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3 0

헬무트 뉴턴 패션 사진에 나타난 여성이미지 특성

Title
헬무트 뉴턴 패션 사진에 나타난 여성이미지 특성
Other Titles
Characteristics of Female Image on Helmut Newton Fashion Film
Author
송주자혜
Alternative Author(s)
Song, shuzihui
Advisor(s)
이연희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패션사진은 단순히 의상을 전시하고 트렌드를 구현하는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변화와 현대미를 표현하며 패션의 가치를 탐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패션사진에서 중요한 표현의 하나는 여성이다. 패션 사진에 나타나는 여성들은 늘 존재해 왔으며 시대의 문화적 관념과 관련이 있고 여성이미지에 대한 표현도 다르게 나타난다. 여성의 이미지는 여성 특유한 미과 섹시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시기별로 여러 가지 다양한 특성을 형성한다. 국가 및 사회 발전에 따라 여성의 사회적 지위, 성역할 변화, 페미니즘의 영향, 과학기술의 발전 등으로 여성의 혁명이 일어났고 이에 따라 패션 사진에서도 여성이미지를 표현하는 방식이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다. 헬무트 뉴턴의 패션 사진 작품은 대부분 여성이 주체이다. 뉴턴의 패션 사진 작품은 에로티시즘 패션사진의 대명사로 알려져 있으며, 헬무트 뉴턴의 카메라에 의해 탄생한 여성은 여성스러운 에로티시즘을 바탕으로 기괴하고 흥미롭고 생명력이 왕성하다고 표현된다. 1970년대 뉴턴의 촬영 기법 및 작품은 당시로서는 매우 급진적이고 대담하며 사회적으로 이해를 받을 수 없는 시기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헬무트 뉴턴의 패션 사진 작품을 조사하고 그 안에서 나타난 여성들의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뉴턴이 표현하고자 한 여성이미지의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 다양한 패션 이미지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 근대와 현재에 걸쳐서 패션사진과 관련된 선행 학술논문연구와 여성이미지의 시대적 변화에 관련된 국내외 서적 등을 통하여 문헌연구를 진행하였다. 관련된 연구와 기사 리뷰 등의 자료를 정리하고 여성이미지 선행연구 통해서 여성이미지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고, 헬무트 뉴턴 작품에서 나타난 여성이미지 특성을 분석하였다. 뉴턴의 분석용 사진 자료는 보그(https://www.vogue.co.kr), 핀터레스트(https://www.pinterest.com)와 다양한 인터넷 사이트(https://sohu.com) (https://www.flickr.com) 등을 통해 수집하였다. 헬무트 뉴턴이 등장하기 전의 패션 사진이나 그림 등에서 보여지는 여성의 이미지는 대체로 온순하고 화면에선 비교적 수동적인 모습을 보였다. 사진 속의 여성은 화가, 판화가, 조각가들이 만든 형태와 유사해야 보는 사람들을 납득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뉴턴의 파격적이고 과감한 사진 속에 나타난 여성들은 다양하고 매력적인 여성이미지를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뉴턴의 패션사진에서 나타난 여성이미지 특징으로 도발적 여성이미지, 중성적 여성이미지, 반전통적 여성이미지, 자아감성적 여성이미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뉴턴은 패션사진의 여성들은 과거 단아한 여성의 이미지를 깨고 노골적이고 아름다운 신체를 갖고 있는 섹시한 여성의 도발적 여성이미지로 나타났다. 도발적 여성이미지는 사진 작품에 보여주는 의상보다 파격적인 여성이미지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둘째, 뉴턴의 패션사진에는 남, 여 젠더와 상관없이 중성적인 여성이미지를 통하여 여성적이면서 과거 여성이미지에 비해 반역적이고 대담함을 보여준다. 여성들은 남성 옷차림을 입어 섹시한 매력을 잃지 않고 이전에는 시도하지 않았던 중성적인 여성이미지를 드러냈다. 셋째, 헬무트 뉴턴 카메라에 나타난 반전통적인 여성이미지는 지배력이 강하고 주도적인 여성으로 표현되며 자연스럽고 기품 있게 여성의 관능적인 매력을 내면에서 발산하면서 나타난다. 과거 전통적인 순순한 여성이미지와 다르게 파워풀하고 자신 넘치는 여성이미지를 도출하였다. 넷째, 사진에서 모델들이 거울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자신의 몸매를 감상하면서 만족스러운 표정을 지어있는 화면으로 모델의 또 하나의 자아를 만들어 이중 자아에 대한 관조를 통해 여성 자의 주체 존재를 적극적으로 의식하는 자아 감성한 여성이미지를 담겨 있다. 전반적으로 뉴턴의 카메라 앞의 여성들은 대부분 노골적인 표현 방식으로 연출하는데, 이러한 스타일은 신세대의 여성이미지로 해석된다. 대담하고 솔직하며 능동적 있게 자신의 몸과 내면의 욕망을 통제하는 여성의 파워를 보여주며 패션에 한정된 여성의 수동적 캐릭터를 깨고 영상 속 주체로 자리 잡았다. 뉴턴의 사진에서는 여성의 다면적인 여성이미지를 보여주고 여성들에게 욕망을 당당하게 말할 수 있는 메시지도 전달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이미지에 대한 인식을 계속 발전하면서 패션사진에 나타난 여성이미지의 다면성과 주체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패션사진 생산자들에게 방향을 제기하고, 현대 패션 사진작가가 표현한 여성이미지에 관한 사례 연구로써 후속 연구에 활용되길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161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59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LOTHING & TEXTILES(의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