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나정열-
dc.date.accessioned2020-12-16T05:23:08Z-
dc.date.available2020-12-16T05:23:08Z-
dc.date.issued2003-10-
dc.identifier.citation한국음향학회지, v. 23, no. 5, page. 362-369en_US
dc.identifier.uri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806430-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6264-
dc.description.abstract수층과 사질 퇴적층이 이루는 경계면이 평탄할지라도 고주파수 (30∼120 ㎑) 음파의 반사손실은 퇴적물의 입도와 입사파의 파장에 따라 거친 경계면에서의 반사 효과를 갖게 된다. 경계면 거칠기 영향은 음향학적 거칠기 (acoustical roughness, g/sub R/)로 표현하며 사질 퇴적물의 경우 g/sub R/∼ O(1)이고 주파수에 따른 종속성을 가진다. 따라서 입도분포에 따른 반사손실의 편차 (deviation)와 주파수에 따른 종속성을 포함하는 개선된 해저면 반사손실 모델 (HYBRL 모델, Hanyang University Bottom Reflection Loss model)을 제안한다. 그리고 주파수 종속성과 해저면 물성이 갖는 편차를 포함하는 반사손실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수조실험과 해상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조실험 및 해상실험에서 측정된 해저면 반사손실 결과 사질 퇴적물에서 모델의 특성을 잘 반영한다.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음향학회en_US
dc.subject해저면 반사손실en_US
dc.subjectHYBRL 모델en_US
dc.subject입도분포en_US
dc.subject음향학적 거칠기en_US
dc.title주파수 종속성을 갖는 고주파 해저면 반사손실 모델en_US
dc.title.alternativeFrequency Dependence of High-Frequency Bottom Reflection Loss Modelen_US
dc.typeArticleen_US
dc.contributor.googleauthor박순식-
dc.contributor.googleauthor조진석-
dc.contributor.googleauthor윤관섭-
dc.contributor.googleauthor나정열-
dc.contributor.googleauthor석동우-
dc.contributor.googleauthor주진용-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E]-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MARINE SCIENCE AND CONVERGENCE ENGINEERING-
dc.identifier.pidnajy0252-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