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4 0

3D 가상착의를 활용한 미래주의 패션 디자인 개발

Title
3D 가상착의를 활용한 미래주의 패션 디자인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Futurism Fashion Design Based on 3-Dimensional Digital Clothing Technology
Author
최설맹
Alternative Author(s)
CUI XUEMENG
Advisor(s)
이연희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In this 21st century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nd art are being integrat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lifestyles and also the new forms of industry grounded on the advancement of computer technology. Particularly, with the innovation of digital-based new technology, not just national or industrial foundation but also society including the lives of individuals have seen radical improvement in general; meanwhile, core technology in different periods and the modes of industrial systems are changing, too. The field of fashion industry is also revealing convergence between the field itself and technology applying a variety of digital technology, for example, AI(artificial intelligence), internet of things, 3D, or virtual realit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new types of production continue to appear, and this study aims to apply a 3D digital clothing program to the basic mode of clothing production and induce digital printing and also propose futurism fashion design and the production method corresponding to the contemporary trend. Through a review on literatures about futurism, the beauty of dynamics, beauty of machinery, and beauty of experiment are drawn as the characteristics of futurism. The dynamic beauty of futurism is well shown through successive movement, lines of force, and forms of force while the idea of its machine beauty deals with machine civilization and the speed derived from it intentionally and negates the forms that things are originally equipped with. Concerning the beauty of experiment, all things about modern technology seem to walk towards the new world of excitement and worship avant-garde experiments. According to the review on literatures and advanced studies, the 21st-century futurism fashion has three types: retro-futurism fashion, high-tech futurism fashion, and eco-futurism fashion. It is equipped with formative characteristics such as geometric and functional forms, color and light expressing futuristic images metaphorically, the use of unusual high-tech materials, and the combination of fashion and electronics. The CLO 3D digital clothing program applied in this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design can realize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materials, colors, or forms of fabric in virtual reality and produce diverse patterns on the screen as if they were real. Equipped with the high speed of simulation and stability, CLO 3D can reduce the lead time and cost needed to make clothes, produce and modify samples regardless of time, space, or budget, and enhance the completion of samples by applying a variety of materials, graphics, and minor materials, too.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futurism, this study developed futurism fashion design applying a 3D digital clothing program. The work’s theme is ‘The Street Enters the House’. A creative work of futurism fashion was produced by highlight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futurism and applying the 3D digital clothing program and digital printing technology to futuristic silhouettes, colors, and materials. The results of producing the work are written below: First, with the application of a futurism work as a fashion motif, this researcher pursued collaboration between an artistic work and fashion and learned the possibility of expressing creative works. Second, harmony between achromatic and chromatic colors revealed even better dynamism and activeness, and the potential to express the beauty of dynamism was observed. Third, with the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processes based on the 3D digital clothing program realized by the convergence of digital technologies, it is possible to get rid of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solve the problems related to limited budget or communication, and influence fashion industry positively by enhancing convenience and diversity. Fourth, with the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applying digital printing,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s related to time, space, or limited budget better than in the use of traditional printing and reproduce images more elaborately. The use of 3D digital clothing programs will be extended continuously in fashion industry afterwards, and this author expects that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foundational material for it and also hopes more profound research to be performed later.|21세기 도래한 4차 산업혁명은 시대는 컴퓨터 기술의 발달에 기초한 새로운 산업 형태와 라이프스타일의 개발과 함께 기술과 예술의 통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디지털 기반의 새로운 기술 혁신으로 국가와 산업 기반은 물론 개인의 삶을 포함한 사회 전반에 걸쳐 급진적인 발전을 가져오는 한편, 시대별 핵심 기술과 산업 체제의 방식도 변화하고 있다. 패션산업 분야 또한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3D, 가상현실 등과 같은 다양한 디지털 기술들을 이용한 기술과 분야의 융합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테크놀러지의 발달에 따라 새로운 제작 방식들이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기본 의류 제작 방식에 3D 가상착의 프로그램의 활용과 디지털 프린팅을 도입함으로써, 현대 트렌드에 부합하는 미래주의 패션디자인과 제작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미래주의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미래주의의 특성은 역동미, 기계미, 실험미가 도출되었다. 미래주의의 역동미는 연속적인 운동, 역선, 역형을 통해 잘 나타났고, 기계미의 이념은 기계문명과 거기에서 파생되는 속도를 의도적으로 다루고 사물이 지닌 고유의 형태를 부정했다. 실험미는 근대적 기술의 모든 것이 새로운 흥분의 세계를 향해 걸어가고 있는 듯하며 전위적인 실험을 찬양하였다. 문헌과 선행연구를 통해 조사된 21세기 미래주의 패션은 레트로 미래주의 패션, 하이테크 미래주의 패션, 에코 미래주의 패션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기하학적이고 기능적인 형태, 미래적인 이미지를 은유하는 색채와 빛의 표현, 비일상적 첨단 소재의 사용, 패션과 전자기술의 결합 등 조형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 디자인 전개를 위해 활용한 CLO 3D 가상착의 프로그램은 원단의 재질과 색상, 형태 등 물리적 특성을 가상현실에서 구현하여 다채로운 패턴을 실물처럼 화면상에서 제작하였다. CLO 3D는 빠른 시뮬레이션 속도와 안정성으로 의상 제작 시 필요한 리드타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간적 ‧ 공간적 ‧ 비용적 제한 없이 샘플 제작과 수정이 가능하고, 다양한 소재와 그래픽 적용, 부자재 활용 등이 가능함으로 샘플 제작의 완성도를 높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주의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3D 가상착의 프로그램을 활용한 미래주의 패션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작품의 테마는 'The Street Enters the House'이며, 미래주의의 미적 특성을 부각시켜 미래적인 실루엣과 컬러 및 소재에 3D 가상착의 프로그램과 디지털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창의적인 미래주의 패션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 제작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주의 작품을 패션의 모티프로 응용함을 통해 예술 작품과 패션의 콜라보레이션을 추구하여 창조적인 작품 표현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무채색과 유채색의 조화는 더욱 다이나믹하고 활동적임을 보여주었고, 역동미를 표현할 수 있는 잠재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디지털 기술의 융합인 3D 가상착의 프로그램을 통한 패션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없애고 비용과 소통의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편의와 다양성을 향상시켜 패션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넷째, 디지털 프린팅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전개는 전통 프린팅 방식에 비해 시간, 공간, 경비를 절감 할 수 있으며 이미지를 더욱 섬세하게 재현할 수 있었다. 3D 가상착의 프로그램은 앞으로도 패션산업에서 그 활용 범위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어 이에 본 연구가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하며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0245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57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LOTHING & TEXTILES(의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