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6 0

공영방송 KBS의 공공서비스미디어 전환 연구

Title
공영방송 KBS의 공공서비스미디어 전환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KBS to Public Service Media: Focusing on Public Remit, Governance, Funding, and Services
Author
박기완
Alternative Author(s)
Park, Ki Wan
Advisor(s)
우형진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We looked at what changes are needed to transform the public broadcaster KBS into public service media. The digital revolution has entered a converged media environment where various media converge and the audience's orientation and choice are prioritized, but public intervention is needed because the negative effects of the newly formed media ecosystem such as fake news, the audience's information bias, the extremes of public opinion, and the declining community culture increase. As a way of public intervention, it is realistic to innovate the existing public service broadcasting and convert it to public service media. In order for public broadcasting to convert to PSM, it is necessary to simultaneously change the entire public media system.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the direction of change in the four areas of public remit, governance, finance, and service that constitute the public media system. As the research method, in-depth expert interview was chosen. This is because the in-depth interview was judged to be a suitable research method for exploring problems requiring elaborate judgment and selection, such as strategy and policy issues. Samples were sampled from groups such as policy managers of public broadcasting companies, civic groups in the media, political parties, officials of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private business operators, journalists, and communication scholars, and a total of 16 people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The in-depth interview was firstly conducted over 12 days from April 19 to April 30, 2021. and performed additional interviews from May 1 to May 15, 2021 if necessary. First, the results of research on the reform of public remit, that is public mission/purposes/values. There can be no change in the public mission of realizing the public good. As for the public purposes, “life protection and safety” and “satisfying individual needs” were added from the traditional public purposes. Public purposes are organized by the dimensions of public good. In the dimension of audience sovereignty, 'providing fair and accurate information','operating a public field of diversity', and in the dimension of audience welfare, 'universal access','social and cultural diversity','life protection and safety', in terms of consumer utility, 'high-quality contents and services' and 'satisfying individual needs' were presented as public values constituting each dimension. In the governance sector, guaranteeing the term of the president and directors is a top priority, and it is desirable to apply a special majority system when appointing the president. Regarding accountability, it is necessary to disclose the minutes of the board of directors meeting and the details of budget execution. In order to reinforce the representativeness and expertise of the audience committee, it was proposed to build the practical support department in an open manner with citizens and KBS staff. In the financial sector, it is desirable to install and operate the License Fee Committee as an independent organization specialized in the calculation, distribution of license fees. In the future, the nature of the license fee should be changed to a tax imposed regardless of the receiving medium. The conclusion was that commercial finance should also be actively developed, and that business activities should lead to public service innovation. The service sector was divided into two areas: content and platform. First, in the content area, PSM's contents and services must have distinctiveness. Regarding journalism, the KBS public sphere should be reconstructed as a networked public sphere that connects terrestrial broadcasters and online mobiles in various ways, but we have concluded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lead our own public forum with fairness and dignity than competing for market share. In the content sector, a premium strategy was first proposed by reducing