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 0

김종삼 시 연구

Title
김종삼 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Kim Jongsam's Poetry : Focusing on his Grasping of Reality and the Countermeasure
Author
박상란
Alternative Author(s)
Park, Sanglan
Advisor(s)
이승훈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김종삼의 현실인식과 그 대응 방법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김종삼이 인식하는 현실은 비극적 세계였다. 김종삼은 일제 강점기와 해방 정국, 분단과 전쟁으로 인한 실향으로 고단하고 힘겨운 삶을 살아갔다. 그에게 있어 현실은 광야와 겨울의 불모성이었다. 척박한 땅에서 그는 좌절하고 현실과 맞지 않아 방황해야 했다. 한국전쟁과 분단은 그에게 실향의 아픔을 안겨주었다. 그런 그는 현실의 고단함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기만의 전략을 쓴다. 바로 환상이라는 놀이와 죽음 충동이다. 그는 환상으로서 동심의 세계를 회상한다. 오염되지 않은 절대 순수의 공간인 동심의 세계는 그가 추구하는 이상향이기도 하다. 비극적 현실에 대한 대안으로 그는 목가적 풍경을 만들어 낸다. 그러나 이러한 환상 놀이 속에서도 현실을 극복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인다. 또한 예술적 소양이 풍부했던 김종삼은 환상을 통해 그가 존경하는 수많은 예술가들을 만난다. 그런데 그들은 대개 죽은 사람들이다. 그는 자신이 다다르고자 했던 예술적 경지에 오른 이들을 자신과 비교하며 좌절한다. 그러나 그 좌절을 자신의 시쓰기에 대한 열망으로 이어간다. 환상과 함께 그는 죽음 충동에 사로잡혀있다. 그는 죽음을 적극적으로 동경했다. 죽음은 그에게 있어 공포와 불안이 아닌 포근하고 공격받지 않은 안전한 곳으로 가는 경험으로 인식되었다. 죽음과 늘 친숙했던 그는 극단적인 방법을 통해서라도 그곳에 가려했다. 그러나 죽음에의 간절한 소망은 충족되지 않는다. 그는 죽음을 목전에 둔 이웃과 그의 가족들을 보면서, 그리고 스스로가 죽음의 개인적 체험의 순간을 맛보면서 죽음에 대한 의식을 변모시킨다. 낭만적인 죽음의식에서 실존적 죽음 의식으로 변모한 그는 자신의 삶을 성찰한다. 그는 한계상황 앞에서 생에 대한 욕구를 발동시킨다. 그리고 자기 삶을 완성하려고 한다. 즉, 죽음을 삶의 완성, 목적으로 이해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는 죽음에 직면함으로써 삶의 깊이는 더욱 깊어지고 더욱 확실하게 자신을 사명을 깨닫게 한다. 그리고 살아있음을 신의 은혜와 은총으로 여기고 신에게 감사한다. 그는 비극적 현실에서도 삶에 대한 긍정에서도 여전히 자신의 소명이 바로 시쓰기임을 인식한다. 시쓰기를 통해 척박한 광야와 얼어붙은 땅, 오염된 현실을 소생하고 재생하고 정화시키는 물 한 통이 되고자 한다. 그리고 현실에서 소외된 가난하고 병든 사람들에게 동정 이상의 반응을 보인다. 타자를 향한 그의 도덕적 선의지는 비극적 삶을 극복해 나가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용기를 주고 그 용기는 다시 자시 삶을 더욱 긍정하게 하는 것으로 환원된다.; The paper aims to examine Jongsam Kim's grasp of reality and the countermeasure. The way Jongsam Kim perceived reality was tragic. He lived harsh and difficult life interspersed with displacements through Japanese occupation, post-liberation period, wars and split of country. To him, reality meant barrenness of wilderness and winter. Infertile soil and discordant reality seemed to present to him an endless frustration. Korean War and split of the country in halves had given him pains of displacement. He tried to escape the harsh reality through devices of his own- that is, a play called fantasy and suicidal impulse. He recollected childhood days through fantasy. The mind of a child as uncontaminated and an absolute innocence is also his ideal which he pursues. As an alternative to tragic reality, he produced a pastoral landscape. However, amidst his playful fantasies, there were glimpses of volitions to overcome the reality. Furthermore, ample knowledge in art endowed him to meet various artists he respected through fantasy. However, most of them were dead, and meeting them had only given him frustrations for his inability to reach artistic peak, which those artists had reached. However, he directed that frustration to his yearning for poetry. Surrounded by fantasy, he is likewise encircled with suicidal impulse. He actively yearned for death. For him, death was a road to warmness and unassailable safe place, unlike constant horror and insecurity he experienced. He, who befriended death, aspired to reach that place even if it took him to use extreme method. But his dire yearning for death didn't quite materialize. Seeing dying neighbors and his family, and by experiencing near death himself, he changed his perception of death. Moving from romantic perception of death to a realistic one, he examined his own life. Encountering a critical situation, he found a desire to live and tried to do best with his life. In other words, he understood death as a completing stage of life, an ultimate purpose. By confronting death, his life became meaningful and more profound, and he realized a clearer reason for living. He was grateful for his life and considered it as God's grace. In life's tragedy or in life's bliss from positive thinking, he thought of writing poetry as his calling. He tried to be a bucket of water that resuscitates, rejuvenates, and purifies the infertile soil, the frozen land, and the contaminated reality through writing poetry. He responded to the poor and the sickly with a burning heart more intense than sympathy. His morally-right good intentions encouraged the poor who were fighting over their tragic reality, and these encouragements returned back to him to lead a more positive lif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88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35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