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태식-
dc.date.accessioned2020-09-29T01:20:09Z-
dc.date.available2020-09-29T01:20:09Z-
dc.date.issued2004-11-
dc.identifier.citation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5, Page.620-624en_US
dc.identifier.urihttp://www.auric.or.kr/User/Rdoc/DocRdocCP.aspx?returnVal=RD_R&page=1&dn=164224-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4331-
dc.description.abstract건설 사업은 점차 대형화 되어 가면서 건설사업의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1996년에 '건설산업기본법' 제정 시 건설사업관리가 도입되었지만, 제도의 미비 등으로 그다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CM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이유는 기존에 정착한 감리제도와의 마찰 때문이기도 하지만 CM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체크리스트 의 보급과 성과측정을 통해 CM의 효과를 보급하는 과정이 미흡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국내에서도 CM이 도입된 지 10여년이 지나면서 조금씩 발전해 가고 있지만, 선진국에 비해 성과측정과 평가를 통한 활성화는 부진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젝트 차원에서 CM분야와 요소 기술을 고려한 Best Practice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여 성과측정 시 보다 나은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건설관리학회en_US
dc.subject건설사업관리(CM)en_US
dc.subject성공요인en_US
dc.subjectBest Practiceen_US
dc.subject체크리스트en_US
dc.title다기준의사결정법을 이용한 CM Best Practice 체크리스트 개발 및 사업 결과와의 상관관계 규명en_US
dc.title.alternativeDevelopment of CM Best Practice Checklist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ology And searching a correlation with a project performanceen_US
dc.typeArticleen_US
dc.contributor.googleauthor이태식-
dc.contributor.googleauthor박세진-
dc.contributor.googleauthor최재호-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E]-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dc.identifier.pidcmtsl-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E](공학대학) >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건설환경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