the number of productions and selectively concentrating financial resources. In addition, we proposed a transmedia strategy that composes the entire story by weaving various contents in various media centering on terrestrial contents. We will be able to change and spread the story if the audience responds well. In the platform sector, it is reasonable to foster its own online mobile platform ‘my K’ as a free public service platform. With respect to external private platform operators such as Netflix, YouTube, and Naver, it was considered beneficial to pursue universal access and profit expansion at the same time through coopetition that combines competition and cooperation. With regard to platform services, KBS's own platforms should strengthen curation services that put individual audiences at the center. It is important to find a PSM-type model that harmonizes individual tastes and needs with the needs of the public community. The transition to PSM is a vital strategy that KBS, a public broadcaster in crisis, must take to prevent further decline by failing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in the initial stage. Rather than recklessly trying to regain the prestige of the past, it is desirable to redefine the status of KBS as an equal but special and valuable medium in numerous media to match the changed environment. Keywords: Public Service Media, PSM Transition, Public Purposes, Governance, License Fee Commission, Commercial Finance, Transmedia Strategy, Coopitition, Personal Curation, In-depth Expert Interview|공영방송 KBS가 공공서비스미디어(Public Service Media)로 전환하기 위해 어떤 변화가 필요한지 살펴보았다. 디지털 혁명으로 다양한 매체가 융합하고 수용자의 취향과 선택이 우선시 되는 융합 미디어 환경에 진입했지만 가짜뉴스, 수용자의 정보 편식, 여론의 극단화, 공동체 문화 퇴조 등 새롭게 형성된 미디어 생태계의 폐해도 커지면서 공적인 개입의 필요성 또한 높아졌다. 공적 개입 방안으로는 기존의 공영방송을 혁신하여 공공서비스미디어로 전환하는 것이 보다 현실성 있다. 공영방송이 PSM으로 전환하기 위해서 사회적 제도로의 공공미디어 시스템 전체의 동시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그래서 본 연구는 그래서 공공미디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공적 과제, 거버넌스, 재원, 서비스 4개 부분의 변화 방향을 탐색했다. 연구방법으로는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택했다. 심층인터뷰는 전략이나 정책 문제와 같이 정교한 판단과 선택이 요구되는 문제를 탐구하는데 적합한 연구 방법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공영방송사 정책 담당자, 언론 시민단체, 여야 정치권, 방송통신위원회 관료, 민간사업자, 언론인, 언론학자 등의 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했으며, 총 16명이 심층 인터뷰에 참여했다. 심층인터뷰는 2021년 4월 19일부터 4월 30일까지 12일에 걸쳐 실시되었고, 인터뷰 답변을 검토한 후 2021년 5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 추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먼저 공적 과제 즉, 공적책무·목표·가치 부문에 대한 연구 결과다. 공익 실현이라는 공적 책무에는 변화가 있을 수 없다. 그러나 공적 목표에서는 전통적인 공적 목표에 ‘생명보호와 안전’ 및 ‘수용자 개인의 욕구 충족’을 더해서 7개 항복을 제시했다. 이들을 공익의 세 가지 차원을 구성하는 공적 가치로 제시할 수 있는데, 수용자 주권 차원에서는 ‘공정하고 정확한 정보 제공’, ‘다양성의 공론장 운영’, 수용자 복지 차원에서는 ‘보편적 접근’, ‘사회문화적 다양성’, ‘생명 보호와 안전’, 소비자 효용 차원에서는 ‘고품질의 콘텐츠와 서비스’, ‘수용자 개인 욕구 충족’이 각 차원을 구성하는 공적 가치가 된다.. 거버넌스 부문의 지배 구조와 관련해서는 사장과 이사의 임기 보장이 최우선 과제이며, 사장 선임 시 특별 다수제 적용이 바람직하다. 설명 책임과 관련해서 이사회 회의록 공개 및 예산 집행 내역의 공개가 필요하다. 시청자 위원회의 대표성과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실무 지원을 강화하고, 해당 조직은 시민과 KBS 직원이 함께하는 개방형으로 혁신할 것을 제안했다. 재원 부문에서는 수신료 위원회를 수신료 산정, 배분에 특화된 독립된 기구로 설치 운영하는 것이 타당하다. 향후 수신료는 수신 매체에 상관없이 부과하는 세금으로서 그 성격을 변화시켜야 한다. PSM은 공공 재원뿐 아니라 상업 재원도 적극 개발해야 하며, 사업적 활동이 공공서비스 혁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결론으로 제시했다. 서비스 부문은 콘텐츠, 플랫폼 2개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콘텐츠 영역에서는 PSM의 콘텐츠는 차별성(Distinctiveness)을 가져야 한다. 저널리즘 관련해서 KBS 공론장을 지상파와 온라인 모바일을 다양하게 연결하는 네트워크 공론장으로 재구축해야 하며, 점유율 경쟁보다는 자체 공론장을 공정하고 품격 있게 이끌어가는 것이 우선이다. 콘텐츠 부문에서는 제작 편수를 줄이고 재원을 선택적으로 집중하는 프리미엄 전략과 지상파 콘텐츠를 중심으로 다양한 매체에 다양한 콘텐츠를 엮어서 전체 스토리를 구성하는 트랜스미디어 전략을 제안했다. 플랫폼 부문에서는 자체 온라인 모바일 플랫폼 my K는 무료 공공 서비스 플랫폼으로 육성하는 것이 타당하다. 넷플릭스, 유튜브, 네이버 등 외부 민간 플랫폼 사업자와 관련해서는 경쟁과 협력을 병행하는 경쟁적 협업(Coopetition)으로 보편적 접근과 수익 확대를 동시에 추구하는 것이 유익하다고 보았다. KBS의 자체 플랫폼들은 개인 수용자를 중심에 두는 큐레이션 서비스를 강화시켜야 한다. 개인의 취향·욕구와 공공적 필요성을 조화시키는 PSM형 모델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PSM 전환은 미디어 환경 변화에 대한 초기 대응에 실패하여 위기를 맞은 공영방송 KBS가 더 이상의 쇠락을 막기 위해 취해야 하는 사활적 전략이다. 과거의 위세를 되찾으려 무모하게 노력하기보다는, 변화된 환경에 걸맞게 수많은 미디어 속에서 대등하지만 특별하고 가치 있는 미디어로 자신의 위상을 재정립해야 할 것이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860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03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신문방송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