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7 0

서울시 일부 중학생의 우울성향과 관련요인 연구

Title
서울시 일부 중학생의 우울성향과 관련요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endency and Related Factors of Depression Experienced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uthor
최윤희
Alternative Author(s)
Choi, Youn-Hee
Advisor(s)
김윤신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우울성향을 알아보고 우울과 신체증상, 부모 양육 태도, 학교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6년 8월에 서울에 소재한 남녀공학 2개 학교를 선정 1~3학년을 대상으로 자기보고형 설문지를 배부하여 성실히 기재한 605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우울성향을 알아 보기위해 미국 정신보건 연구원이 일반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우울증후군의 역학적 연구를 하기위하여 개발한 역학연구용 우울척도(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를 사용하여 21점을 기준으로 우울성향군과 비 우울성향군을 나누었다. 신체증상을 측정하기 위해서 Thomas의 ASC(Adolescent symptom checklist)를 이용하였고, 부모양육태도를 측정하기위해서 Parker의 PBI(Parental Bonding Instrument)를 이용하였으며, 학교적응도를 측정하기위해 학교적응력 척도(School- Related Adjustment Scale)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을 하였으며 우울성향별 신체증상, 부모자녀 결합형태, 학교적응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변수간 관계는 t-test 또는 F-test, Chi-squre test로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조사에 사용한 측정도구들의 내적 일관성 검사는 Cronbach’s alpha 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 605명 중 우울 성향군은 137명(22.6%)이였다. 성별 우울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우울성향에 따른 일반적 특성의 관계를 볼 때 학년이 올라갈수록 우울성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종교에 따른 우울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님 동거여부에서는 부모님 함께 동거하는 것보다 편모의 경우 우울성향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주관적 경제 상태에서는 중하위라고 생각할 때 우울성향이 높았으며, 부모의 학력에서는 아버지의 학력에서만 중학교졸업 이하인 경우 우울성향이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부모의 직업에서는 어머니보다 아버지의 직업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우울성향과 신체증상과의 관계는 남자보다 여자가 신체증상호소가 더 높았으며, 비 우울성향군보다 우울성향군일수록 각 항목의 신체증상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주로 짜증이 많이 난다(3.18±1.01), 아침에 일어나기 힘들다(2.90±1.32), 현기증이 난다(2.74±1.38), 기운이 없다(2.72±1.24), 머리가 아프다(2.52±1.30), 밤에 잠이 오지 않는다(2.15±1.53), 허리가 아프다(2.09±1.43), 불안해진다(2.05±1.46), 밥맛이 없다(1.99±1.44), 잘 운다(1.93±1.46)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우울성향과 부모양육태도 결합도 에서는 우울성향군일수록 어머니, 아버지의 돌봄의 점수가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어머니 아버지 과보호의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우울성향과 학교적응력을 볼 때 우울성향군이 (2.08±0.43) 비 우울성향군(2.38±0.45)보다 학교적응력이 낮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우울성향에 따른 학교적응력 하위변위를 보면 학교생활적응, 학교환경적응, 학교친구적응, 학교수업적응의 하위변인에서 우울성향군이 비 우울성향군보다 점수가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본 연구결과 중학생에서도 성인과 같은 우울성향을 볼 수 있으며 우울성향을 보일수록 신체증상호소가 높았고, 부모의 돌봄이 적으며, 학교적응측면에서 볼 때 적응력 또한 비 우울성향군 학생들보다 낮았다. 따라서 청소년 우울은 청소년 개인의 문제가 아닌 개인을 둘러싼 가정, 학교에서 서로 연관되어 청소년 자신의 문제로 나타날 수 있기에 학교에서 선생님들이나 가정에서 부모님들은 가장된 우울의 증상인 개인의 신체적 증상 호소나 학교부적응 상태를 무시하기보다는 이해하며 무관심보다는 적절한 돌봄과 함께 청소년들의 정신건강문제 측면에서 가정, 학교, 지역사회가 연계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체계적으로 접근 관리하는 제도가 마련되어야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endency of depression experienc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ression and physical symptoms, parents' fostering attitude, and adaptability in school. For the study, two mixed middle schools in Seoul were selected in August 2006. A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against students of all grades. 605 out of the total respondents with sincere response were used for the analysis. In order to recognize tendency of depression, the study adapts the Depression Scale for epidemiologic studies that the NIMH developed for an epidemiologic study on depression against a general population group. The standard of the scale is 21 points, and the respondents are divided into a depression and non-depression group. For measuring physical symptoms, the Adolescent Symptom Checklist(ASC) by Thomas is used, while Parental Bonding Instruments (PBI) by Parker is adopted to know parents' fostering attitude. For school adaptability, the School-related Adjustment Scale by Yong Rae Kim is used in the study. With SPSSWIN v. 12.0 program, the analysis is conducted to know general features of respondents by frequency and percentile and the relationship among physical symptoms, parent-student bonding, and school adaptability through t-test, chi-square test. Meanwhile, the coherent consistency test of the measurement instruments used in the survey is analyzed by Cronbach's alpha. The depression group was 137(22.6%) out of 605 respondents of the survey. Tendency of depression by sex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s. As a student advances to a higher grade, he is likely to have depression more than before according to the general features by depression;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living with parents, those living with single parent are likely to be more depressed than those living with both parents; however, this is also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erspective of subjective economic situation, those who evaluate their economic situation as middle-lower class show higher tendency of depression. And, the tendency was also high in students having a father taken no more than middle school educa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is statistically shown in father's vocation rather than mother's (p<.05).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ndency of depression and physical symptoms, male students appeal more physical symptoms than female students. The depression group has a higher score in each physical symptom item than the non-depression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5). Mainly the symptoms include 'very irritated (3.18± 1.01)', 'difficult to get up in the morning (2.90± 1.32)', 'dizzy (2.74± 1.38)', 'less energy (2.71± 1.24), 'headache (2.52± 1.30)', 'difficult to sleep at night (2.15± 1.53)', 'back pain (2.09± 1.43)', 'anxious (2.05± 1.46)', 'lost appetite (1.99± 1.44)', 'cry often (1.93± 1.46), etc. Thi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fostering attitude, the depression group has lower score in mother' or father' care, which shows a statistical significance (p<.05). In the relationship with mother's or father's over-protection, the depression group has lower score than the other, but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respect to school adaptability and tendency of depression, the depression group (2.08± 0.43) has lower adaptability than the non-depression group(2.38± 0.45)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1). In the lower displacement of school adaptability by depression, the depression group has lower scores in factors like adaptability in school life, environment, friends and class; which shows a statistical significance (p<.001). Even middle school students can show tendency of depression like adults. The higher the tendency is, the more their physical symptoms are appealed. In the parents' fostering attitude, the depressed students seem to have less care from their parents. Their adaptability in school is also lower than the other group. Adolescent depression is not just an individual problem, but related to home and school environment. Thus, teachers at school or parents at home should understand, rather than ignore, physical symptoms or lower adaptability in school of a student and pay appropriate attention and cares. Also, a systematic management is required where home, schools and communities are connected one another to pay continuous attention on and take care of psychological health of adolescenc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92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07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SCIENCE AND MATHEMATICS(이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