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 0

대사증후군 환자와 대조군의 혈중 트랜스 지방산과 오메가-3 지방산 조성에 대한 비교 연구

Title
대사증후군 환자와 대조군의 혈중 트랜스 지방산과 오메가-3 지방산 조성에 대한 비교 연구
Other Titles
Trans fatty acids and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 A case-control study
Author
이은정
Alternative Author(s)
Lee, Eun Jeong
Advisor(s)
박용순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트랜스와 오메가-3 지방산은 대사증후군의 중요한 요인으로 거론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사증후군 환자와 대조군에서 적혈구 트랜스 지방산과 오메가-3 지방산 조성을 비교하여 지방산 조성과 대사증후군의 관련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대사증후군 환자의 기준은 modified ATP Ⅲ 기준을 사용하였다. 이 기준에서 위험 요인을 3가지 이상 가진 자를 환자군(n = 44)으로, 위험 요인을 3가지 가진 자를 대조군으로 선정하였으며, 대조군은 환자군과 연령, 성별을 고려하여 무작위로 2배수를 선정하였다(n = 88). 평균 연령은 54.5세이었으며, 대상자의 45%가 여성이었다. 적혈구의 총 트랜스 지방 수준은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지만(0.82 ± 0.04 vs. 0.73 ± 0.03%; P = 0.043), 적혈구 중의 EPA와 DHA의 합인 omega-3 index는 대조군이 약간 높았으나 유의적이지 않았다(11.78 ± 0.04 vs. 12.39 ± 0.02%). 다변수 보정 회귀분석에서 적혈구의 트랜스 지방산 수준이 대사증후군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OR 11.03; 95% CI 0.97-1224.87; P = 0.041). 적혈구 트랜스 지방산 수준이 증가할수록 허리둘레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수축기 혈압(132 ± 16 vs. 124 ± 16 mmHg), 이완기 혈압(80 ± 10 vs. 76 ± 10 mmHg), hs-CRP(0.2 ± 0.2 vs. 0.1 ± 0.2 mg/dL), 공복 혈당(102 ± 26 vs. 90 ± 12 mg/dL), 인슐린(7.9 ± 4.9 vs. 4.9 ± 2.4 μU/mL), 혈청 중성지방(190 ± 92 vs. 96 ± 33 mg/dL) 농도는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에 혈청 HDL 콜레스테롤 수준(47 ± 1.7 vs. 55 ± 1.3 mg/dL)은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적혈구 트랜스 지방산 수준이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을 제안하지만, 적혈구 오메가-3 지방산은 이 연구 대상자에서 대사증후군과 관련이 없었다.; Trans and n-3 fatty acids are considered to be the important modifiable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lower n-3 fatty acids and/or higher trans fatty acids of red blood cell (RBC) are associated with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Forty-four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defined by ≥ 3 risk factors of modified ATPIII criteria, and eighty eight age and sex matched controls with < 3 risk factor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The mean age was 54.5 ± 0.8 years and 45% of subjects were female. Trans fatty acids of RBC were higher in patients than controls (0.82 ± 0.04 vs. 0.73 ± 0.03%; P = 0.043), while their omega-3 indexes, the sum of EPA and DHA in RBC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11.78 ± 0.04 vs. 12.39 ± 0.02%). Multivariable-adjusted regression analysis showed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RBC trans fatty acid and risk of metabolic syndrome (odd ratio, 11.03; 95% confidence interval, 0.97-1224.87; P = 0.041).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rans fatty acids and waist circumference. Systolic (132 ± 16 vs. 124 ± 16 mmHg)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80 ± 10 vs. 76 ± 10 mmHg), hs-CRP (0.2 ± 0.2 vs. 0.1 ± 0.2 mg/dL), fasting glucose (102 ± 26 vs. 90 ± 12 mg/dL), insulin (7.9 ± 4.9 vs. 4.9 ± 2.4 μU/mL), and triacylglycerol (190 ± 92 vs. 96 ± 33 mg/dL) levels were also significantly (P < 0.05) higher in patients than controls. On the other hand, serum HDL-cholesterol level (47 ± 1.7 vs. 55 ± 1.3 mg/dL) was lower in patients than controls. The results suggested that RBC trans fatty acids might be a predictor of increased risk for metabolic syndrome, but n-3 fatty acids were not in this popula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754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41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FOOD & NUTRITION(식품영양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