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9 0

골다공증성 압박 골절 대한 척추 성형술 후 새로운 척추 골절 발생의 생존 분석과 위험인자

Title
골다공증성 압박 골절 대한 척추 성형술 후 새로운 척추 골절 발생의 생존 분석과 위험인자
Other Titles
Survival analysis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new vertebral fractures following vertebroplasty for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Author
박진성
Alternative Author(s)
Park Jin Sung
Advisor(s)
박예수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목적: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에 대해 척추 성형술 후 새롭게 발생하는 척추 골절의 자연 경과를 알아보고 인접 척추 골절과 원격 척추 골절 발생의 위험인자를 나누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에 대해서 척추 성형술을 시행 받은 205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 기록을 통해 척추 골절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나이, 체질량 지수, 골밀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골절의 양상, 골절의 위치, 시상 정렬의 불균형, 척추 성형술 후 골절 분절의 후만 정도, 시멘트의 분포, 시멘트 유출 여부를 확인하였다. 외래 추시 기간 동안 새롭게 발생한 척추 골절을 확인하였다. 생존 분석을 통해 인접 척추 골절과 원격 척추 골절의 발생 시기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위험 인자를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척추 성형술 후 추시 기간 동안 47명의 환자 (22.9%)에서 새로운 척추 골절이 발생하였다. 인접 척추 골절은 21명 (10.2%)에서 발생하였고 원격 척추 골절은 26명 (12.7%)에서 발생하였다. 척추 성형술 후 인접 척추 골절의 발생까지의 평균 기간은 6.2±1.8개월이었고 원격 척추 골절의 발생까지는 15.2±1.8개월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1). 단변량 분석에서 인접 척추 골절 발생의 위험인자로는 심한 골다공증 (T-score < - 3.0), 흉요추부 이행 부위의 척추 성형술, 시상 정렬의 불균형, 15도 이상의 분절 후만각이 위험인자로 확인되었고 (p=0.029, p=0.033, p=0.001 and p=0.021), 원격 척추 골절 발생의 위험인자로는 심한 골다공증 (T-score < - 3.0), 시상 정렬의 불균형이 위험인자로 확인되었다 (p=0.013 and p=0.004). 다변량 분석에서는 인접 척추 골절 발생의 위험인자로 흉요추부 이행 부위의 척추 성형술과 시상 정렬의 불균형이 위험 인자로 확인되었고 (Hazard ratio=3.34, p=0.032 and Hazard ratio=4.05, p=0.008), 원격 척추 골절에서는 시상 정렬 불균형만이 위험인자로 확인되었다 (Hazard ratio=2.66, p=0.024). 결론: 골다공증성 압박 골절에 대해 척추 성형술 후 인접 척추 골절은 평균 6개월, 원격 척추 골절은 15개월로 발생 시기에 차이를 보였다. 흉요추부 이행 부위의 척추 성형술은 인접 척추 골절 발생의 위험인자로 작용하였으며, 시상 정렬의 불균형은 인접 척추 골절 발생과 원격 척추 골절 발생 모두에서 위험인자로 작용하였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16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33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