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1 0

잠재 계층 분석(LCA)을 이용한 기업혁신유형과 성과와의 관계 탐색

Title
잠재 계층 분석(LCA)을 이용한 기업혁신유형과 성과와의 관계 탐색
Other Titles
A Latent Class Analysis of Innovation Activities in Korean Companies and Its Association with Performance
Author
송영수
Keywords
혁신; 혁신유형; 기업 성과; 인적자원관리; 잠재 계층 분석; Innovation; Performance; HRM; Latent Class Analysis
Issue Date
2020-03
Publisher
한국기업교육학회
Citation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 22, no. 1, page. 255-284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의 혁신활동의 양상을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과 결과 변인과의 관계를 검증하여 기업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혁신 전략 추진의 실증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17년도 사업체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 계층 분석에 예측변수와 결과변수를 포함한 혼합모형을 적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우선적으로 제품ㆍ서비스 혁신, 공정 혁신, 조직 혁신, 마케팅 혁신의 기업혁신 분류 기준을 중심으로 국내 기업의 혁신 실행 유형을 탐색하여 모형을 확정하였으며, 그 이후 유형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특성과 인적자원관리 요인을 확인한 다음, 잠재 계층별 기업 성과의 차이 검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의 혁신 실행 유형 잠재 계층은 제품ㆍ서비스 혁신 중심 유형, 혁신 미실행 유형, 조직 혁신 중심 유형, 적극적 혁신 실행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예측 요인으로는 인적자원 관리 요인이 적극적 혁신 실행 유형을 예측하는데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성과 중 1인당 생산성의 경우, 적극적 혁신 실행 유형이 다른 세 가지 유형보다 높았으며, 조직 혁신 중심 유형이 다른 두 가지 유형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력 제품ㆍ서비스 경쟁업체 대비 품질의 경우 제품ㆍ서비스 혁신 중심 유형과 적극적 혁신 실행 유형이 혁신 미실행 유형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기업의 혁신 실행이 실제 성과 창출로 이어지고 있으며, 인적자원 관리를 통해 혁신을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인적자원 관리가 혁신에 중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innovation activities of Korean companies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dictors and the outcome variables that affect them, and to present the empirical basis for the implementation of innovation strategies based on corporate characteristics. To this, a latent class analysis was conducted by applying a mixture model, including predictors and outcome variables using 2017 workplace panel survey data. First of all, the latent group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Korean companies’ innovation Activities. After that, company characteristics and HRM factors variables were included to predict latent class membership and a distal outcome of companies’ performance was examin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latent class model containing four classes was constructed, composed of product and service innovations, no innovations, organizational innovations, and proactive innovations. HRM factors were significant in predicting the classification of proactive innovations group. For the relation of companies’ performance to the membership, it was found that productivity per capita of “proactive innovation” group was highest followed by “organizational innovations” group, and other two groups. In regards to the quality of major product and service compared to competitors, “product and service innovations” group and “proactive innovations” group had higher levels than the 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innovation by enterprises is leading to performance generation and that innovation can be predicted through HRM. Based on this, it is suggested that human resource management is important for innovation.
URI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76279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2192
ISSN
1598-396x
DOI
10.46260/KSLP.22.1.10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