안 연구

Title
퍼스널 브랜딩을 활용한 시각문화미술교육 지도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 personal branding artwork teaching module for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uthor
이은영
Alternative Author(s)
Lee, Eun Young
Advisor(s)
김선아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Visual culture, along with popular culture production, plays a leading role in modern people's lifestyles and has a significant impact on lifestyle as a whole. In the global era of frequent exchanges between countries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and in the reality of strengthening cultural commercialism through media platforms, modern people are becoming active subjects as a kind of prosumer who produces, distributes, and consumes visual culture. Therefore, it has become important to be aware of individual judgments and values in the influence of mass media, and thus the importance of proper visual literacy to interpret visual images is emerging. In addition, modern society has become an era in which self-PR, CEOcompanies, and individual branding are gaining attention. Personal branding, which brands individuals, highlights their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ies with visual images so that they can remember objects in certain domains. Personal branding implies an individual's life and history, enabling learners to interpret and learn the situation and social culture of the times in context through images. Futhermore, in the process of building personal branding, self-awareness and self-exploration can be naturally implemented and attitudes that correctly recognize the surrounding world can be developed based on learners' own subjection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the ability to convey one's feelings and thoughts by utilizing visual images that can be met in everyday life. Therefore, I felt the need for a proper visual literacy education that can express one's subjections and values and communicate in both directions, not just teaching one-sided visual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In order to enhance learners' ability to recognize, reconstruct, and utilize the purpose and meaning of visual content exposed in daily life, practical measures that can be applied in schools using personal branding were studied. This suggests that educational authorities, including school sites, should pay attention to learners who have a role as main interpreters and architects who experience visual culture. To this end, Chapter 2 discussed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the need to utilize personal branding in visual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examin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the literature of personal branding and visual culture and art education. Chapter 3 examines the relationship and educational value of visual culture and art education on the use of personal branding by developing a "case analysis model" through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o analyze cases of visual culture and art using personal branding. Reflecting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process, Chapter 4 organized a teaching-learning guidance plan for visual culture and art education using personal branding that can be applied to high school art classes. The teaching-learning guidance plan for visual culture and art education using personal branding consisted of a total of six classes and targeted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The theme of the class is 'Making My Own Personal Branding', which is based on the learner's active identity and self-awareness in visual culture, and the guidance was constructed with importance on enhancing their ability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the purpose is to restore identity as a social member as well as learner individuals through serious exploration and reflection on learners' daily lives and to influence integrated cognitive growth. Furthermore, we would like to present a teaching-learning guidance plan as an effective methodology for forming social exchanges and guiding them to grow into active practition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ducating visual culture art using personal branding at the actual educational site and to discuss educational possibilities and implications to present teaching-learning guidance for high school learners. Through this course, it is meaningful to present a methodological alternative to developing a person's distinct perception of values, active identity, and a talent to express themselves and communicate with society.| 시각 문화는 대중문화 생산과 더불어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을 주도하는 역할을 하며 생활양식 전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치·경제적으로 국가 간 빈번한 교류가 이뤄지는 글로벌 시대이자, 미디어 플랫폼을 통한 문화 상업주의가 강화되는 현실 속에서 현대인들은 시각 문화를 생산하고 유통하며 소비하는 일종의 프로슈머(Prosumer)로써 능동적인 주체가 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매스 미디어가 주는 영향에서 개인의 판단과 가치관을 자각하는 일이 중요해졌고 그에 따라 시각 이미지를 해석할 수 있는 올바른 시각적 문해력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현대 사회는 자기 PR, 1인 기업, 개인의 상표화가 주목받는 시대가 되었다. 개인을 상표화하는 퍼스널 브랜딩은 특정 영역에서 대상을 기억할 수 있도록 시각적 이미지로 자신의 특성과 개성을 부각시킨다. 퍼스널 브랜딩에는 개인의 삶과 역사가 함축되어 있어 학습자가 이미지를 통해 시대적 상황과 사회와 문화를 맥락적으로 해석하고 학습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퍼스널 브랜딩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자기 인식과 자기 탐색을 구현하게 하고 학습자 자신의 주관을 바탕으로 주변 세계를 올바르게 인식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일상에서 만날 수 있는 시각 이미지를 활용하여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전달할 수 있는 역량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 교육에서 시각문화미술교육이 이미지를 일방적으로 수용하는 것을 가르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주관과 가치관을 표현할 수 있고 양방향의 소통이 가능한 올바른 시각적 문해력 교육의 필요성을 느껴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이처럼 일상 속에서 노출되는 시각 콘텐츠의 목적과 의미를 학습자가 건전하게 인식하고, 재구성하며, 활용하는 능력을 신장하기 위해 퍼스널 브랜딩을 활용한 시각문화미술교육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학교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실천적 방안들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는 학교 현장을 비롯한 교육 당국이 시각 문화를 경험하는 주체적인 해석자이자, 설계자로서의 역할을 가진 학습자에게 주목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를 위하여 제2장에서 퍼스널 브랜딩과 시각문화미술교육의 문헌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고찰함으로써 교육적 시사점과 시각문화미술교육에서 퍼스널 브랜딩을 활용에 대한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제3장에서는 퍼스널 브랜딩을 활용한 시각문화미술의 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자료수집 및 분석을 통해 ‘사례 분석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퍼스널 브랜딩의 활용에 대한 시각문화미술교육에서의 관계성과 교육적 가치를 깊이 있게 고찰한다. 그 과정에서 도출된 결과를 반영하여 제4장에서 고등학교 미술수업에 적용될 수 있는 퍼스널 브랜딩을 활용한 시각문화미술교육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퍼스널 브랜딩을 활용한 시각문화미술교육의 교수-학습 지도안은 총 6차시로 구성하였으며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수업 대상으로 하였다. 수업의 주제는 ‘나만의 퍼스널 브랜딩 만들기’로 시각 문화에서 학습자의 능동적인 주체성과 자기 인식을 바탕으로 그 특징을 고찰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에 중요성을 두고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일상적 삶에 대한 진지한 탐구와 반성을 통해 학습자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적 구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통합적 인지 성장에 영향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사회적 교류를 형성하고 능동적인 실천가로서 성장하도록 지도하는데 효과적인 방법론으로써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실제 교육현장에서 퍼스널 브랜딩을 활용한 시각문화미술을 교육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 가능성 및 시사점을 논의해 고등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수업의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자신의 주변 세계에서 마주하는 시각 이미지에 대해 개인의 뚜렷한 가치관의 인식과, 능동적인 주체성을 기르고, 다양한 매체를 다루어 자신을 표현하며 사회와 소통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하기 위한 방법론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0127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27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