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9 0

CSCL의 조정활동을 위한 역할분담 유형이 커뮤니케이션과 공유정신모형에 미치는 영향

Title
CSCL의 조정활동을 위한 역할분담 유형이 커뮤니케이션과 공유정신모형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ssigned Role Type on the Shared Mental Model and the Communication for Coordination Activity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Author
오은정
Alternative Author(s)
Oh, Eun-Jung
Advisor(s)
김동식 교수님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컴퓨터 기반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들 간의 협력활동을 활발히 하고, 학습 결과를 높이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에서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CSCL환경에 대한 기술적 지원보다 그룹 구성원들 간의 사회적 감정 형성에 대한 지원이 중요하다는 관점을 갖는다. 사회적 감정 형성을 위한 전략들 중에서 협력학습시 역할분담은 그룹의 커뮤니케이션과 학습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역할분담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였다. 그런데 문제는 역할분담이 협력학습에서 효과적인 전략으로 간주되고 있기는 하지만, 역할분담의 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미흡하다는 것이다. CSCL환경에서는 면대면 환경보다 더 세밀한 조정 활동, 역할분담 체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어떠한 유형의 역할을 주느냐의 역할분담 유형의 문제를 연구해볼 필요가 있겠다. 역할분담 유형은 CSCL환경에서 임정훈이 제시한 교수자에 의한 과제 지향적 피드백과 동기 유발적 피드백의 제공원리에 근거하여 과제내용 관련역할과 사회적 상호작용 관련역할로 나누었다. 그리고 역할분담 유형이 커뮤니케이션과 공유정신모형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 보고 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CSCL의 조정활동을 위한 역할분담 유형(과제내용 관련, 사회적 상호작용 관련)이 커뮤니케이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CSCL의 조정활동을 위한 역할분담 유형(과제내용 관련, 사회적 상호작용 관련)이 공유정신모형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CSCL의 조정활동을 위한 역할분담 유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H여대 2학년 세 개 반 학생 101명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하였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에 앞서 실제 실험 집단과는 다른 세 개의 집단을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실험 집단으로 선정된 세 개 반을 과제내용 관련역할 집단과 사회적 상호작용 관련역할 집단 그리고 통제 집단으로 하여 세 개 반 학습자들을 각 집단에 무선 배치한 후, 학습내용과 웹 토론 경험에 대한 사전검사를 통하여 집단간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연구문제 1을 검증하기 위하여 'Nvivo2'를 이용하여 커뮤니케이션의 양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커뮤니케이션의 양은 집단별로 평균 메시지수를 비교하였고, 커뮤니케이션의 내용은 분석 모형을 바탕으로 전체 메시지 수에 대한 측면별 메시지 수의 비율을 비교하였다. 연구문제 2를 검증하기 위하여 각 집단별로 그린 개념도를 평가기준에 의하여 채점하여 각 집단별 개념도의 평균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SCL의 조정활동 단계에서 역할분담 유형에 따라 커뮤니케이션의 양과 내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커뮤니케이션의 양은 사회적 상호작용 관련역할 집단, 과제내용 관련역할 집단, 통제 집단 순으로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커뮤니케이션의 내용에서는 과제 관련 측면의 과제 관련 토론 메시지 비율과 그룹 조정활동 메시지 비율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과제 관련 토론 메시지에서는 사회적 상호작용 관련 역할 집단이, 그룹 조정활동 메시지에 과제내용 관련역할 집단의 메시지 비율이 가장 높았다. 둘째, CSCL의 조정활동 단계에서 역할분담 유형에 따라 공유정신모형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CSCL의 조정활동 단계에서 역할분담 유형에 따라 커뮤니케이션의 양과 내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각 집단의 공유정신모형의 형성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각 집단의 개념도 점수 평균은 사회적 상호작용 관련역할 집단, 과제내용 관련역할 집단, 통제 집단 순으로 높았다. 각 집단간 개념도 평균은 사회적 상호작용 관련역할 집단만이 과제내용 관련역할 집단과 통제 집단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과제내용 관련역할 집단과 통제 집단간의 개념도 평균 점수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Thisstudyattemptstoinvestigatehow toimprovecollaborationand learning performance in CSCL environment.This study focused on supportforsocialrelationship among group members more than on technicalsupportforCSCL environment.Itisassumed thatway of assigningroleoftheparticipantsduringcooperativelearningactivities may affecttheircommunication efficiency as wellas shared mental modelbuilding. Even though assigning role may be considered as one of the triggering factors on collaborative learning, robustful studies about influences of assigning role have not been actively -64- conducted. CSCL environment requires more detailed mediation activities and advanced assigning role systems than face-to-face environment.Therefore,itisnecessary toconductastudy regarding assigning role type.Based on a rationale of assignment-oriented feedback and motive-driving feedback in CSCL environment suggested by previous study,the assigning role type was mainly divided into twofold: assignment content-related role and social relationship-related role.In addition,this study examined whether assigning role type may affect communication and shared mental models. Thesubjectinthisstudyarerandomlyassignedtothreegroups:the experimental group(assignment contents-related group), the other experimental group(social relationship-related group), and control group. Theresultsofthestudyareasfollows: First,The amountofcommunication has significantdifferences in socialrelationship-related group,assignment contents-related group and controlled group: social relationship-related group have the highest amount of communication and then assignment contents-relatedgroupfollowedbycontrolledgroup. Forcommunication contents,therewassignificantdifferencebetween a percentage of assignment-related discussion messages and a percentage of group mediation messages. The social relationship-related group has the highest percentage of -65- assignment-related discussion messages while assignment contents-relatedgrouphasthehighestpercentageofgroupmediation messages. Second,assigned role type makes significantdifferences in shared mentalmodelsduring CSCL mediationactivities.Inaddition,assigned role type makes significant differences in how much and what subjects are communicated during CSCL mediation activities.Each group has differentdegree offorming shared mentalmodels.Social relationship-related group has the highestaverage grade ofconcept map and then contents-related group followed by controlled group. Onlysocialrelationship-relatedgrouphassignificantlyhigheraverage grade ofconceptmap than thatofcontrolled group.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grade of concept map between assignmentcontents-relatedgroupandcontrolledgroup.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47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33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