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2 0

Meaning Negotiation in Task-Based Synchronous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Title
Meaning Negotiation in Task-Based Synchronous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Other Titles
과업중심의 실시간 CMC에 나타난 의미협상에 관한 연구
Author
정남숙
Alternative Author(s)
Jeong, Nam-Sook
Advisor(s)
김성연
Issue Date
200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언어학습 환경은 상호작용과 의미협상의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세심하게 고안된 과업은 자연발생적인 의사소통보다 의미협상의 기회를 더 제공하기에 과업연구와 의미협상이 있는 상호작용은 언어습득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의미협상이란 의사소통의 단절의 해소를 막기 위해 발화의 형태,의미를조정하는 상호작용의 유형이고 과업이란 협력학습으로 학습자가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분담된 역할 수행을 통해서 해결해야 하는 목표 지향적 과제이다.과업의 유형과 의미협상이 제 2언어습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많은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그러나 컴퓨터 매개 실시간 의사소통 환경 내에서 과업의 유형과 의미협상의 관계를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하는 연구는 적은 편이며 특히 효과적인 의미협상을 위한 그룹의 형태에 관한 논문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따라서 본 연구는 컴퓨터를 매개로한 실시간 문자채팅을 수행하면서 대화한 내용을 바탕으로 의미협상에 미치는 과업유형의 효과를 검증하고 학습자 수준별 그룹과 비수준별 그룹의 의미협상의 양을 양적,질적 연구로 비교 분석하였다.또한,컴퓨터 매개 문자채팅은 면대면 의사소통에서 보이는 똑같은 의미협상의 기회를 제공하므로 문자채팅이 구어체와 문어체 향상에 기여하는지를 살펴보았다.이것은 한국과 같이 영어를 외국어로 접하는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의사소통의 유창성이 신장 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는 기회가 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는 한국인 대학생 24명이며 대부분 영어전공자가 아닌 학습자로서 2명씩 그룹을 구성하여 총 12그룹이었다.이 중 6그룹은 영어쓰기 능력이 비슷한 수준별 그룹이었고 나머지 6그룹은비수준별 그룹으로 영어쓰기능력이 차이가 있었다.학습자들은 실시간 의사소통 프로그램인 MSN messenger를 이용하여 주어진 주제에 입각하여 3가지 유형의 과업을 수행하였다.수준별 학습과 비수준별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와 인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설문지,학습자의 학습일지,인터뷰가 실시되었고 말하기,쓰기능력 향상을 측정하기 위해 사전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그룹별 문자채팅의 대화내용을 바탕으로 의미협상의 유형을 분석하고 의미협상의 양이 과업별로 비교되었다.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학습자들은 의사소통에 문제가 생길 때 의미협상을 하고 있었으며 가장 의미협상이 많이 일어나는 과업은 그림 맞추기였고 그 다음으로 의사결정하기,자유토론 으로 나타났다.통계적으로 의미협상에 미치는 과업의 유형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의미협상을 유발하는 효과적인 과업은 서로의 정보를 공유해야 하는 그림맞추기라는 결과가 나왔다.그러나 의미협상의 양만으로 언어습득과 이해가 촉발되었다고 단정하기는 어려우므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학생들의 과업과 그룹에 대한 인식과 관점을 살펴보았다.질적분석결과,그림 맞추기는 의미협상은 유발되나 학생들의 창의성을 제한시키고 표현의 자유를 통제한다는 결과가 나왔다.반면 의사결정과업은 그림맞추기보다 의미협상은 덜 촉발되나 흥미롭고 역동적인 대화를 이끌었다.자유토론은 그림맞추기와 비교해서 평균의 차이가 크게 낮았으며 의미협상을 촉발시키기에는 유의미한 과업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수준별 그룹과 비수준별 그룹이 의미협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양적인 연구방법으로는 두 집단의 의미협상의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그러나 질적인 연구방법으로는 수준별 그룹이 협동학습과 정서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이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이 연구결과는 학습자 입장에서 수준별 학습을 지향하는 7차 교육과정의 정책을 지지하는 교육적 의의가 있다.그러나 수준별 학습이 좀 더 효과적인 실효성이 있기 위해서는 교사와 교육 행정가들이 영어의 유창성 외에 상호작용과 의미협상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인을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준다. 셋째,컴퓨터 매개 실시간 의사소통은 영어 쓰기 향상에 기여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지만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지는 못했다.이것은 문자채팅은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에 효과적인 환경을 제공한다는 것이며 실제 말하기 능력이 향상되기 위해서는 좀 더 많은 시간과 실제 말하기 기회나 화상채팅이나 음성채팅과 같이 컴퓨터 매개 말하기의 혼합된 형태의 수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려준다. 본 연구결과는 과업의 유형과 수준별 학습이 의미협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하였으며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을 통하여 의미협상과 상호작용에 관심이 있는 교사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shed some light on task-based group interaction in a synchronous text chatting contex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meaning negotiation according to the effects of grouping and task type. Specifically, the homogeneous group (Higher-Higher/Lower-Lower) versus the heterogeneous group (Higher-Lower)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three different task types: jigsaw, decision-making, and free discussion. Another purpose is to examine whether the SCMC text-chat experience influences EFL learners' speaking and writing improvement. A total of 24 Korean EFL students took part in the MSN messenger text-chat program for a semester in a campus computer lab. According to their performance on a cloze test and an essay writing test, students were assigned into two groups: the homogeneous group and the heterogeneous group. There were five main data sources in the data collection. First, the electronic transcripts of the data showing the pair interactions of the students were collected. Second, the SEPT (speaking English proficiency test) was administered to measure speaking improvement. Third, cloze test and an essay writing test were employed to measure writing improvement. Fourth,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wice to measure the effect of collaborative learning and student level of comfort toward their partner. Fifth, interviews were also administered for 20-30 minutes by selecting eight students from each higher and lower level. This study follows a routines of meaning negotiation categorized by the model developed by Varonis and Gass (1985) and perceives meaning negotiation as a process to solve communication difficulty, and comprehension problems in student-student interaction in the EFL text-chat classroom. Fir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meaning negotiation is more prevalent in the jigsaw task, followed by the decision-making task and the open-ended task. The jigsaw task and the decision-making task are suggested in order to facilitate negotiation of meaning in terms of amount of interac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 amount of negotiation of meaning can guarantee a trigger of comprehension and acquisition. A qualitative analysis on task type from student interview, journals, and questionnaires indicates that the jigsaw task focused only on picture sequencing hindered student creativity in interaction. Their interest and desire for learning decreased in the jigsaw task even if the negotiation was activated the most. Implementation of mixed types of tasks according to the language proficiency levels of learners is desirable and tasks must be carefully constructed considering other variables including the degree of familiarity between the group members. Second, the results also reveal that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group in terms of the amount of meaning negotiation. On the other hand, a qualitative analysis from student survey and journals reported that the homogeneous group was effective in light of collaborative learning and affective aspects. Students felt more comfortable in the homogeneous group and their anxiety and tension decreased when involved in online negotiated interaction in homogeneous group. Finally, the findings demonstrated that the treatment with SCMC text-chat was effective in improving writing proficiency. However, it was not an effective indicator in improving speaking proficiency. This result suggests that written and oral language are different even if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SCMC text-chat discourse has both written and oral language characteristics. If students are exposed to more frequent text-chat in the long term, we would expect that their speaking skill may improve step by step in the futur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511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63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NGLISH EDUCATION(영어교육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