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2 0

경기육괴에 분포하는 원생대 및 중생대 암석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Title
경기육괴에 분포하는 원생대 및 중생대 암석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Other Titles
Paleomagnetic Study of the Proterozoic and Mesozoic Rocks in the Kyeonggi Massif
Author
석동우
Keywords
대동누층군; 남중국지괴; 서산층군; 재자화; 자화방향의 분산; Daedong Supergroup; South China Block; Seosan Group; remagnetization; dispersion of paleomagnetic directions
Issue Date
2004-08
Publisher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Citation
자원환경지질, v. 37, No. 4, Page. 413-424
Abstract
한반도의 북중국/남중국지괴와의 연계성 및 충돌의 영향을 근거로 한반도의 지체구조적 진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육괴에 분포하는 중생대 대동누층군과 원생대 변성암인 서산층군에 대하여 고지자기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동누층군에 대해서는 26개 지점 239개의 시료 중 14개 지점 106개의 시료에서 생성당시의 특성잔류자화 방향을 추출하였다. 특성잔류자화 방향은 경사보정 후 평균방향이 D/I=74.5°/36.7°(k=60.7, α=5.1°)이며 이는 경사보정 전의 방향 D/I=61.9°/52.8°(k=4.4, α 95=21.5°)보다 집중된 분포를 나타내므로 암석생성당시 획득된 일차자화임을 지시한다. 경사보정 후의 방향으로부터 계산한 고지자기극은 208.0°E, 24.5°N (n=14, K=67.5, A 95=4.9°)에 위치하며 중기 트라이아스기 남중국지괴의 고자기극과 통계학적으로 유사하므로 이 기간 동안 대동누층군은 남중국지괴와 지구조적으로 동일했던 것으로 해석되며 남중국지괴와 한반도의 충돌에 따른 변형·변성작용에도 일차자화가 보존되었음을 지시한다. 서산층군의 33개 지점에서 채취한 279개 시료의 대부분은 분산된 방향을 나타내며, 오직 쥬라기 화강암 주변의 6개 지점에서 채취한 36개의 시료로부터 특성잔류자화 방향을 추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경기육괴의 최대 변성시기인 북중국/남중국지괴와의 충돌과 연관된 고생대 말기에서 중생대 쥬라기 시기의 지구조 운동의 영향으로 추측된다. 지층경사보정 이전의 잔류자화 방향은 D/I=45.7°/60.1°(k=41.2, α 95=10.6°)이며 이로부터 구해진 고지자기극의 위치는 195.0°E, 51.6°N(n=6, K=20.8, A 95=12.4°)로서 한반도 쥬라기 또는 백악기 초의 고지자기극과 유사하다. 그러나 서산층군의 특성잔류자화 방향은 조산운동의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조산운동 후기 또는 이후에 쥬라기 대보화강암의 정치와 연관되어 획득된 재자화 방향으로 해석하였다. A paleomagnetic investigation of the Mesozoic Daedong Supergroup and the Precambrian Seosan Group in the Kyeonggi massif i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tectonic evolution of Korea under the effect of the collision between Korea and the North/South China Blocks. For the Daedong Supergroup, the characteristic direction of D/I=74.5°/36.7°(k=60.7, α=5.1°) after tilt correction is better clustered than that before tilt correction (D/I=61.9°/52.8°, k=4.4, α95=21.5°), indi-cating that it is a primary magnetization acquired during the formation of the rock. Paleomagnetic pole position of the formation locates at 208.0°E, 24.5°N (n=14, K=67.5, A95=4.9°), statistically similar to those of Middle Triassic period of the SCB, revealing that the two had occupied the same tectonic unit during this period. It is observed that only 6 out of 33 sites of the Seosan Group yield remagnetized paleomagnetic direction. The rest of the sampling sites reveals severe dispersion of magnetic directions presumably due to the consequences of the collision between Korea and the North/South China Blocks. The characteristic direction of the Seosan Group is D/I=45.7°/60.1°(k=41.2, α95=10.6°) and the corresponding pole is at 195.0°E, 51.6°N (n=6, K=20.8, A95=12.4°). Although the pole position is close to those of Jurassic period of the Kyeonggi massif and Early Cretaceous of the Kyeongsang basin. it is interpreted that the Seosan Group was remagnetized by the influence of the emplacement of the Jurassic Daebo Granite after or at the closing stage of the orogenic episode rather than under the direct effect of deformation and/or metamorphism caused by the collision.
URI
https://information.hanyang.ac.kr/#/eds/detail?an=edskyo.4010025886709&dbId=edskyo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1704
ISSN
1225-7281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E](과학기술융합대학) > MARINE SCIENCE AND CONVERGENCE ENGINEERING(해양융합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