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1 366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용헌-
dc.date.accessioned2021-04-02T00:56:01Z-
dc.date.available2021-04-02T00:56:01Z-
dc.date.issued2020-02-
dc.identifier.citation동아시아문화연구, No. 80, Page. 143-172en_US
dc.identifier.issn2383-6180-
dc.identifier.issn1738-933X-
dc.identifier.uri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56080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1138-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호학(湖學)의 형성 과정을 추적하고 그 과정에서 있었던 이간 학설이 어떻게 배제되어갔는지를 검토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17세기 초반 호서 지역의 수암(遂菴) 권상하(權尙夏) 문하에서는 리기심성론의 세부적인 내용을 두고 논쟁이 시작되었다. 그 논쟁은 먼저 한원진과 최징후(崔徵厚)·한홍조(韓弘祚) 사이에서 시작되었으나 이간(李柬)이 한원진(韓元震)의 견해를 비판함으로써 논쟁의 구도가 한원진과 이간을 중심으로 재편되기 시작했고 논쟁의 쟁점도 점차 미발론과 인물성동이론 두 가지로 수렴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 논쟁 과정에서 변곡점이 된 것은 그들의 스승인 권상하의 개입이다. 권상하는 미발론과 인물성론 모두에서 한원진의 견해를 공개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제자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따르도록 적극적으로 권유하였다. 심지어 이간에게는 “한원진이 미발일 때 선악의 종자가 있다고 말한 것이 무슨 병통이 있기에 그처럼 꾸짖는가?”라고 하여, 그의 한원진 비판이 못마땅하다는 뜻을 분명히 하였다. 그 이후 호서 지역에서는 이간과 현상벽(玄尙璧) 등 일부를 제외하고 다수의 학자들이 인물성이론과 미발기질유선악론으로 기울어져 갔다. 이에 대해 이간은 “선생님의 말씀이 한 번 나오면 사방의 학자들이 그것을 확정된 이론으로 여긴다.”면서 경직된 학문 풍토를 비판했으나, 한원진의 견해가 수암 문하의 주류 학설, 즉 호학으로 자리 잡게 되는 대세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 결과 18세기 초반을 넘어서면서 심성 논쟁의 전선이 자연스럽게 호서의 학자들과 낙하의 학자들 사이에 형성되는데, 이것이 이른바 호락논쟁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hilosophical debates between the disciples of Kwon Sangha(權尙夏) in the early 18th century and to identify how mainstream thoughts of Kwon Sangha's School are formed in the process of the disputes. His many disciples, including Han Wonjin(韓元震) and Yi Gan(李柬), gave different opinions on the human mind and the nature of all things. At first the debates began as a free discussion among the disciples, but soon they each tried to be acknowledged by their teacher, Kwon Sangha, that his own theory was correct. As a result, the teacher opposed the opinions of Yi Gan and supported the views of Han Wonjin. Since then, most scholars in the Kwon Sangha school have followed Han Wonjin’s arguments at the will of the teacher. Regarding this rigid academic climate, Yi Gan complained that there should be a free discussion eve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However, Han Wonjin’s argument, supported by the teacher, was widely recognized among Chungcheong local scholars. As a result, Hohak(湖學), which means the learning of Chungcheong area scholars, was established. Since then, Hohak has maintained its identity, arguing fiercely with Nakhak(洛學), which is the learning of Seoul and its surrounding areas. The two core theories of Hohak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otential of good and evil exists in the mind even when the mind is not working. Second, Since things do not have all five moral natures, the nature of things is different from the human nature.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en_US
dc.subject호학en_US
dc.subject호락논쟁en_US
dc.subject수암 문하en_US
dc.subject권상하en_US
dc.subject한원진en_US
dc.subject이간en_US
dc.subjectHohaken_US
dc.subjectKwon Sanghaen_US
dc.subjectSuam Schoolen_US
dc.subjectHan Wonjinen_US
dc.subjectYi Ganen_US
dc.title수암 권상하 문하의 심성 논쟁과 호학의 형성en_US
dc.title.alternativeDebates on Human Mind and Nature of Things in Suam(遂菴) Kwon Sangha(權尙夏) School and the Formation of Hohak(湖學)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80-
dc.identifier.doi10.16959/jeachy..80.202002.143-
dc.relation.page143-172-
dc.relation.journal동아시아문화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용헌-
dc.contributor.googleauthorKim, Yong-hun-
dc.relation.code2020039402-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HUMANITIES[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PHILOSOPHY-
dc.identifier.pidyong-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