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4 0

임진강대에 분포하는 암석에 대한 대자율 이방성 연구

Title
임진강대에 분포하는 암석에 대한 대자율 이방성 연구
Other Titles
AMS Study of the Proterozoic Rocks along the Imjingang Belt
Author
석동우
Issue Date
2002-01
Publisher
한양대학교 이학기술연구소
Citation
이학기술연구지, v. 4, page. 75-81
Abstract
임진강대는 후기 시생대에서 전기 원생대에 해당하는 경기변성암복합체가 하부에 놓이며 이들을 관입한 감악산변성섬장암이 폭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감악산변성섬장암 관입 전기의 변성퇴적암충인 연천층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41개소의 노두에서 총 325개의 정향시료를 채취하였으며 이들 시료 내에 함유된 자성광물 입자들의 형태와 분포를 해석하기 위한대자율 이방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자율 이방성 실험 결과, 연구지역 변성암체 내의 자성광물의 배열은 prolate(시가형) 자기 대자율 타원체가 주류를 이루며 약간의 oblate(원판형) 자기 대자율 타원체도 관찰되었다. 이는 자기 선구조가 자기 편리구조보다 우세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하며, 연천층군과 같은 변성퇴적암층이 퇴적당시의 구조보다 변성당시의 구조가 우세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이미 지질조사로 알려진 연구지역 내의 선구조 또는 광물 신장배열과 최대 대자율 방향이 거의 일치하며, 각 노두별 특성잔류자화 방향과도 유사한 경향을 보여준다. The Imjingang Belt consists of the Proterozoic Gyeonggi Metamorphic Complex, the late Proterozoic intrusive Gamagsan metasyenite, and the Daegwangri and Misan Formation of the Yeonchun Group. A total of 325 oriented core samples was drilled from 41 sites for the study. Anisotropy of magnetic susceptibility (AMS)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analyse the magnetic fabrics defined by the shape and distribution of magnetic mineral particles. AMS experiments show that the magnetic lineation defined by the prolate susceptibility ellipsoid is superior to magnetic foliation. In addition, the directions of maximum susceptibility anisotropy for the study area are generally in accordance with that of the stretched mineral alignment, which is presumably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of fault system and the state of stress in the study area, and those of ChRMs of the sampling sites.
URI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40f6f1ea7f525d12ffe0bdc3ef48d419&outLink=N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6898
ISSN
2005-9051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E](과학기술융합대학) > MARINE SCIENCE AND CONVERGENCE ENGINEERING(해양융합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