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5 0

치매노인 미술치료 작품에 대한 칸딘스키의 조형예술론적 고찰

Title
치매노인 미술치료 작품에 대한 칸딘스키의 조형예술론적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f the Artwork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from Wassily Kandinsky's Aesthetic Point of View
Author
윤지은
Alternative Author(s)
Yoon, Ji-Eun
Advisor(s)
김희영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in medicine, the average life span of people is extended, which increases the population of the aged. The problems related to the aged became important issues with the increased number of the aged. Among them, dementia is a big problem in personal and social area because of the total dependency of the aged with dementia to others. Therefore, there are various studies on the aged with dementia and art therapy is proved to be effective both in the laboratory and in the field. As art therapy is based on the remedial attribute of art itself, understanding of the power of art-understanding the remedial attribute of art through the theory of art- gives variety to our understanding on art therapy and can be the foundation to develop various remedial methodologies and to apply it to the clinical cases. Kandinsky pursued the passionate abstraction field to describe the feeling by relating the mental elements and formative elements based on internal necessity. The theory of art of Kandinsky acknowledges the artistic value of the artworks of the aged with dementia by placing more importance on their spirit than on the graphical beauty of their works and tries to understand their internal world. In this study, I will examine the Kandinsky's aesthetic through previous literatures and identify the meaning of the artwork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by comparing them with Kandinsky’s artworks and analyzing them based on Kandinsky's aesthetic. The researcher tried to understand the aged with dementia are a part of the aged themselves. In senescence, they face different problems from the times when they were still young. The positive changes in how to see the old age will open the possibility of qualitative growth. The new insight in the senescence views this times as spiritual and creative times and through these spiritual and creative activities they can integrate their lives and constitute their wisdom. Art therapy can be a good partner in the development and completion of these aged people. Kandinsky emphasized spiritual and emotional aspects of art by turning away from the traditional painting methods, which used to imitate the objects. By paying attention to the internal necessity, he addressed the elements of painting by relating them to their spiritual attributes. He addressed that the art moves for the purpose of the spiritual enhancement of human beings, which is the spiritual aspect of art and already includes the remedial attributes. Kandinsky introduced other artistic areas such as music and dancing to understand fine art better. It is consistent with ‘Sollen’ in the aspect of the therapy. As he analyzes formative elements such as dots, lines, planes, shapes and colors and musical attributes mentally and then identifies the spiritual world of the formative elements of the art works in art therapy, it will help us to understand the work of the counseled. It is hoped that this article will help the development of art therapy by understanding the spiritual expressions of the aged with dementia, the value of their works, and the remedial attributes of art therapy through researching the art works of the aged with dementia. The study is restricted because of the lack of previous studies and the difficulties due to the physical limitations of the aged with dementia.; 의학의 발달로 인한 평균수명의 증가는 전체 인구 중 노인인구 증가의 큰 요인이 되었고,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나타난 노인문제는 오늘날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그 중 치매는 치매노인의 전적인 의존성으로 인해 개인적 ·사회적으로 야기하는 문제가 크다.이에 치매 노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실정이고 미술치료 분야에서 또한 임상현장과 연구를 통해서 그 효과성이 입증되고 있다.미술치료는 미술이라는 예술 자체의 치료적 속성에 기인하는바 크므로, 미술의 힘, 다시 말해 미술의 치료적 속성을 미술이론을 통해 이해하는 것은 차제에 미술치료의 이해에 다양성을 실어주고, 또한 다양한 치료적 방법론을 만들어내고 응용하기 위한 틀이 되어줄 수 있다. 칸단스키는 내적 필연성을 바탕으로 정신적 요소와 조형적 요소를 관련지어 예술을 표현함으로서 열정적인 서정 추상의 장을 추구하였다.칸딘스키의 예술론은 예술에 있어서 시각적 미(美보)다도 정신성을 우위에 둠으로서 치매노인 미술작품에 대한 예술적 가치를 인정해 주고, 그 내면적 세계를 이해하는데 부합되는 이론이다.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칸딘스키의 조형예술론을 고찰하고, 치매노인의 미술작품 사례와 칸딘스키의 미술작품을 비교하여 칸딘스키의 조형예술론에 입각하여 이를 분석하여 의미를 읽어낼 것이다. 본 연구자는 치매노인 또한 인생의 노년기를 거치는 노인으로서 이해한하고자 한다.노년기에는 이전 시기와는 또 다른 인생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하지만 노년에 대한 시각의 긍정적인 변화는 노년기에도 질적 성장의 가능성을 열어둔다.노년기에 대한 새로운 시각은 노년을 영적이고 창조적인 시기로 보며, 이러한 영적·창조적 활동을 통해 인생을 통합하고 지혜를 이룰 수 있다.미술치료는 이러한 노인의 발달과 완성에 훌륭한 동반자가 되어 줄 수 있다. 칸딘스키는 전통적인 대상 모방 중심의 회화에서 벗어나 정신적·감정적 세계의 표현을 강조하였고, 내적 필연성에 주목하여 회화요소 또한 그 정신성과 관련하여 설명하는 조형예술론을 펼쳐나갔다.그는 예술이 인간 영혼을 고양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합목적적으로 움직이는 것이라고 역설하며, 이는 미술의 영적 측면으로서 치유적 속성을 이미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칸딘스키는 미술을 이해하기 위해 음악 무용 등 다른 예술을 끌어들였으며, 이는 치료적 측면에서도 통합적인 예술치료의 당위성과 맞닿아있다고 볼 수 있고, 회화의 음악적 속성, 점·선·면, 형태, 색채, 등의 조형요소를 정신적으로 분석하여 미술치료시 작품의 조형요소의 정신성을 파악하여 내담자의 작품 이해에 도움이 된다. 본인은 치매노인 미술작품 사례를 칸딘스키의 조형예술론에 입각하여 연구함으로서, 치매노인의 정신적 표현성, 작품의 가치를 알고, 미술의 치료적 속성을 이해하여 미술치료의 발전에 일조할 수 있기를 이 연구를 통해 바라며, 선행연구의 부족과 치매노인의 물리적 환경의 통제에 대한 어려움으로 연구의 제한이 있었음을 밝힌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31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66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