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 0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박스거더교의 시공단계별 해석을 통한 구조적 거동 및 균열방지를 위한 시공방안 고찰

Title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박스거더교의 시공단계별 해석을 통한 구조적 거동 및 균열방지를 위한 시공방안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tructural Behavior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reventing Crack under Construction of Precast Segmental Box Girder Bridges through the Construction Sequences Analysis
Author
심종성
Keywords
precast segmental bridge; PSC box girder; construction sequences analysis; structural behavior; temporary posttension;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교량; PSC 박스거더; 시공단계별 해석; 구조거동; 임시 긴장력
Issue Date
2004-09
Publisher
대한토목학회
Citation
대한토목학회논문집A, v. 24, No. 5A, Page. 909-914
Abstract
The crack that occurred in bottom slab of precast segmental bridge is investigated through construction sequences analysis and caused by excessive deformation at temporary post-tensioning for joining the segments in this study. Also parametric study i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thickness of bottom slab, order and position of prestressing. The structural behavior of girder section is greatly affected by the thickness of bottom slab and position of post-tensioning than prestressing order. Therefore, construction method for preventing cracks under construction is presented. 본 연구에서는 Precast Prestressed Segmental Box Girder 교량의 시공단계별 유한요소 해석을 통하여 박스외부 바닥슬 래브에 발생된 교축방향 균열의 원인을 조사하였으며,시공 중 에폭시 접착을 위한 임시강봉의 긴장력 도입시 과도한 변형 및 응력이 원인임을 규명하였다. 또한 임시 강봉의 긴장력 도입 순서,긴장력 도입위치,박스하^슬래브의 두께 등의 변수가 박스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유한요소해석을 통하며 고찰하였다. 해석결과 긴장력의 도입순서의 영향에 비하여 박스하부슬 래브의 두께,긴장력 도입 위치 등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와 같은 유한 요소 해석결과를 바탕으 로 시공중 과도한 긴장력 도입에 의한 균열발생 방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URI
https://information.hanyang.ac.kr/#/eds/detail?an=edskci.ARTI.665062&dbId=edskc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1799
ISSN
1015-6348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E](공학대학) >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건설환경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