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7 0

중학교 음악교사를 위한 피아노 반주법 연구

Title
중학교 음악교사를 위한 피아노 반주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iano Accompaniment for Music Teachers in the Middle School : focused on the modern harmonic style
Author
고지연
Alternative Author(s)
Ko, Ji Yeon
Advisor(s)
전경숙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학생들은 직접 노래를 부르는 활동에서 뿐만 아니라 반주를 듣는 활동을 통해서도 미적 체험을 할 수 있다. 또한 같은 곡이라 할지라도 반주에 따라서 곡의 분위기와 매력이 달라지므로 가창에 있어 피아노 반주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현재 음악 수업에서 가창이 차지하는 비중을 생각해 볼 때, 반주의 중요성에 대해 올바로 인식하고 이를 발전시켜 학생들로 하여금 보다 수준 높은 심미적 체험을 경험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대다수의 교사들이 피아노 반주에 대해 관심과 자신감이 부족하며 교과서 가창곡의 반주 형태는 매우 단조롭고 진부함을 인식하여, 교사들로 하여금 좀 더 다양하고 흥미로운 반주를 할 수 있도록 돕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반주의 기본 개념 및 중요성 등을 제시하고 다양한 반주를 하기 위한 여러 가지 화음, 화성 진행 및 패턴, 다양한 반주 유형과 리듬 패턴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하여 교과서에 있는 가창곡을 골라 기존의 주요 3화음과 단순한 리듬 패턴 중심의 반주에서 벗어난 새로운 반주를 창작하여 제시하였다. 가창 수업에 있어 피아노 반주는 학생들의 음악적 체험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교사들은 이를 인식하고 기존의 단조로운 반주에서 벗어나 곡의 성격, 가사, 박자 등을 고려하여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반주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음악교사들이 가창에 있어 피아노 반주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가창 수업을 위한 보다 효과적이고 세련된 반주를 하는데 본 논문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Students can feel aesthetical experience from not only singing but also listening to accompaniment. Also, piano accompaniment is very important to sing because same works have a different atmosphere and attractiveness according to accompaniment. Especially, thinking of the proportion of singing in the present music class, we should cognize rightly an importance of accompaniment, and try to serve higher quality aesthetic experience for our students. Most of music teachers are short of confidence and interest of accompaniment, and song accompaniments in the textbook are too simple and outdated. Therefore, this study purposes to help that music teachers can do various and interesting piano accompaniment for their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hows a general concept and the importance of accompaniment and researches into various chords, harmonic progresses and patterns, various patterns of accompaniment and rhythm. Furthermore, this study creates and indicates new accompaniment which is different from existing accompaniment based on primary triads and simple patterns of rhythm. In singing class, piano accompaniment influences students' musical experience. So teachers ought to recognize this fact and endeavor to express the character of music, lyric, rhythm and etc. I wish this study can help music teachers to change their mind about piano accompaniment in singing and to do more efficient and polished accompaniment for singing clas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80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14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