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 0

알코올 간질환 환자에서 혈청 TNF-α와 아디포넥틴에 관한 연구

Title
알코올 간질환 환자에서 혈청 TNF-α와 아디포넥틴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for Serum TNF-α and Adiponectin in Patients with Alcoholic Liver Disease
Author
김태엽
Alternative Author(s)
Kim, Tae Yeob
Advisor(s)
함준수
Issue Date
2009-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배경/목적: 아디포넥틴은 지방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어 분비되는 단백질로 간세포 보호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동물실험에서 만성 에탄올 섭취 시에 발현이 감소되어 있다. 한편 병리소견이 서로 비슷한 비알코올지방간질환의 진행 정도에 따라 혈청 아디포넥틴의 감소는 연구되어 있으나 알코올 간질환의 진행 정도에 따른 아디포넥틴에 대한 연구는 없다. 이 연구에서는 간질환의 진행 정도에 따라 간섬유화가 진행될 때 그 지표가 되는 혈청 hyaluronic acid (HA)와 type IV collagen를 측정하고, 알코올 간질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 혈청 TNF-α를 혈청 아디포넥틴과 동시에 측정하여 알코올 간질환의 진행 정도에 따라 혈청 농도의 상호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알코올로 인하여 발생된 간질환 환자에서 검사 전날 밤 12시 이후부터 검사 당일 아침 공복 상태에서 혈액을 채취하였으며, 일반 혈액검사와 혈청 생화학검사를 동시에 시행하였다. 혈청 HA는 enzyme-linked binding protein assay법으로 측정하였고, type IV collagen는 Latex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진단 이후 남은 혈청을 -70도 냉동고에 보관하였다가 혈청 TNF-α을 human TNF-α 효소결합면역흡착 검사법으로 측정하였고, 아디포넥틴은 human adiponectin 효소결합면역흡착 검사법으로 측정하였다. 알코올 간질환 환자들을 먼저 알코올 지방간 36명, 알코올 간염 22명, 간경변증 99명으로 분류하고 간경변증은 다시 그 진행 정도를 반영하는 Model for end stage liver disease (MELD) 점수에 따라 10점 미만 54명, 10-14점 30명, 14점 초과 15명으로 재분류하였다. 자료관리와 통계분석은 SPSS 13.0을 이용하여 연속형 변수는 기술통계,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간경변군에서 MELD 점수에 따라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결과: 지방간군, 알코올 간염군, 간경변군(MELD < 10점, 10-14점, > 14점)에 따라 HA는 24.8±29.4, 147.1±163.6, 177.6±173.1, 313.8±209.5, 470.0±233.3 ng/ml 이었으며,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간경변군 각단계에 따라 값이 증가하였다(r=0.584, P<0.01). Type IV collagen값은 각각 148.0±66.7, 323.1±233.4, 381.1±345.0, 591.9±400.6, 949.5±358.8 ng/ml이었으며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간경변군 각단계에 따라 값이 증가하였다(r=0.496, P<0.01). 혈청 TNF-α는 15.4±5.7, 19.6±9.8, 13.6±5.1, 15.7±6.2, 15.8±5.3 pg/ml로 모든 군에서 증가되어 있으나, 각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44). 혈청 아디포넥틴은 15.0±6.1, 16.8±15.6, 21.1±10.2, 31.9±24.4, 53.7±18.9 μg/ml 이었고,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간경변군 각단계에 따라 값이 증가하였다(r=0.446, P<0.05). 결론: 혈청 아디포넥틴은 기존에 알려진 간섬유화의 비침습성 혈청 표지자인 HA, type IV collagen과 더불어 알코올 간질환의 진행 정도에 따라 증가함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알코올 간질환의 발생에 중요한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져 있는 혈청 TNF-α는 전체 환자군에서 모두 증가하였지만 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그 양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동물실험에서 만성 에탄올 섭취 이후 아디포넥틴의 감소와는 달리 임상에서 알코올 간질환의 진행 정도에 따라 혈청 아디포넥틴은 감소되어 있지 않고 오히려 상승 경향을 보였다. 이는 만성 간질환에서 아디포넥틴의 항염증기전으로 인한 보상적 증가를 반영할 수 있다.; Background/Aims: Although the expression of adiponectin is decreased in animal experiments with chronic ethanol feeding and in hepatic fibrosis with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the correlation between serum adiponectin and alcoholic liver disease is still limit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hyaluronic acid (HA), type IV collagen,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and adiponectin levels and the progression of alcoholic liver disease. Methods: Serum HA, type IV collagen, TNF-α and adiponectin levels were mearsured in 36 cases of alcoholic fatty liver, 22 cases of alcoholic hepatitis, and 99 cases of alcoholic cirrhosis. The concentrations of HA and type IV collagen were determined by enzyme-linked binding protein assay and latex method,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serum TNF-α and adiponectin were determined by enzyme-linked immunosorbant assay. Result: In each group of alcoholic fatty liver, alcoholic hepatitis and alcoholic cirrhosis (MELD < 10, n = 54; MELD 10-14, n = 30; MELD > 14, n = 15), serum HA levels (mean±SD) were 24.8±29.4, 147.1±163.6, 177.6±173.1, 313.8±209.5, 470.0±233.3 ng/ml (P<0.01), serum type IV collagen levels were 148.0±66.7, 323.1±233.4, 381.1±345.0, 591.9±400.6, 949.5±358.8 ng/ml (P<0.05) and serum adiponectin levels were 15.0±6.1, 16.8±15.6, 21.1±10.2, 31.9±24.4, 53.7±18.9 μg/ml (P<0.05). Serum HA, type IV collagen and adiponectin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rogression of cirrhosis (r=0.584, r=0.496, r=0.446, P<0.01). Serum TNF- α levels were increased with all groups of alcoholic liver diseases bu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each group of the diseases.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serum adiponectin levels are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ion of alcoholic liver disease like noninvasive serum markers for hepatic fibrosis. It suggests that the increased serum adiponectin in alcoholic liver diseases might reflect the compensatory increase for its anti-inflammatory effect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ion of the liver diseas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347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256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