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3 0

일반계 고등학교 음악 수업 단위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비교

Title
일반계 고등학교 음악 수업 단위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Students' Academic Stress According to the Number of Music Classes in Regular High Schools in Korea
Author
오치현
Alternative Author(s)
Oh, Chi Hyun
Advisor(s)
김성아, 이수진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지난 2017년을 기점으로 적용 시작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은 2020년을 끝으로 모든 학교급별 적용이 완료되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미래사회 대비를 위한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적하는 동시에 배움을 즐기는 행복교육을 표방하여, 자유학기제와 같은 기존 정책과 함께 다양한 학습자 참여 중심의 프로그램들을 구성·운영해왔다. 그러나 고등학생의 경우 대학입시제도의 근본적인 변화가 부재한 상황에서 여전히 점수와 경쟁 중심의 구도에 시달리고 있어 학업만족감이나 정서적 행복감 등은 해를 거듭할수록 감소하고 있다. 이와 같은 오늘의 교육현장에서 학교 음악교육은 교과 본연의 음악적 역량 계발뿐만 아니라, 인성교육 즉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을 고려한 교육적 역할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그에 따라 본 연구는 학교에서의 정규 음악 수업과 고등학생들이 경험하는 학업스트레스 간의 관계 여부를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학교에서 이수한 음악 수업의 단위가 서로 다른 두 개의 고등학생 집단을 표집한 뒤 학업스트레스 설문을 실시하였다. 사용된 학업스트레스 설문지는 3개의 학업스트레스 영역(성적·수업·공부)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학업스트레스 영역은 그 하위 요인으로서 3개의 학업스트레스 원천(부모·교사·자기)을 포함하고 있어 총 9개의 학업스트레스 요인(영역-원천)으로 구성되었다. 서울시 소재의 일반계 고등학교 6개교의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 응답에 대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 수업 단위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요인 분석 결과, 전체 학업스트레스 및 3개의 학업스트레스 영역 전반에 대하여 음악 수업 단위가 큰 집단이 작은 집단보다 더 낮은 학업스트레스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그중에서도 특히 공부 영역 학업스트레스의 경우 영역 내 전 하위 원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음악 수업과 공부 학업스트레스 간의 연관성이 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 수업 단위에 따른 성별 학업스트레스 요인 분석 결과, 전체 학업스트레스 및 3개의 학업스트레스 영역 전반에 대하여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음악 수업 단위가 큰 집단이 작은 집단보다 더 낮은 학업스트레스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체로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스트레스 영역 전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남학생과 달리, 여학생의 경우 성적 영역과 공부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세부 요인별로도 성별에 따른 명확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9개의 학업스트레스 요인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남학생과 달리, 여학생의 경우 공부 영역 학업스트레스와 해당 영역 내 전 하위 원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음악 수업과 공부 학업스트레스 간의 연관성이 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음악 수업과 고등학생들이 경험하는 학업스트레스 간에 연관성이 존재함을 일부 규명하였고, 그러한 연관성이 학생들의 인성적·정의적 측면에서 일면 긍정적인 경향을 띠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학업스트레스를 구성하는 9개의 요인 각각과 학교 음악 수업 간의 관계 여부가 성별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일부 규명하였다. 일선 고등학교에서는 고등학생들이 대학입시로 인해 상대적으로 높은 학업스트레스를 경험할 수밖에 없는 경우임에 유의하여, 학교 수준 교육과정 편성 시 음악 교과의 질적·양적 확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음악 교과 자체 내에서 역시 각 성별에 따른 정의적·심리적 연관성이 고려된 음악 수업을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hich was introduced in year 2017, has been applied in all school levels as of year 2020. The curriculum has organized and run diverse programs focused on participation by learners together with existing policies such as Free-learning Semester by supporting happiness education which firstly, aims to nurture talents combined with creativity for making preparations for future society and secondly, enjoys learning. However, since high school students are suffering from scores and competition-based structure in a situation when fundamental transformation of college entrance system can hardly be found, satisfaction from learning or happiness are decreasing every year. In today’s education environment, music education of schools should keep in mind educational roles taking into account not only development of musical competency but also personality education (students’ affective domain). In that sen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r music class in high school and academic stress which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 After sampling two high school student groups which have different music class hours at school, academic stress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he academic stress questionnaire surveys are divided into three domains (score, class, and studying) and respective academic stress domains were comprised of a total of nine academic stress factors (domain-origin) since the domains encompass three academic stress origins (parent, teacher, and myself) as subordinate factors. The survey targeted students of six regular high schools in Seoul and independent two sample t-test was conducted with regard to responding to the survey.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academic stress factors based on music class hours, the group with higher music class hours experienced lower stress with regard to overall academic stress and three academic stress domains and th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 between music class and academic stress from studying is high si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ordinate origins in academic stress in the studying domai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academic stress factors with regard to respective genders based on music class hours, both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in the group with higher music class hours experienced lower stress than the group with lower music class hours toward all academic stress and three academic stress domains and generally, female students’ academic stress level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In addition, unlike male students who did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academic stress domains, female student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 domain and the studying domain. There were marked differences with regard to respective genders when it came to specific factors. Unlike male students who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nine academic stress factors, female students showed high correlation between music class and stress from studying when seeing that they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stress in the studying domain and all subordinate origins of that domain. This study partially validat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high school music classes and academic stress which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 and implied that such correlation has positive tendency in aspects of personality and affection of students. Moreover, this study partially validated that respective nine factors comprising academic stress and the relationship with music class in high school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High schools need to conside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xpansion of music subject when organizing school-level curriculum by keeping in mind that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 a lot of academic stress due to college entrance exam. Furthermore, music subject by itself should organize music classes taking into consideration affective and psychological correlation with regard to respective genders within music curriculum.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36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68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MAJOR IN MUSIC EDUCATION(음악교육전공)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