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9 0

시각기호 요소의 분석적 고찰에 기초한 시각커뮤니케이션 연구

Title
시각기호 요소의 분석적 고찰에 기초한 시각커뮤니케이션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Visual Communication Based on Analytical Study of Visual Symbol Factors : Focused on the Advertisement and Product Design
Author
이정희
Alternative Author(s)
Lee, Jung Hee
Advisor(s)
김선아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일상생활에서 미술작품과 같은 시각적 산물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각적 행위들을 영화, 만화, 텔레비전, 인터넷 등과 같은 대중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단순히 장식적이거나 환경을 아름답게 하는 역할 이상으로 인간의 삶에 매우 구체적인 기능을 한다. 이 연구에서는 시각적 기능을 통하여 디자이너에게서 관찰자에게 전달되는 시각커뮤니케이션에 대하여 기호학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대중문화를 표현하면서 개인적 표현을 하는 시각기호들에 대한 디자인 요소들의 객관적 지표를 제안하며 그를 기초로 디자인 사례를 기호학적 시각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연구한다. 시각적 이미지를 구성하는 기호들을 바라보는 관점의 체계적인 접근을 위하여 시각기호에 대한 대표적인 이론인 비트겐슈타인의 그림이론과 지시의미론, 랭거의 상징론과 존재의미론, 리쾨르의 기호행위론과 의미행위에 대하여 그 주장들에 따른 기호의 의미와 시각커뮤니케이션의 진행과정, 그 주요 요소들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 이론들에서는 기호와 개인, 기호를 통한 소통, 시각커뮤니케이션의 상징성과 의미, 문화에 따른 존재의미 등에 관한 시각기호들이 논의 된다. 또한 시각언어의 역사-사회적 해석, 심리-기술적 해석, 문법적 해석의 의사소통 방식을 바탕으로 시각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문화적 접근, 과정적 접근, 문법적 접근을 한다. 각 접근 방식에 따른 분석틀을 만들어 디자인사례에 적용함으로써 시각커뮤니케이션의 접근방식을 다음 세가지로 체계화한다. 첫째, 문화적 접근방식은 시각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문화를 사회적 바탕으로 하여 그 디자인의 탄생배경이 된다. 이것은 더 나아가 그 시대에 맞는 디자인으로써 생존할 수 있는 가치 의미가 타당한 것인가를 묻는 것이다. 둘째, 과정적 접근은 마케팅을 기본으로 하여 시각기호들이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 같은 시각디자인의 근본적 존재 이유를 물으면서 그 디자인의 제품, 유통 경로, 판매가격, 판매촉진의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문법적 접근으로의 시각기호를 통하여 효과적인 의미전달을 위한 기호의 이용으로 간편성, 친밀성, 호소성 등을 고려하는 시야와 시선, 디자인의 조건과 레이아웃의 요소들에 대하여 살펴본다. 시각기호로써 고려해야 할 사항들은 주목성, 가독성, 조형성, 창조성, 기억성 등이 있고 그 구성요소들로는 타이포그래피, 사진, 일러스트, 여백, 색상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문화적, 과정적, 문법적 접근 방식을 체계화한 분석틀을 제안, 적용하여 국민은행 광고디자인과 삼성전자 모바일디자인에 관한 사례연구를 한다. 첫 번째 예시로 국민은행의 텔레비전 광고디자인에 대하여 연구한다. 국민은행은 가족구성원 모두를 고려하여 만든 국민문화 광고디자인으로 한국인의 우월성과 노력과 열정에 대한 대리만족이라는 민족적 의식에 큰 의미를 둔다. 화면구성에 있어서도 여백을 활용하여 인물중심의 이동과 성장의 구도를 만들어 기억성에 호소하기도 한다. 둘째, 삼성전자 모바일디자인은 인간공학디자인, 모바일 인터페이스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사회의 기술변화에 따른, 사회경제 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개인적 지각능력의 향상과 그에 맞는 앞선 디자인의 공급의 사회적 배경을 문화적 기호로써 보여준다. 유희적 기능, 기술적 기능, 사용적 기능을 모두 고려하여 보는 것만으로도 사용자를 움직일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디자인을 색상이나 형태도 컨셉에 맞추어 한다. 본 연구는 시각커뮤니케이션의 접근을 시각기호에 대한 요소를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접근함으로써 체계적이며 맥락적 접근을 시도한다. 교육적, 사회적, 문화적 측면에서 디자인을 하나의 형태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문화, 과정, 문법적 요소와 같은 복합적 요인들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 발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각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의 연구는 생활 속에 존재하는 디자인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디자인 교육의 토대가 될 수 있다.; We are exposed to visual creations such as artistic works, and various visual activities through mass media or network such as movies, comic books, television, and internet. These images not only have the simply function of decorating the environment, but they also have a very specific function in a person's life. This study aims to study vis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designer and the observer in a symbolic manner, using various visual functions. The study aims to provide objective index on design factors of visual symbols that expresses both individual and popular culture, and use that index to study design samples in symbolic visual communication point of view. In order to study symbols of visual image in systematic manner, this study will observe processes of visual communication and main factors of symbols using main theories on visual symbols, which are: picture theory and instruction semantics of Wittgenstein, symbolism and existence semantics, and symbolic behavioral theory of Ricoeur. These theories discuss visual symbols related to significance and symbolism of visual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hrough symbols, and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nd symbol. Based on communication history of visual language-social interpretation and psychology- and methods of technical and literal interpretation, the study aims to observe visual communication in cultural, procedural, and literal aspect. Analysis tool will be made for each of the aspects and design examples will be applied for the following systematic approach towards visual communication. First, in cultural aspect, the culture where visual communication takes place is taken as social basis for creating its design. This will question the value of existence; whether or not the design can survive as a suitable model for the corresponding period. Second, the procedural aspect will ask the basic questions of visual design, which are 'who, when, where, what, how, why' and this process will determine the product, purchase route, sale price, and sale promotion procedures of the design. Third, the literal aspect of visual symbols will study the factors of layout, design conditions, visual field and sight that considers ease, friendliness, and appeal as an effective means of delivering the message of visual symbols to the viewers. Factors that must be considered for visual symbol are vividness, ease of interpretation, shape, creativity, and memorability, while its components include typography, picture, illustration, margin, and color. The analysis tool for cultural, procedural, and literal aspect were applied to advertisement designs of Korea National Bank and Samsung Mobile as a case analysis in this study. The first case analysis is conducted on television advertisement design of Korea National Bank. This advertisement is a nation's culture design for all members of the family, that has great significance as a form of nation spirit that is a substitute satisfaction for superiority, effort, and passion of Koreans. The design also makes use of blank margins to create character-focused movement and growth effect that also leaves strong impression. Second, the Samsung Mobile design is intended to provide design that corresponds with improved individual awareness of users in accordance with socio-economical changes that arises from technological changes of mobile interface communication society. The design uses colors and shapes as a means of communication that motivates viewers to consider all amusement function, technical function, and usage functions of the product. This study approaches visual communication in 3 main aspects for a systematic and coherent analysis. Observing design in education, social and cultural aspects and also considering complex factors such as symbol, culture, and procedures can diversify development plans of a design. This study o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will provide thorough understanding of designs in our daily lives, and will serve as foundation for design educa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78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129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